btstudy.com 으로 오세요. 수능/내신 변형, 퀴즈를 무료로 공개합니다.

블루티쳐학원 | 등록번호: 762-94-00693 | 중고등 영어 | 수강료: 30(중등), 33(고등), 3+4(특강)

THE BLUET

728x90
반응형

영독 1::When temperatures near 0℃, water molecules start bonding with one another to form a crystal structure. The hydrogen atoms of each molecule connect to the oxygen atoms of other molecules. The resulting structure creates a greater amount of space between the molecules than there was when the molecules floated freely about in a liquid state. All that extra space between the molecules is why ice is less dense than liquid water ─ and the reason ice floats. This characteristic of water is good news for fish and other animals that live underwater wherever the temperatures drop to freezing. When the water in a lake, for instance, begins to freeze, the first tiny ice crystals that form remain on the surface. Eventually, a layer of floating ice will form on the water's surface, which seals in the liquid water below and keeps it from freezing. If water became more dense when it froze ─ the way most substances do ─ then the ice crystals would keep sinking to the bottom. Eventually, the entire lake would be frozen solid from top to bottom ─ which would be bad news for the fish.::온도가 0℃에 가까워질 때에, 물 분자들은 서로 결합하기 시작하여 결정 구조를 형성한다. 각 분자의 수소 원자들이 다른 분자들의 산소 원자들과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구조에서는 액체 상태에서 분자들이 자유롭게 떠다니던 때보다 분자들 사이에 더 많은 양의 공간이 생기게 된다. 분자들 사이에 추가로 생기게 된 이 모든 공간이 얼음이 액체 상태인 물보다 밀도가 낮은 이유이며, 얼음이 뜨는 이유이다. 물의 이러한 속성은 어디든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는 곳에서 물속에 사는 물고기와 다른 동물들에게 좋은 소식이다. 예를 들어, 호수의 물이 얼기 시작할 때, 가장 먼저 형성되는 아주 작은 얼음 결정체가 수면 위에 남게 된다. 결국에는 떠 있는 얼음 층이 물의 표면 위에 형성되어, 그것이 아래쪽에 있는 액체 상태의 물을 밀봉하여 그것을 얼지 않게 해준다. 만일 물이 얼 때, 대부분의 물질들이 그렇듯이, 밀도가 더 높아진다면, 얼음 결정체들은 계속해서 바닥으로 가라앉을 것이다. 결국에는 전체 호수가 위에서부터 밑에까지 꽁꽁 얼어 버릴 것이며, 이것은 물고기에게 나쁜 소식이 될 것이다.
영독 2::I witnessed a surprising set of behaviors between a group of chimpanzees with whom I periodically interacted. Sarah likes to look at books, so when I visit I occasionally bring her children's books that can withstand chimpanzee handling for at least a few minutes. I gave Sarah her book and before she could really start "reading" it, Harper, who at this point in time was older but still mischievous, came over and took it away. Sarah didn't struggle with Harper when he took it. Then moments later, Sheba, a very smart female chimpanzee, who didn't appear to me to have noticed Harper's behavior because she was happily eating her dried mangos, went over to Harper and took the book from him. This in itself wouldn't be surprising as taking things that others have is typical among members of a group that aren't clearly dominant. What was surprising was that rather than keeping it herself, she promptly gave it back to Sarah. There were no vocalizations that I was aware of that might indicate Sarah was distressed by Harper's thievery, nor that Sheba was trying to appease any distress. It just looked to me as though Sheba was setting things right. No one told her what to do ─. She just autonomously determined that the book belonged to Sarah.::나는 내가 정기적으로 상호작용을 하는 침팬지 집단 사이에서 놀라운 일련의 행동들을 목격했다. Sarah는 책을 보는 것을 좋아해서, 나는 방문할 때 가끔 그녀에게 침팬지의 손길을 최소한 몇 분 동안 견딜 수 있는 어린이용 책을 가져다 준다. 나는 Sarah에게 그녀의 책을 주었는데 그녀가 실제로 '읽기' 시작하기도 전에, 그 당시에 나이가 더 많았지만 여전히 장난꾸러기였던 Harper가 와서 그것을 가져가 버렸다. Sarah는 Harper가 그것을 가져갔을 때 그와 싸우지 않았다. 그러고 나서 잠시 후에, 매우 영리한 암컷 침팬지 Sheba가, 말린 망고를 행복하게 먹고 있었기 때문에 내가 보기에는 Harper의 행동을 알아차리지 못한 것처럼 보였는데, Harper에게 다가가 그 책을 그에게서 빼앗았다. 뚜렷하게 우세하지 않은 집단 구성원들 사이에서는 다른 구성원들이 갖고 있는 것을 빼앗는 일은 흔히 일어나므로 이 일 자체로서는 놀라운 일은 아닐 것이다. 놀라운 것은 Sheba가 그것을 자기가 갖지 않고 즉시 그것을 Sarah에게 돌려주었다는 것이었다. Harper의 도둑질 때문에 Sarah가 고통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려줄 수 있는 어떤 소리도 내가 아는 바로는 전혀 없었고, 또한 Sheba가 어떠한 고통을 달래주려 하고 있다는 것을 알려줄 수 있는 어떤 소리도 (내가 아는 바로는) 없었다. 그것은 내게 그저 Sheba가 일을 바로잡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아무도 그녀에게 무엇을 해야 할지 말하지 않았다. 그녀는 단지 그 책이 Sarah의 것이라고 스스로 결론을 내렸을 뿐이다.
영독 3::One dimension of the mind's innate search for meaning has to do with the compelling power of purpose. For example, a girl of about nine years old recently described what she understood to be the causes and best treatment for lung cancer. She was extremely articulate. Her interest had been sparked by the fact that her mother had been diagnosed with the disease, prompting her to read as much as she could find on the subject. Learning that is reducible to memorizing facts that are true or false is different from learning that engages actor-centered, adaptive decision making. This kind of decision making is the result of an authentic question generated by the learner on the basis of a genuine need to know and is one that inevitably requires more complex thinking. It is the search for meaning that organizes actor-centered questions and encourages the use of higher-order functions.::정신이 본질적으로 의미를 찾는 한 가지 모습은 목적의 강력한 힘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아홉 살쯤 된 한 소녀는 최근에 폐암의 원인과 최상의 치료법이라고 자신이 이해한 바를 썼다. 그녀는 대단히 명확하게 표현했다. 그녀의 관심은 그녀의 어머니가 그 질병을 진단 받았다는 사실로 촉발되었으며, 그 때문에 그녀는 그 주제에 대해 찾을 수 있는 한 많은 것을 읽었다. 맞거나 틀린 사실들을 암기하는 것으로 축소될 수 있는 학습은 행위자 중심의, 적응적인 의사 결정을 하게 하는 학습과는 다르다. 이러한 종류의 의사 결정은 알고자 하는 진정한 욕구에 기초하여 학습자에 의해 생성된 진정한 질문의 결과이며 불가피하게 더 복잡한 생각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행위자 중심의 질문을 체계화하고 더 높은 차원의 기능을 사용하도록 권장하는 것은 바로 의미에 대한 추구이다.
영독 4::My father had a favorite story about social practices which he learned from his father:. An enormous herd of sheep was moving down a country road, led by a wise old ram. As the lead sheep approached an intersection, a young lady on a bicycle was approaching on the crossroad. The old ram realized that if she had to wait for all those sheep to cross, she would be delayed for hours. The old ram knew he couldn't stop, because of all the sheep pushing from behind. Being the gentleman that he was, he came up with a creative solution; he jumped high in the air, giving her room to pass safely under and continue on her way. Late that night, as the young lady was safely at home and having supper, the sheep were still jumping over the same intersection, but no one knew why. What had started out as a creative idea turned into a senseless institution.::나의 아버지에게는 자신의 아버지로부터 배운, 사회적 관습에 관한 좋아하는 이야기가 하나 있었다. 현명한 늙은 숫양이 이끄는 엄청난 규모의 양 떼가 시골길을 따라서 이동하고 있었다. 선도하는 양이 교차로에 접근했을 때 자전거를 탄 한 젊은 여성이 교차하는 길에서 접근하고 있었다. 그 늙은 숫양은 그녀가 그 모든 양들이 지나가기를 기다려야 한다면 그녀가 가는 길이 몇 시간 동안 지체될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그 늙은 숫양은 뒤에서 미는 모든 양들 때문에 멈출 수 없다는 것을 알았다. 그는 그렇듯 신사였으므로, 창의적인 해결책, 즉 자신이 공중으로 높이 뛰어올라, 그녀에게 안전하게 밑으로 통과하여 가던 길을 계속해서 갈 수 있게 공간을 마련해주는 해결책을 생각해 냈다. 그날 밤 늦게, 그 젊은 여성이 안전하게 집에 도착하여 저녁 식사를 하고 있었을 때, 양들은 여전히 같은 교차로 위로 뛰어오르고 있었지만 왜 그러는지는 아무도 몰랐다.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시작되었던 것이 무의미한 관습으로 변해 버렸다.
영독 5::Many improvising actors talk about both the high they get from a good improvisation, and the terror they feel when a performance isn't going well. The unpredictability of group creativity can be frightening because failure is public. If a painter fails, he or she can paint over the canvas;. A writer can crumple up the paper and throw it away. But imagine if writers had to publish every single one of their manuscripts ─. That's the situation improve actors find themselves in every night. Mark Gordon, a director of and actor in The Compass Players, said, "It always felt to me like taking your pants off in front of an audience. A little terrifying." Ted Flicker, director of the first St Louis Compass and founder of the New York group The Premise, said, "Unless you've actually tasted what improvising in front of an audience feels like, you can't imagine the horror of it."::많은 즉흥 연기를 하는 배우들은 훌륭한 즉흥 연기로부터 얻는 매우 큰 성취감과 연기가 잘 되지 않을 때 느끼는 공포 둘 다에 대해 이야기한다. 집단 창의성의 예측 불가능성은 실패가 공개적이기 때문에 무서울 수 있다. 화가는 실패하더라도, 캔버스 위에 덧칠할 수 있다. 작가는 종이를 구겨서 그것을 버릴 수 있다. 하지만 작가가 자기 원고를 하나하나 모두 출판해야 한다면 어떨지 상상해 보라. 그것이 바로 즉흥 연기를 하는 배우들이 매일 밤 처하게 되는 상황이다. The Compass Players의 감독이자 배우인 Mark Gordon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저는 항상 관중 앞에서 바지를 벗는 것 같은 기분이 들었어요. 조금 무서운 일이죠." St Louis Compass의 초대 감독이자 뉴욕의 극단 The Premise의 설립자 Ted Flicker는 "관중 앞에서 즉흥 연기를 하는 것이 어떤 느낌인지 실제로 체험해 보지 않았다면, 그것이 주는 공포를 '상상할' 수 없습니다"라고 말했다.
영독 6::Dr. Zajonc's drive theory claims that the mere presence of an audience is arousing, and that this increases the tendency to produce dominant responses. If the dominant responses are appropriate or correct in relation to the task, performance will be enhanced, but if inappropriate, performance will be impaired compared to when the person performs the task alone. This means that tasks we are skilled at, which are well learned and of which we have a long history of experience are likely to be enhanced in front of an audience. In contrast, tasks at which we are not skilled or those in the early stages of learning will be performed even more poorly in front of an audience. Take the example of teaching; Zajonc's drive theory predicts that an experienced, skilled teacher will do well in front of a class. On the other hand, a new teacher may practise and rehearse at home and be satisfied with his or her performance. However, when the new teacher has to stand in front of a class he or she is likely to perform poorly, both according to his or her own expectations and to those of the students in the class.::Zajonc 박사의 추동 이론은 단순히 관중이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자극이 되며 이것이 지배적 반응을 만들어내는 경향을 증가시킨다고 주장한다. 그 지배적 반응이 그 과업과 관련하여 적절하거나 적당하면 수행이 향상되겠지만, 부적절하면 그 사람이 그 과업을 혼자 수행할 때에 비해 수행이 손상될 것이다. 이것은 능숙하게 잘하고, 잘 배웠으며, 오랜 시간의 경험을 가진 과업은 관중 앞에서 더 잘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에 반해서, 능숙하지 않거나 학습의 초기 단계에 있는 과업은 관중 앞에서 훨씬 더 서툴게 수행될 것이다. 가르치는 일의 예를 들어 보자; Zajonc의 추동 이론에서는 경험이 많고, 숙련된 교사가 학급 학생들 앞에서 잘할 것이라고 예측 한다. 반면에, 신임 교사는 집에서 연습하고 리허설을 하면서 자신의 수행에 만족할지 모른다. 그러나 그 신임 교사가 학급 학생들 앞에 서야 할 때는 자신의 기대 수준과 학급 학생들의 기대 수준 모두에 비추어 수업을 제대로 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영독 7::Although certainly not limited to America, the tall tale found fertile soil in what is now the United States, perhaps most notably in reference to the Western Frontier, which lent itself to hyperbole. As a result of the seemingly limitless horizon, the vast forests, the powerful rivers, and the other incredible natural features of the landscape of a largely unsettled America, a narrative genre that took exaggeration as its fundamental principle was utterly reborn in American storytelling. The tall tale is, first and foremost, an engaging and entertaining story about characters of utterly outsized proportions, a story of the "biggest," the "baddest," and the "best." Classically told with a straight face and a "just-the-facts" manner, the wildly exaggerated content of the tall tale is often related with ostentatious language in sharp contrast to its dry delivery. Considering the American cultural emphasis on greatness, it perhaps should come as no surprise that the genre of the tall tale has long struck a resonant chord in the American mind.::분명히 미국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tall tale(터무니없이 과장된 모험을 그린 이야기)'은 현재의 미국이 된 곳에서, 아마도 가장 뚜렷하게는 서부 개척지와 관련하여, 번성할 수 있는 환경을 찾았는데, 그곳은 과장된 서술에 적합한 곳이었다. 무한해 보이는 지평선, 광대한 숲, 힘차게 흐르는 강, 그리고 대체로 사람이 살지 않는 미국의 지형의 다른 놀라운 자연적 특징들의 결과로, 과장을 기본적인 원칙으로 취한 서사 장르가 미국의 스토리텔링 속에서 완전히 다시 태어났다. 'tall tale'은 다른 무엇보다도, 덩치가 아주 큰 등장인물들에 대한 매력적이고 재미있는 이야기, 즉 "가장 큰 사람들", "가장 멋진 사람들", 그리고 "가장 좋은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무표정한 얼굴과 '사실만을 말하는' 태도로 관행적으로 이야기되는 'tall tale'의 몹시 과장된 내용은 그것의 무미건조한 전달과 뚜렷한 대조를 이루는 화려한 언어와 흔히 결부된다. 거대함에 대한 미국의 문화적 강조를 고려할 때 'tall tale' 이라는 장르가 미국인들의 마음속에 오랫동안 공명을 일으켜 왔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닐 것이다.
영독 8::Afterimages can produce simultaneous contrast effects. If these are illusory colors, they nonetheless do much of the work of real colors, so much so that one can set up situations in which afterimage colors will be taken to be the colors of particular physical objects or of the light that illuminates them. For example, one can walk into a room to see a rapidly rotating disk illuminated by a bright light. The surface of the disk is seen to be a homogeneous bluish green. But when the disk is stopped, it is seen to be half white and half black, with a radial segment cut out at the boundary. If the disk is stopped at a particular angle of rotation, a red light may be seen through the cutout. The color the rotating disk was seen to have was entirely afterimage color, produced by the brief flash of red light that occurred at every rotation;. When the disk is rapidly turning the red light is never seen as red.::잔상은 동시대비 효과를 낳을 수 있다. 비록 이것들이 환상에 불과한 색이라 할지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들은 실제 색들이 하는 많은 일을 하는데 매우 많은 일을 하므로 잔상의 색이 특정한 물리적 물체의 색이나 그것들을 비추는 빛의 색으로 여겨질 상황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방으로 걸어 들어가서 밝은 불빛을 받는 빠르게 회전하는 디스크를 보는 경우가 있다. 그 디스크의 표면은 균일한 청록색으로 보인다. 하지만 디스크가 정지되면, 그것이 반은 흰색이고 반은 검은색으로 보이는데, 두 색의 경계에 부채꼴로 잘라낸 부분이 있다. 디스크가 특정 회전 각도에서 정지되면 잘라낸 부분을 통해 빨간색 불빛을 볼 수 있을 것이다. 회전하는 디스크가 지니고 있는 것처럼 보인 색은 전적으로 회전할 때마다 발생한 빨간색 불빛의 짧은 섬광에 의해 만들어진 잔상의 색이었다. 디스크가 빠르게 회전할 때 그 빨간색 불빛은 결코 빨간색으로 보이지 않는다.
영독 9::Hindsight bias has a particular way in which it manifests. Some people refer to hindsight bias as the "I-knew-it-all-along phenomenon." When you hear someone say, "I knew it all along" or "I knew that they would," they are demonstrating hindsight bias. When this happens we are selectively recalling an experience that supports the facts we have just learned, and, in actuality, we didn't know;. We were simply emboldened by the recently revealed facts to believe that we did. For instance, when a new hire is doing a good job it is common for us to tell our coworkers that we knew that person was going to do well, when, in fact, we did not know; we were just hoping. Likewise, if that same person starts performing poorly we are likely, without any critical reflection of our previous comments, to say, "I knew they weren't going to work out." Hindsight bias allows us to think that we are better at predicting than we really are.::사후 확신 편향은 그것이 나타나는 특별한 방식을 가지고 있다. 어떤 사람들은 사후 확신 편향을 '나는 처음부터 쭉 알고 있었어 현상'이라고 부른다. 누군가가 "나는 처음부터 쭉 알고 있었다" 또는 "나는 그들이 그럴 줄 알고 있었다"라고 말하는 것을 들을 때 그는 사후 확신 편향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것이 일어날 때 우리는 우리가 방금 알게 된, 그리고 실제로는 알지 못했던 사실을 뒷받침하는 경험을 선택적으로 떠올리고 있다. 우리는 최근에 드러난 사실에 의해 대담해져서 우리가 알고 있었다고 믿게 되었을 뿐이다. 예를 들어, 신입 사원이 일을 잘 해내고 있을 때, 우리가 그 사람이 잘하리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고 동료들에게 말하는 것은 흔한 일인데, 사실 그때 우리는 알지 못했고 그저 바랄 뿐이었다. 마찬가지로 같은 사람이 실적이 나빠지기 시작하면, 우리는 우리가 이전에 언급했던 것에 대한 어떠한 비판적인 숙고도 없이 "나는 그가 해내지 못할 줄 알았어"라고 말하기 쉽다. 사후 확신 편향에 의해 우리는 우리가 실제 그러한 것보다 예측하는 것에 더 능숙하다고 생각한다.
영독 10::The green movement is sometimes criticized for downplaying the cost of going green. Just as food movements have sometimes acted unaware of the difficulty of a working-class family negotiating not only its food budget but also the effect on that budget of the time constraints of working parents, so too did the early environmentalism movement sometimes pay too little attention to the financial effect of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 Recycling was an easy win because wartime rationing had conditioned people for it, and the gains were obvious and short-term. Switching to energy-saving lightbulbs is fairly easy to convince people to do, because of their longevity and the obvious long-term savings. Reducing water usage is more difficult, particularly given how low water bills tend to be relative to other utilities ─. A change in behavior may amount to only a few dollars a month, and those few dollars may seem like a more-than-reasonable price for longer showers and a well-watered lawn. Even water conservation is only asking for a behavioral change, however, and perhaps the expense of a low-pressure showerhead. Asking people to spend money on going green has historically been difficult.::때때로 환경 운동은 친환경적이 되는 데 드는 비용을 경시한다고 비난을 받는다. 음식과 관련된 운동들이 때때로 노동자 계층 가정이 그들의 식비 예산뿐 아니라 일하는 부모들의 시간 제약이 그 예산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는 어려움을 모른 채 행해져 왔듯이, 초기 환경 보호 운동도 때때로 환경적으로 책임 있는 행동을 하는 것의 재정적 영향에 너무 적은 관심을 보였다. 재활용은 전시의 배급제도가 그것을 하도록 사람들을 훈련해 주었었고, 그 이득이 분명하고 단기적이었기 때문에 쉽게 성공했다. 에너지 절약형 전구로 바꾸는 것은 사람들에게 하도록 설득하기가 꽤 쉬운데 왜냐하면 그것들의 수명이 길고 분명 장기적으로 돈이 절약되기 때문이다. 물 사용량을 줄이는 것은 특히 다른 공공서비스에 비해 수도요금이 얼마나 낮은 경향이 있는지를 고려하면, 더 어렵다. 즉 행동의 변화는 한 달에 단지 몇 달러에 불과할 수도 있고, 그 몇 달러는 더 오랜 샤워와 물을 잘 준 잔디에 대한 아주 적정한(싼) 가격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런데 심지어 물 보존은 행동의 변화와 아마도 저압 샤워 꼭지 비용을 요구하고 있을 뿐이다. 사람들에게 친환경적이 되는 데 돈을 쓰라고 요구하는 것은 역사적으로 힘들었다.
영독 11::It's amazing how much you can learn about your friends and family, your job, the organization you work in, and yourself when you decide to really listen to others. But not everyone understands this benefit. For example, we heard a story about a tennis pro who was giving a lesson to a new student. After watching the novice take several swings at the tennis ball, the pro stopped him and suggested ways he could improve his stroke. But each time he did, the student interrupted him and gave his opinion of the problem and how it should be solved. After several interruptions, the pro began to nod his head in agreement. When the lesson ended, a woman who had been watching said to the pro, "Why did you go along with that arrogant man's stupid suggestions?" The pro smiled and replied, "I learned a long time ago that it is a waste of time to try to sell real answers to anyone who just wants to buy echoes." Beware of putting yourself into a position where you think you know all the answers. Anytime you do, you'll be putting yourself in danger. It's almost impossible to think of yourself as "the expert" and continue growing and learning at the same time.::다른 사람들의 말을 진정으로 경청하기로 할 때 여러분이 여러분의 친구와 가족 직업, 여러분이 일하는 조직 그리고 여러분 자신에 대해 얼마나 많이 배울 수 있는지는 놀랍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이 이득을 이해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새로 온 학생에게 교습을 하고 있던 테니스 프로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다. 그 초보자가 테니스공을 여러 번 스윙하는 것을 지켜본 후, 프로는 그를 멈추고 그의 타법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했다. 그러나 매번 그가 그렇게 할 때마다, 그 학생은 그의 말을 가로막았고, 문제와 그것이 어떻게 해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말했다. 몇 번 중단을 당한 후 프로는 동의하며 고개를 끄덕이기 시작했다. 교습이 끝났을 때 지켜보고 있었던 한 여자가 프로에게 "왜 그 오만한 남자의 어리석은 제안에 동조했습니까"라고 말했다. 프로는 미소를 지으면서 "나는 누구든 단지 공감을 사고 싶은 사람에게 진짜 답을 납득시키려 애쓰는 것은 시간 낭비라는 것을 오래 전에 배웠습니다"라고 대답했다. 여러분이 모든 답을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입장을 취하는 것을 경계하라. 여러분이 그럴 때마다, 여러분은 자신을 위험에 빠뜨릴 것이다. 자신을 전문가라고 생각하면서 동시에 계속해서 성장하고 배우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영독 12::The quality of a decision cannot be determined unambiguously by its outcome. For example, most of us believe it would be foolish to accept a bet that the next time we throw a pair of dice we will roll "snake eyes." (The actual chance of throwing two ones, "snake eyes," is 1/36.) Moreover, we would regard the person who accepted such a bet as a poor decision maker ─. Even if he or she happened to roll snake eyes. On the other hand, if that person were in danger of physical harm or death at the hands of a loan shark, and that bet were the only way to raise enough money to avoid harm, then the person might not seem so foolish. What this example illustrates is that it is the potential outcomes, their probabilities, and their values to the decision maker at the time the decision is made that lead us to judge a particular choice to be wise or foolish. A general who is losing a war, for example, is much wiser to engage in a high-risk military venture than is a general who is winning a war. The failure of such a venture might not reflect unfavorably on the decision-making ability of the losing general; it is more "rational" for the losing general to take a risk.::결정의 질은 명확하게 그 결정의 결과에 의해 결정될 수 없다. 예를 들어, 우리 대부분은 다음번에 주사위 두 개를 던질 때 '1의 눈이 두 개 나오게' 굴린다는 내기를 받아들이는 것은 어리석은 일일 거라고 믿는다. (1이 2개, 즉 '1의 눈이 2개 나오도록' 던질 실제 확률은 1/36이다.) 게다가 우리는 그러한 내기에 응하는 사람을 결정을 잘 못하는 사람으로 간주할 것이다. 비록 그 사람이 우연히 1의 눈이 2개 나오도록 굴리더라도 말이다. 반면에, 만약 그 사람이 악덕 사채업자의 손에 의해 신체적 피해나 죽음의 위험에 처해 있고, 그 내기가 피해를 피하기에 충분한 돈을 모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면, 그 사람은 그렇게 어리석어 보이지 않을 것이다. 이 예가 분명히 보여주는 바는 우리에게 특정한 선택을 현명하거나 어리석다고 판단하게 하는 것은 바로 '그 결정이 내려지는 시점에서' 잠재적 결과들, 그것들의 확률 및 의사 결정자에 대하여 그것들이 가지는 가치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전쟁에서 지고 있는 장군은 전쟁에서 이기고 있는 장군보다 위험성이 높은 군사상의 모험을 하면 훨씬 더 현명하다. 그러한 모험의 실패는 지고 있는 장군의 결정 능력에 나쁘게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인데 지고 있는 장군이 모험을 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기 때문이다.
영독 13::Emotions are an important link between human nature and culture. The analysis of the place of emotions in human behavior has an extensive history. It starts appropriately with Darwin and his 1872 book The Expression of the Emotions in Man and Animals. Darwin believed that many, though not all, emotional expressions in humans are innate. In making his case, Darwin drew on four kinds of evidence. He pointed out that some emotional expressions appear in similar form in many nonhuman animals. Some emotions also appear in very young children before much opportunity for cultural learning has occurred. Moreover, some are expressed in identical ways by humans born blind and thus unable to mimic the appearance of a gesture or expression. Finally, many emotional expressions appear in similar form across all human groups. Smiling is an example of an emotion that offers all four of these kinds of evidence.::감정은 인간의 본성과 문화를 연결하는 중요한 고리이다. 인간의 행동에서 감정의 위치에 대한 분석은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것이 다윈과 그의 1872년의 책 'The Expression of the Emotions in Man and Animals'로 시작한다는 것은 적절하다. 다윈은 전부는 아니더라도 인간의 많은 감정의 표현들은 선천적이라고 믿었다. 자기 주장의 정당성을 입증할 때, 다윈은 네 가지 종류의 증거를 이용했다. 그는 일부 감정의 표현들은 인간 이외의 많은 동물들에게 비슷한 형태로 나타난다고 지적했다. 일부 감정들은 또한 문화 학습의 많은 기회가 생기기 전에 매우 어린 아이들에게 나타나기도 한다. 더욱이 어떤 것들은 시각장애인으로 태어나서 몸동작이나 (감정) 표현의 모습을 흉내 낼 수 없는 인간에 의해 동일한 방식으로 표현된다. 마지막으로 많은 감정의 표현들은 모든 인간의 집단에 두루 비슷한 형태로 나타난다. 미소 짓는 것은 이런 모든 네 가지 종류의 증거를 제공하는 감정의 한 사례이다.
영독 14::Different bacterial species need different nutrients;. Some prefer sugar, and others live off fat. But they not only fight with one another for food, and to retain a foothold in the ecosystem. Your gut bugs often want different things than you do, and they're not shy about going after their goals. Your gut bugs have the ability to impact your behavior and mood by altering the neural signals in your vagus nerve. They change taste receptors and produce toxins to make you feel bad when you don't eat the things they want, or release chemical rewards to make you feel good when you do. So the bacteria inside your gut are actually manipulating you. It's important to understand this, because it's what makes it so hard to change your diet;. The bugs inside you are playing you like a big marionette, trying to force you to give them what they crave. It's a carrot and stick approach.::서로 다른 박테리아 종에게는 서로 다른 영양소가 필요하다. 어떤 것들은 당분을 선호하고, 다른 것들은 지방으로 살아간다. 그러나 그것들은 먹이를 얻기 위해서, 그리고 생태계 내에서 발판을 유지하기 위해서, 서로 간에 싸우기만 하는 것은 아니다. 소화관 미생물은 흔히 여러분이 원하는 것과는 다른 것들을 원하며, 자신들의 목표를 추구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소화관 미생물은 여러분의 미주 신경의 신경 신호를 바꿈으로써 여러분의 행동과 기분에 영향을 미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그것들은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여러분이 먹지 않을 때 미각 수용기를 변화시키고 독소를 생산하여 여러분을 기분 나쁘게 만들거나, 여러분이 '그것들이 원하는 것을 먹을' 때 화학적 보상 물질을 방출하여 여러분을 기분 좋게 만든다. 따라서 여러분 소화관 내의 박테리아는 사실상 여러분을 조종하고 있다. 이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데, 왜냐하면 그것이 바로 여러분의 식단을 바꾸는 것을 매우 어렵게 만들기 때문이다. 몸 속의 미생물은 여러분을 큰 꼭두각시처럼 다뤄 그것들이 몹시 원하는 것을 여러분이 주도록 강요하고자 한다. 그것은 당근과 채찍 접근법이다.
영독 15::Ideas can be misleading when they are taken out of the big picture context, or when something is evaluated without reference to its alternatives. Imagine someone said that he is from a place where a loaf of bread costs a nickel. To make that information meaningful, most people would automatically ask about the typical earnings of an individual from that place. However, too often when we receive information, we fail to ask, "compared to what?" For example, if the news tells us that a new surgical method has led to 3,000 deaths, we jump to the conclusion that the surgical method is dangerous. But dangerous relative to what? Does not having surgery to correct the illness lead to more deaths? What treatment was used previously, and how did patients fare with it? Considering issues in an appropriate context will help you accurately evaluate the pros and cons of a decision.::개념이 오도할 수 있는 경우는 그 개념이 전체 상황의 맥락 밖으로 내보내질 때, 혹은 어떤 것이 다른 방도를 참고하지 않고서 평가될 때이다. 어떤 사람이 빵 한 덩이가 5센트인 곳 출신이라고 말했다고 가정해 보라. 그 정보를 유의미하게 만들기 위해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동적으로 그곳 사람의 일반적인 소득에 관하여 물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정보를 받을 때, ''무엇에 비해"라고 묻지 않는 경우가 너무 많다. 예를 들어 뉴스가 우리에게 새로운 수술 방법이 3,000명의 사망을 일으켰다고 말할 때 우리는 그 수술 방법이 위험하다는 속단을 내린다. 그러나 무엇에 비해 위험한가? 그 질병을 고치는 수술을 받지 않는 것이 더 많은 사망을 일으키는가? 전에 어떤 치료법이 사용되었는가, 그리고 환자들이 그것으로 어떻게 되었는가? 적절한 상황에서 쟁점을 고려하는 것이 어느 결정에 대한 장단점을 정확하게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영독 16::Because all evidence of the past can only be found in the present, creating a story about the past inevitably implies interpreting this evidence in terms of processes with a certain history of its own. We do so, because we experience bo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our own persons to be such processes. As a result, all historical accounts are reconstructions of some sort, and thus likely to change over time. This also means that the study of history cannot offer absolute certainties, but only approximations, of a reality that once was. In other words, true historical accounts do not exist. This may sound as if there is endless leeway in the ways the past is viewed. In my opinion, that is not the case. Just as in any other field of science, the major test for historical reconstructions is whether, and to what extent, they accommodate the existing data in a concise and precise manner.::과거의 모든 증거가 현재에만 발견될 수 있기 때문에 과거에 관한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것은 필연적으로 그 자체의 특정한 역사를 가진 과정의 관점에서 이런 증거를 해석하는 것을 수반한다. 우리가 그렇게 하는 이유는 주변 환경과 우리 자신의 모습이 둘 다 그런 과정임을 경험으로 알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모든 역사적 설명은 일종의 재구성이며, 따라서 시간이 지나면서 변할 가능성이 있다. 이것은 또한 역사의 연구가 한때 있었던 사실에 대한 절대적인 확신이 아니라 오직 근사치만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다시 말해서 진정한 역사적 설명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은 마치 과거를 보는 방식에 끊임없는 자유재량의 여지가 있는 것처럼 들릴 수 있다. 내 생각으로는 그것은 사실이 아니다. 다른 모든 과학의 분야에서처럼, 역사적 재구성을 위한 주요 기준은, 그것이 현존하는 자료를 간결하고 정학하게 담아내는지의 여부와 그 정도이다.
영독 17::Sleep is essentially a time-management adaptation. Our body's internal clock evolved to keep us out of circulation when there's not much of a living to be made ─ at 3 A.M., for instance ─ and awake when there is. Consider the brown bat, perhaps the longest-sleeping mammal of them all. It sleeps twenty hours a day and spends the other four, at dusk, hunting mosquitoes and moths. Why only four hours at dusk? Because that's when food is plentiful. But also because, as Jerome Siegel, a neuroscientist at UCLA, says, "increased waking time would seem to be highly maladaptive for this animal, since it would expend energy and be exposed to predatory birds with better vision and better flight abilities." Siegel argues that our obsession with sleep quality and duration is, in a sense, backward. "We spend a third of our life sleeping, which seems so maladaptive ─ 'the biggest mistake nature has made,' scientists often call it," he told me. "Another way of looking at it is that unnecessary wakefulness is a bigger mistake."::수면은 본질적으로 시간 관리의 적응이다. 우리 신체의 체내 시계는 진화해서 가령 새벽 3시처럼 꾸릴 생계가 많이 없는 때에는 우리가 활동을 하지 않고 꾸릴 생계가 많을 때에는 깨어있게 되었다. 모든 포유류 중에 아마도 가장 잠을 오래 자는 갈색 박쥐를 생각해 보라. 그 박쥐는 하루에 스무 시간 동안 잠을 자고 나머지 네 시간을 해 질 무렵에 모기와 나방을 사냥하며 보낸다. 왜 해 질 무렵 단지 네 시간뿐일까? 그때가 먹이가 풍부한 때이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UCLA의 신경 과학자인 Jerome Siegel이 말하듯 "깨어있는 시간의 증가는 이 동물에게 매우 부적응적인 것처럼 보일 텐데, 왜냐하면 그렇게 되면 그 동물이 에너지를 소비할 것이고, 더 좋은 시력과 더 좋은 비행 능력을 갖춘 육식성 조류에 노출될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수면의 질과 지속 시간에 집착을 하는 것이 어떤 의미에 있어서는 퇴행적이라고 Siegel은 주장한다. "우리는 잠을 자며 인생의 3분의 1을 보내는데, 이는 매우 부적응적으로 보이고, 과학자들은 흔히 이를 자연이 한 최대의 실수라고 부른다"라고 그는 나에게 말했다. "관점을 바꿔서 생각하면 불필요하게 깨어있는 것이 더 큰 실수이다."
영독 18::Through recent decades academic archaeologists have been urged to conduct their research and excavations according to hypothesis-testing procedures. It has been argued that we should construct our general theories, deduce testable propositions and prove or disprove them against the sampled data. In fact, the application of this 'scientific method' often ran into difficulties. The data have a tendency to lead to unexpected questions, problems and issues. Thus, archaeologists claiming to follow hypothesis-testing procedures found themselves having to create a fiction. In practice, their work and theoretical conclusions partly developed from the data which they had discovered. In other words, they already knew the data when they decided upon an interpretation. But in presenting their work they rewrote the script, placing the theory first and claiming to have tested it against data which they discovered, as in an experiment under laboratory conditions.::최근 몇십 년 동안 내내 학계의 고고학자들은 가설 검증 절차에 따라 연구와 발굴을 수행하라고 촉구받아 왔다. 우리가 일반적인 이론을 구축하고 검증할 수 있는 명제를 추론하며, 그것을 표본 자료와 비교하여 증명하거나 반증을 들어야 한다고 주장되어 왔다. 사실 이런 과학적 방법의 적용은 자주 어려움에 봉착했다. 자료는 예상치 못한 질문, 문제 그리고 쟁점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가설 검증 절차를 따를 것을 주장하는 고고학자들은 자신도 모르게 가공의 이야기를 써야 했다. 실제는 그들의 연구물과 이론적 결론은 부분적으로 자신들이 발견했던 자료에서 비롯되었다. 다시 말해서 그들이 어떤 해석으로 결정할 때 이미 그 자료를 알고 있었다. 그러나 연구물을 발표할 때 그들은 실험실 조건하의 실험에서처럼 이론을 먼저 두고 그것을 자신들이 발견한 자료와 비교하여 검증했다고 주장하면서 대본을 다시 작성했다.
영독 19::An entrepreneur can come up with her "big idea"─ and in social enterprise, it can be big across the profit or the social-good dimension, or both ─ and pour her savings and personal credit into it. But this bootstrapping has obvious limits. Depending on the entrepreneur's personal network, friends and family may provide additional investment to help her get up and running, produce early proof of concept, or operate a single location. Other than for the independently wealthy and exceedingly well connected, though, a successful business will reach a point where it requires outside investment. When this moment arrives will depend on the industry in which a business operates as well as the entrepreneur's own balance sheet. Whether an entrepreneur needs to find investors to support prototype development, geographic expansion, increasing market share, or some other strategy, seeking scale requires access to capital.::기업가는 자신의 '대단한 아이디어'를 생각해 낼 수 있는데, 사회적 기업에서는 그것이 이윤이나 사회적 선행 차원, 또는 둘 다에 있어서 대단할 수 있으며, 기업가는 그것에 자신의 저축과 개인 신용을 쏟아 부을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자력으로 해결하려는 것에는 명백한 한계가 있다. 기업가의 개인 네트워크, 친구 그리고 가족에 의존하는 것은 기업가가 정상적으로 영업을 하거나, 개념 증명을 초기에 내놓거나 단일 장소를 경영하도록 돕기 위한 추가적인 투자금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자립적으로 부유하고 연줄이 월등히 좋은 사람들을 제외하고, 성공적인 사업체는 외부 투자가 필요한 시점에 다다를 것이다. 이 시점이 언제 오는지는 기업가 자신의 대차 대조표뿐만 아니라 사업체가 운영되는 산업 분야에 달려 있을 것이다. 시제품 개발, 지리적 확장, 증가하는 시장 점유율 또는 다른 기타 전략을 지원할 투자자들을 찾을 필요가 기업가에게 있든지 간에, 규모를 키우려면 자본의 이용이 필요하다.
영독 20::There is no single philosophical method that all philosophers share. In fact, philosophers have long disagreed so deeply about the best or proper way to do philosophy that sometimes they even claim that their own particular philosophical method produces the only real philosophy; the rest is either worthless or belongs to some other discipline. Contemporary philosophers of many kinds (traditional, postmodern, feminist, and others) debate what kind of philosophy is worth doing at all. Similarly, neither do all feminists in general nor feminist philosophers in particular agree on a single method. Although consciousness raising is extremely valuable for feminists (even sometimes considered to be the core of feminist method), it is rarely used alone in feminist scholarship. Instead, it is combined with numerous disciplinary approaches. In addition, feminist philosophers have various methodological preferences within philosophical traditions.::모든 철학자가 공유하는 하나의 철학적 방법론은 없다. 사실, 철학자들은 철학을 하는 가장 좋은 또는 올바른 방법에 관해 오랫동안 매우 극심하게 뜻이 맞지 않아서 가끔은 심지어 그들 자신의 특정한 철학적 방법론이 유일한 '진짜 철학'을 낳으며, 나머지는 가치 없거나, 다른 어떤 학문 분야에 속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많은 종류(전통, 포스트모던, 페미니스트 등)의 현대 철학자들은 도대체 어떤 종류의 철학이 할 가치가 있는지를 논쟁한다.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모든 페미니스트나 특별히 페미니스트 철학자들은 하나의 방법론에 합의하지 않는다. 비록 페미니스트에게는 의식 고양이 매우 유용하지만(심지어 때로는 페미니스트 방법론의 핵심으로 여겨지기도 함), 그것이 페미니스트 학문에서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 대신에, 그것은 다수의 학문적 방법과 결합된다. 게다가, 페미니스트 철학자들은 철학적 전통 내에서 방법론적인 선호가 각양각색이다.
영독 21::Given the dominance of economics in public life, it is no surprise that so many university students, if given the chance, opt to study a little as part of their education. Every year, around five million college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alone graduate with at least one economics course under their belts. A standard introductory course that originated in the United States ─ and is widely known as Econ 101 ─ is now taught throughout the world, with students from China to Chile learning from translations of the very same textbooks used in Chicago and Cambridge, Massachusetts. For all of these students, Econ 101 has become a staple part of a broad education, whether they then head off to become an entrepreneur or doctor, journalist or political activist. Even for those who never study economics, the language and mindset of Econ 101 so pervades public debate that it shapes the way that we all think about the economy; what it is, how it works, and what it is for.::공적 생활에서 경제학의 우세를 고려해볼 때, 아주 많은 대학생들이 기회가 주어진다면 자신의 교육 일부로 (경제학을) 약간은 공부하기로 선택한다는 사실은 놀랄 일이 아니다. 매년, 미국에서만 대략 오백만 명의 대학생들이 적어도 하나의 경제학 과목은 경험하고 졸업한다. 미국에서 시작된 그리고 Econ 101로 널리 알려진 표준 입문 과목을 이제 전 세계에서 가르치고 있으며, 중국에서부터 칠레의 학생에 이르기까지 시카고와 매사추세츠주(州)의 케임브리지에서 사용되는 바로 그 똑같은 교과서의 번역본으로 배운다. 이 모든 학생들에게, Econ 101은 그들이 그 뒤에 (대학을) 떠나서 기업가나 의사, 언론인이나 정치 활동가가 되든지 간에 폭넓은 교육의 주요한 일부가 되었다. 심지어 경제학을 절대 공부하지 않는 학생들에게 조차도, Econ 101의 언어와 사고방식은 공개 토론에 매우 만연해 있어서 그것은 우리 모두가 경제에 관해 생각하는 방식, 즉 그것이 무엇인지, 어떻게 작용하는지, 그리고 무엇을 위한 것인지에 대한 생각을 형성한다.
영독 22::Speaking of marrying creativity and business, I've discovered that a rock star and a brain surgeon have something in common. It's not that either one would be particularly good at the other's craft (and I'm not sure which crossover would produce the more disastrous results), but rather that each one is capable of performing his craft brilliantly, and generating huge sums of money, without the need for any financial skills. In most businesses, before you can start earning big money, you have to be pretty well schooled in how the business works. For example, if you open up a shoe store, you have to work up a budget, negotiate a lease, bargain for the price of the shoes, and so forth ─ all before you smell that first foot. But in entertainment, as in surgery, you can soar to the top without any business expertise.::창의력과 사업을 결합시키는 것에 관해 말하자면, 나는 록스타와 뇌 전문 외과 의사가 공통점이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것은 둘 중의 어느 하나가 상대방의 기술에 특별히 능숙할 것이라는 게 아니라(그리고 나는 어떤 식의 걸치기가 더 처참한 결과를 낳을지 확신할 수 없다), 오히려 어떠한 재정적인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도 각각이 자신의 기술을 훌륭하게 수행하며 막대한 액수의 돈을 벌어 들일 수 있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사업체에서는 많은 돈을 벌기 시작할 수 있게 되기 전에, 그 사업체가 어떻게 돌아가는지에 대해 교육을 대단히 잘 받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만약 여러분이 신발 가게를 연다면, 여러분은 그 첫 번째 발의 냄새를 맡기 전에(첫 번째 신발 고객을 맞이하기 전에) 예산을 세워야 하고, 임대차 계약을 성사시켜야 하고, 신발의 가격을 흥정해야 하고, 기타 등등을 전부 해야 한다. 하지만 엔터테인먼트에서는, 외과 의술에서와 마찬가지로, 어떠한 사업적 전문 지식 없이도 정상에 오를 수 있다.
영독 23::Academic work is by its nature never done;. While flexibility of hours is one of the privileges of our work, it can easily translate into working all the time or feeling that one should. Mary Morris Heiberger and Julia Miller Vick note this paradox:. "Despite their heavy workloads, academics have more freedom to structure their own time than practically anyone else in the economy. For some people, this is the great advantage of the career path; for others, it is a source of stress." Furthermore, given the time and money required to get a PhD and its uncertain economic returns, it is clear that most of us pursue an academic career for idealistic, rather than pragmatic, reasons. And while believing in what one does is a key aspect of job satisfaction, idealism also can lead to overwork. The irony is that the more committed we are to our vocation, the more likely it is that we will experience time stress and burnout.::학문은 본질적으로 절대 끝나지 않는다. 시간에 대한 융통성이 우리가 하는 일의 특권 중 하나이지만, 그것은 항상 일하는 것 또는 항상 일해야 한다고 느끼는 것으로 쉽게 이어질 수 있다. Mary Morris Heiberger와 Julia Miller Vick은 이러한 역설에 관해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 "과중한 업무량에도 불구하고, 교수들은 경제 체제 내에서 거의 다른 누구보다도 자신만의 시간을 조직화할 수 있는 자유를 더 갖고 있다. 몇몇 사람들에게는 이것이 그 진로의 큰 장점이며, 다른 사람들에게는 이것이 스트레스의 근원이다." 더 나아가, 박사 학위를 얻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과 돈 그리고 그것의 불확실한 경제적 수익을 고려해볼 때, 우리 대부분이 실용적인 이유라기보다는, 이상적인 이유로 학자로서의 직업을 추구하는 것이 분명하다. 그리고 하는 일의 가치를 믿는 것이 직업 만족감의 중요한 측면이지만, 이상주의는 또한 과로로 이어질 수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우리의 직업에 더 많이 헌신할수록 시간적 스트레스와 극도의 피로를 경험할 가능성이 더 커진다.
영독 24::All the branches of science such as life sciences, botany, zoology, physiology, physics, chemistry, agriculture and geology, etc․ are correlated and interrelated with each other. For example, if we are studying a geology lesson on the rocks and minerals of the Earth, then we must be studying the chemical composition, structure and properties of these rocks and minerals. Similarly, in the study of agriculture, the knowledge of rocks and chemicals is involved. The study of rocks and soil helps in choosing different types of soils for different crops. The knowledge of chemistry helps us in determining different types of manures. Therefore, it is always worthwhile to deal with different branches of science in a unified manner for the benefit of students. It is necessary to bring out correlation of one branch of science with another branch to make science education more meaningful and effective.::생명 과학, 식물학, 동물학, 생리학, 물리학, 화학, 농학, 그리고 지질학 등과 같은 과학의 모든 분야는 서로 연관되어 있고 상호 관계되어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우리가 지구의 암석과 광물에 관한 지질학 단원을 공부하고 있다면, 그렇다면 우리는 이런 암석과 광물의 화학적 구성, 구조와 성질을 공부하고 있을 것이 틀림없다. 마찬가지로 농학 공부에서도, 암석과 화학 물질에 관한 지식이 포함되어 있다. 암석과 토양에 관한 공부는 각각 다른 농작물에 대한 다른 종류의 토양을 선택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화학에 관한 지식은 우리가 각기 다른 종류의 거름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러므로 학생을 위해 과학의 여러 다른 분야들을 통일된 방식으로 다루는 것은 항상 가치가 있다. 과학 교육을 더욱 의미 있고 효과적으로 만들기 위해 과학의 한 분야와 다른 분야와의 연관성을 끌어내는 것이 필요하다.
영독 25::On a large scale, weather plays a big role in the economic health of every nation on Earth. A timely soaking rain can rescue a crop from ruin, while a sudden cloudburst can wash it away. And farmers aren't the only ones at risk; those who depend on natural gas for heat often watch in dismay as a particularly cold winter sends prices skyward. Hurricanes can drive tourists away from areas that depend on a regular influx of visitors for their livelihoods. Even a gentle phenomenon like fog can result in disaster, as the captains of the Andrea Doria and the Stockholm learned one fateful July night in 1956. And during the Dust Bowl of 1936, one of the hottest and driest summers ever recorded, more than 15,000 people died of malnutrition and dust-related diseases.::큰 규모에서, 날씨는 지구상 모든 나라의 경제적 건실함에 큰 역할을 한다. 시기 적절하게 흠뻑 적시는 비는 농작물을 파멸로부터 구해낼 수 있지만, 갑작스러운 폭우는 농작물을 유실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농부들이 위험에 처한 유일한 사람들인 것은 아닌데, 천연 가스에 난방을 의존하는 사람들은 특별히 추운 겨울이 가격을 치솟게 할 때 자주 낙담하여 지켜본다. 허리케인은 방문객들의 지속적인 유입에 생계를 의존하는 지역에서 관광객들을 쫓아 버릴 수 있다. Andrea Doria호와 Stockholm호의 선장들이 1956년 운명적인 7월 어느 날 밤에 깨닫게 된 것처럼, 심지어 안개와 같은 심하지 않은 현상도 재난을 일으킬 수 있다. 그리고 이제까지 기록된 가장 덥고 건조했던 여름들 중의 하나인 1936년의 '황진 시대' 동안에, 15,0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영양실조와 먼지 관련 질병으로 사망했다.
영독 26::Defining a strict upper depth boundary for deep-sea fishes is problematic. Below 1000m, the oceans are totally devoid of solar light, the temperature is generally less than 4℃ and there is no doubt that fishes living in these cold dark conditions can be considered to be deep-sea species. However, between 200 and 1000m there is a transition zone where, although there may be sufficient light for vision using highly sensitive specially adapted eyes, life is more or less unsustainable for normal surface-dwelling fishes. This zone contains some of the most interesting deep-sea fishes that are obviously different from shallow species. Despite living deep, many species have eggs that float to the surface so that larvae can develop in the plentiful food supply in the surface layers. In the open ocean many deep-sea fishes migrate towards the surface at night and descend again at dawn to pass the day in darkness and the cold waters below. Thus deep-sea fishes do not necessarily pass their entire life cycle in the deep sea, and adults may not be restricted entirely to depths greater than 200m.::심해어류에 엄밀한 상위 수심 경계선을 규정하는 것은 문제가 많다. 1,000미터 아래에서 바다는 태양 빛이 전혀 없고, 온도는 대개 섭씨 4도 미만인데, 그래서 이러한 차갑고 깜깜한 환경에서 사는 물고기들이 심해 어종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200미터에서 1,000미터 사이에서는, (빛에) 매우 민감한 특별히 적응한 눈을 사용하는 시력에는 빛이 충분할 수 있지만, 표층에 사는 보통 어류에게 삶이 거의 지속 불가능한 전이대가 있다. 이 전이대에는 얕은 수심의 어종들과는 확연히 다른 가장 흥미로운 심해어류의 일부가 있다. 깊은 곳에 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어종들에게는 자어(任魚)가 표층에서 풍부하게 먹이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자랄 수 있도록 수면으로 떠오르는 알이 있다. 외해(外海)에서 많은 심해어류는 밤에 수면을 향하여 이동하고, 새벽에 다시 내려가서 어둠 속에서 그리고 아래쪽의 차가운 바다에서 낮을 지낸다. 따라서 심해어류는 그들의 생애 주기 전체를 반드시 심해에서 보내지는 않으며, 성어들이 전적으로 200미터보다 더 대단한 심해로 제한되지는 않을 수 있다.
영독 27::There are no general strategies for conducting an argument because the specific something arguments are always about will always be embedded in a social or institutional setting in relation to which some, but not all, strategies will be relevant and, at least potentially, effective. In the political arena, one tried-and-true strategy is to damage the reputation of your opponent, accusing him or her of all manner of crimes, lies, betrayals, improprieties, and failures of judgment. But if you do that in an academic argument ─ an argument between two scholars about the interpretation of a poem or the correct account of a historical event ─ you might be rebuked and sent away because you will have disregarded the decorum of the academic game. The ways of argument are context-specific and while there are surely some general things to be said about argument, and an entire intellectual tradition called rhetoric dedicated to saying them, in the end the study of argument will be a study of the various contexts in which one encounters argument in its various forms.::논쟁을 하기 위한 일반적인 전략은 없는데, 왜냐하면 논쟁이 항상 대상으로 삼는 어떤 특정한 것은 으레 사회적 혹은 제도적 배경 속에 깊이 박혀 있을 것이며 그 배경과 관련하여 전부는 아닌 일부의 전략이 적절하고 적어도 잠재적으로 효과적일 것이기 때문이다. 정치 활동 무대에서 유효성이 증명된 하나의 전략은 여러분의 상대를 온갖 종류의 범죄, 거짓말 배반, 부적절한 행동, 그리고 판단 실패에 대해 비난하면서 그 상대의 평판에 손상을 주는 것이다. 하지만, 여러분이 어떤 시의 이해에 관한, 혹은 어떤 역사적 사건의 적절한 설명에 관한 두 학자들 사이의 논쟁과 같은 학문적인 논쟁에서 그렇게 한다면, 여러분은 학문적인 활동의 예의를 무시했을 것이므로 책망을 받고는 쫓겨날지도 모른다. 논쟁의 방식은 상황에 따라 특유하며, 분명히, 논쟁에 관해 이야기되는 몇몇 일반적인 것들과 그것들을 이야기하는 데에 전념하는 수사법이라 불리는 온전한 하나의 지적 전통이 있지만, 결국 논쟁의 연구는 논쟁을 다양한 형태로 마주치게 되는 다양한 상황에 관한 연구가 될 것이다.
영독 28::Today, most of our planet's big animals live in industrial farms. We imagine that the earth is populated by lions, elephants, and penguins, roaming freely across vast savannas and oceans. That may be true of the National Geographic channel, Disney movies, and children's fairy tales, but it is no longer true of the real world outside the TV screen. The world contains forty thousand lions and one billion domesticated pigs; five hundred thousand elephants and 1.5 billion domesticated cows; fifty million penguins and fifty billion chickens. In 2009, a census counted 1.6 billion wild birds in Europe, including all species together. That same year, the European meat and egg industry raised close to seven billion chickens. A large portion of vertebrate animals living on our planet are no longer free-living but rather are owned and controlled by one animal; Homo sapiens.::오늘날 우리 행성의 큰 동물들의 대부분은 산업식 사육장에서 산다. 우리는 광대한 사바나와 대양 전역을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사자들, 코끼리들 그리고 펭귄들이 지구에 살고 있다고 상상한다. 그것은 아마도 내셔널 지오그래픽 채널, 디즈니 영화, 그리고 아이들의 동화에는 해당할지 모르지만, 더 이상 텔레비전 화면 밖의 실제 세계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세계에는 4만 마리의 사자와 10억 마리의 사육되는 돼지가, 50만 마리의 코끼리와 15억 마리의 사육되는 소가, 5천만 마리의 펭귄과 500억 마리의 닭이 있다. 2009년에, 유럽에서는 개체 수 조사에서 모든 종을 죄다 포함해 16억 마리의 야생 조류의 수가 파악되었다. 같은 해에 유럽의 육류 및 달걀 산업은 거의 70억 마리의 닭을 사육했다. 우리 행성에 사는 척추동물의 많은 부분은 더 이상 자유롭게 살지 않고, 오히려 호모 사피엔스[인간]라는 하나의 동물에 의해 소유되고 통제된다.
영독 29::Political acts vary in their capacity to convey information about what citizens want and need. The vote is a notably blunt instrument of communication. Although winning candidates often claim a "mandate," in truth they usually have only an imprecise understanding of what was on the minds of the voters who placed them in office. In contrast, the many forms of direct expression of preferences ─ a sign at a demonstration, an e-mail to a senator's office, a prepared statement at a meeting of the local zoning board ─ can communicate clear and, in some circumstances, quite specific messages. Organized interests are especially likely to communicate detailed information when they contact public officials, and this information frequently helps in the process of policy formation, although it presents a particular point of view.::정치적 행위들은 시민들이 무엇을 원하고 필요로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능력에서 각기 다르다. 투표는 특히 무딘 의사소통 수단이다. 승리한 후보들이 자주 '위임받은 권한'을 주장하지만 사실 그들은 대개 자신들을 공직에 앉혀 준 유권자들의 마음에 있는 것을 부정확하게 이해할 뿐이다. 그에 반해서, 선호하는 바에 대한 여러 직접 표현 방식들은, 가령 시위에서의 팻말, 상원 의원 사무실로 보내는 이메일, 지역 구획 위원회 회의에서의 미리 준비된 진술은, 분명하고 일부 상황에서는 꽤 구체적인 메시지를 전달해줄 수 있다. 조직화된 이익 집단은 공무원과 접촉할 때 상세한 정보를 전달할 가능성이 특히 있는데, 이런 정보는 특정한 관점을 보여줄지라도 정책 형성 과정에서 자주 도움이 된다.
영독 30::During their second year, children learn to use the words old and young, which indicate that they have appropriated the age dimension. They can use this dimension to classify people. However, an understanding of an abstract time domain develops much later. Spatial metaphors for time are ubiquitous; it is difficult to talk about time without using words that originate from the visuospatial domain. Jean Piaget emphasizes that "time and space form an inseparable whole" in children's minds. In other words, young children cannot treat space and time as separate domains. This situation parallels the dimensions of height and volume, which are inseparable for preschool children but become separable when children learn that volume is a conservative dimension. Similarly, space and time start as a single metric that becomes gradually differentiated into two separable domains.::생후 두 번째 해에 아이들은 'old'와 'young'과 같은 단어를 쓰게 되는데, 이 단어들은 그들이 '나이라는 차원'을 사용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들은 이 같은 차원을 이용하여 사람들을 분류할 수 있다. 하지만, 추상적인 시간 영역에 대한 이해는 훨씬 더 늦게 발달한다. 시간에 대한 공간적 비유는 어디에나 존재하며, 시공간적 영역에서 유래한 단어를 사용하지 않고 시간에 대해 이야기하기란 어렵다. Jean Piaget는 아이들의 생각 속에서 '시간과 공간은 불가분한 통일체를 형성한다'고 강조한다. 다시 말해, 어린아이들은 공간과 시간을 분리된 영역으로 다룰 수 없다. 이 상황은 높이와 부피라는 차원과 유사한데, 높이와 부피의 차원이 취학 전 아이들에게는 분리할 수 없는 것이지만, 아이들이 부피가 보존되는 차원이라는 것을 배우면 분리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마찬가지로 공간과 시간은 점차 두 개의 분리 가능한 영역으로 구별되는 하나의 측정 기준으로 시작된다.
영독 31::No matter how hard you may try to produce an objective paper, the fact is that every choice you make as you write is influenced to some extent by your personal beliefs and opinions. What you tell your readers is truth, in other words, is influenced, sometimes without your knowledge, by a multitude of factors; your environment, upbringing, and education; your attitude toward your audience; your career goals; and your ambitions for the paper you are writing. The influence of such factors can be very subtle, and it is something you must work to identify in your own writing and in the writing of others in order not to mislead or to be misled. Remember that one of the reasons for writing is self-discovery. The writing you will do in the classes ─ and for the rest of your life ─ will give you a chance to discover and confront honestly your own views on your subjects. Responsible writers keep an eye on their own biases and are honest about them with their readers.::객관적인 글을 작성하려고 아무리 열심히 노력하더라도, 글을 쓸 때 하는 모든 선택이 어느 정도 개인적 믿음과 의견에 사실상 영향을 받는다. 다른 말로 하면, 독자에게 진실이라고 말하는 것은 때로는 알지 못하는 사이에, 환경 양육, 교육, 독자에 대한 태도, 직업상의 목표, 그리고 쓰고 있는 글에 대한 의욕 등 많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러한 요인의 영향은 매우 미묘할 수 있으며, 그것은 (남을) 잘못 이끌거나 (자신이) 잘못 이끌리지 않기 위해 자신의 글과 다른 사람의 글에서 확인하려 노력해야 하는 무엇이다. 글쓰기의 이유 중 하나는 '자아 발견'이라는 점을 기억하라. 수업 시간에, 그리고 남은 평생에 하게 될 글쓰기는, 주제에 대한 자신만의 견해를 발견하고 그 견해를 솔직하게 마주하는 기회를 줄 것이다. 글을 책임감 있게 쓰는 사람은 자신만의 편견을 감시하며 독자들에게 그 편견에 관해 정직하게 말한다.
영독 32::By creating artworks artists offer views of the world and their unique responses to the world. The community (audience/group) responds to the products of an artist's efforts by attempting to comprehend the uniqueness of the artist. The artist creates, the community responds, the artist makes again, the community attends, and so on. In a broad sense, art making may be considered to always be a group enterprise. Shaun McNiff, an author and artist, said, "Life is always created from interplay among different participants who make contact, influence one another, exchange their essential natures, merge, and generate new forms." Creating art is a self-transcendent process. The vast majority of artists are very interested in the reactions their work inspires in others. This interest is motivated by the desire for human contact. A central healing quality of art therapy is the capacity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relationships. Although some artists state that they must be left alone to do their work, still most intend that someday others will acknowledge their creative work.::예술 작품을 창조함으로써 예술가는 세계관과 세상에 대한 자신의 고유한 반응을 제공한다. 대중(관객/집단)은 예술가의 고유성을 이해하려고 시도함으로써, 예술가의 노력의 산물에 반응한다. 예술가는 창조하고, 대중이 반응을 보이며, 예술가가 다시 창조하고 대중이 관심을 기울이는 일 등등이 계속된다. 넓은 의미에서 작품 활동은 항상 집단 작업이라고 간주될 수도 있다. 작가이자 예술가인 Shaun McNiff는 ''삶은 접촉하고,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자신의 본질을 주고받으며, 어우러지고, 새로운 형태를 생성하는 다양한 참여자 사이의 상호작용에서 항상 창조된다"라고 말했다. 예술 작품을 창조하는 것은 자기를 초월하는 과정이다. 대부분의 예술가들은 자신의 작품이 다른 사람들에게 불러일으키는 반응에 대해 매우 관심이 있다. 이러한 관심은 인간적인 접촉에 대한 욕망 때문이다. 예술 요법에서 가장 중요한 치유의 특성은 관계의 발전을 촉진하는 능력이다. 비록 몇몇 예술가들이 자신들은 작품 활동을 하도록 혼자 내버려 두어야 한다고 말하지만, 여전히 대부분은 언젠가 다른 이들이 자신의 창작품을 인정하게 할 의도를 가지고 있다.
영독 33::During its formative period and because it was live, the essential nature of television was argued to be intimacy. The closeness of the image to the performance of the actors, unadorned and without the tinsel of cinema spectacle, could avoid the erection of a barrier between the screen and its audience. Television, unlike the theatre, lacks a stage, orchestra pit, or footlights to separate the performer from the audience. Instead, television was to inherit its bedside manner from radio to create the illusion of the proximity between the performance and listener/viewer. At the same time,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some television programs were and continue to be "audience shows" and are enjoyed by large masses of people gathered in some sort of auditorium or studio. Nevertheless, such big television variety shows, broadcast from a theatre stage, continue to give the viewer at home a feeling of being in the front row, as well as among the other members of the audience sitting in the theatre.::텔레비전의 형성기에, 그리고 텔레비전은 생방송이었기 때문에, 그것의 본질적 속성은 친밀성이라고 주장되었다. 장식이 없고 영화의 매력적인 굉장한 구경거리가 없이, (화면에 나타나는) 이미지와 배우의 연기의 근접성이 화면과 관객 사이에 장벽이 세워지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 극장과 달리 텔레비전은 연기자를 시청자로부터 분리하는 무대나 오케스트라석이나, 각광이 없다. 대신, 텔레비전은 라디오로부터 연기와 청취자/시청자 사이의 가까움이라는 환상을 만들어 내는 침대 옆(에서 보고 듣는) 방식을 물려받을 수 있었다. 그와 동시에 몇몇 텔레비전 프로그램들은 과거에도 '시청자 쇼'였고 (지금도) 계속 '시청자 쇼'이며 일종의 강당이나 스튜디오에 모인 매우 많은 수의 사람들이 즐기는 것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그런데도 극장 무대에서 방송되는 그런 거대 텔레비전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은 극장에서 앉아 있는 다른 관객들 사이에 있을 뿐만 아니라 맨 앞줄에 앉아 있는 느낌을 가정에 있는 시청자에게 계속 전달한다.
영독 34::The best example I can share with you of not letting outside factors control you is to think of the late-night hotel front desk clerk. This person is responsible for receiving guests who may have encountered any number of difficulties in their travels to the hotel. The clerk doesn't know any of this, and he or she certainly doesn't have any control over them, yet the guest could still choose to treat the clerk with less than courteous behavior. The guest isn't necessarily doing it intentionally; it's merely the culmination of a difficult day. Same thing goes for the response you may get to your phone call or email. The prospect may simply be responding to you in a manner that reflects other things going on in their life at that moment. Don't let their actions impact your actions. You're better than that, and you probably have not had the same type of day they've had.::내가 여러분에게 말해줄 수 있는, 외부 요인이 여러분을 지배하도록 놓아두지 않는 제일 좋은 예는 심야의 호텔 안내 데스크 직원을 생각하는 것이다. 이 사람은 호텔까지 오는 여정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을지도 모르는 손님을 맞는 책임이 있다. 이 직원은 이것을 전혀 알지 못하고, 분명 그 어려움을 전혀 통제할 수 없는데, 그런데도 손님은 절대 정중하지 않은 태도로 직원을 대하게 될 수 있다. 손님이 그런 행동을 반드시 의도적으로 하고 있는 것은 아니고, 어느 힘든 날의 정점에 이르렀을 뿐이다. 여러분의 전화나 이메일에 대해 여러분이 받을 수 있는 응답도 마찬가지다. 그 잠재 고객은 바로 그 순간에 자신의 삶에서 다른 일이 진행 중임을 나타내는 방식으로 여러분에게 응답하고 있을 뿐인지도 모른다. 그들의 행동이 여러분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놓아두지 마라. 여러분은 그보다 더 나으며 여러분은 그들이 겪었던 날과 똑같은 종류의 날을 아마 겪지는 않았을 것이다.
영독 35::Many pleasures are not a response to need or deprivation. I can be perfectly comfortable, yet pleased by the warmth of the sun as it breaks the clouds and comes streaming through the bay window. A light snack does away with hunger pangs; yet I am still seduced by the smell of garlic gently sizzling in olive oil. These pleasures are the bonus of life because they transcend need. We experience them as pleasures even though we aren't suffering from their deprivation. Thus, the enjoyment of food when chosen, rather than forced, turns eating into something more than acquiring nutrition. Pleasure rather than the satisfaction of needs is the point of the experience. Such freely chosen enjoyment presupposes an excess of time, attention, and usually some resources ─. It is a dimension of life that is not bound up with necessities, despite being part of everyday existence. It is a surplus, a form of grace, and thus has meaning that is not reducible to a function and serves no purpose other than the enjoyment.::여러 가지 즐거움은 필요나 결핍에 대한 반응이 아니다. 나는 완벽하게 편안할 수 있지만, 해가 구름을 뚫고 나와 내닫이창을 통해 흘러들 때, 그 햇살의 따스함에 즐거워질 수 있다. 가벼운 간식이 배고픔의 고통을 없애지만, 나는 여전히 올리브기름 속에서 조용히 지글거리는 마늘의 냄새에 매혹당한다. 이러한 즐거움은 필요를 초월하기에 인생의 뜻하지 않은 즐거움이다. 우리가 그것들의 결핍으로 고통을 겪고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우리는 그것들을 즐거움으로 경험 한다. 그래서 강요되기보다는 선택될 때 음식을 즐기는 것은 먹는 행위를 영양분을 얻는 것 이상으로 바꾼다. 필요를 충족시키는 것이 아니라 즐거움이 그 경험의 요점이다. 그렇게 자유롭게 선택된 즐거움은 시간, 관심, 그리고 대개는 어떤 물자의 여유분을 전제한다. 즉, 그것은 일상생활의 일부이지만 (인생에) 필수적인 것과 밀접한 관련이 없는 인생의 한 양상이다. 그것은 여유분이며, 우아함의 한 형태이며, 그래서 한 가지 기능으로 축소될 수 없고 즐거움 외에 다른 목적에 기여하지 않는 의미를 가진다.
영독 36::In essence, when a retailer decides to build a larger store, it bets that it can use that extra square footage and expanded inventory to attract the higher volume of customers it needs to generate an acceptable return on investment. In contrast, as retail square footage decreases, so too does the number of products a retailer can carry. Moreover, smaller stores tend to have smaller trade areas and fewer customers. As a result, they have to ensure that the products they carry are well matched to the customers they attract. With limited space, it is difficult to simultaneously appeal to multiple market segments. Therefore, the location decision is especially important and requires the small retailer to emphasize geographic segmentation ─. That is, as stores get smaller, they generally need to be located closer to the customer segments they target. On the other hand, while larger format stores can carry a greater variety and broader selection of products that appeal to distinct customer segments, they have to attract enough customers from each segment to justify the added cost of that expanded space.::근본적으로, 소매상이 더 큰 상점을 짓기로 할 때는, 그 추가되는 면적과 확대된 상품 목록을 이용하여 투자에 대해 만족스러운 수익을 창출하는 데 필요한 더 많은 고객을 유인할 수 있다고 확신하는 것이다. 대조적으로 소매점의 면적이 감소함에 따라, 소매상이 취급할 수 있는 상품의 수도 감소한다. 게다가, 더 작은 점포는 상권도 더 작고 고객도 더 적은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그들(더 작은 점포)은 취급하는 상품이 자신들이 유인하는 고객과 반드시 잘 맞게 해야 한다. 제한된 공간에서, 복수의 세분시장에 동시에 호소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므로 위치 선정이 특히 중요하며, 그 때문에 소규모 소매상은 지리적 세분화를 강조해야 한다. 즉, 가게가 더 작아질수록 목표로 하는 고객군에게 대개 더 가까이 위치해야 한다. 반면에, 더 큰 형태의 점포는 여러 독특한 고객군에 호소하는 더 다양하고 더 광범위한 상품을 취급할 수 있지만, 그 확장된 공간의 추가 비용을 정당화 하기에 충분한 고객을 각 고객군으로부터 유인해야 한다.
영독 37::Is peak oil a certainty? History is littered with energy predictions that have failed to come true. Some have been overly optimistic ─ nuclear powered cars, electricity too cheap to meter, oil at $20 per barrel in 2011. Others have been overly pessimistic ─ a worldwide peak of oil in the 1970s, for example. High oil prices motivate more drilling and exploration. They make resources that weren't previously economical to pump worthwhile. And they encourage research into new technologies that can lower costs and increase the amount of oil coming out of a field. It's generally a mistake to bet against human ingenuity. It's utterly possible that new technological breakthroughs will make it possible to find new oil fields faster than we do today, or to pump oil from places that we can't today. Twenty years from now, we might be filled with a glut of oil. Dismissing that possibility would be foolish.::피크 오일이 확실한 것인가? 역사에는 실현되지 않은 에너지 예측들이 어지럽게 널려 있다. 일부는 지나치게 낙관적이었는데 원자력으로 가는 자동차, 계량하기에는 값이 너무 싼 전기, 2011년에 배럴당 가격이 20달러인 석유와 같은 예측이 있었다. 다른 예측들은 과도하게 비관적이었는데, 예를 들어 1970년대의 전 세계적인 오일 피크가 그것이었다. 고유가는 더 많은 시추와 탐사의 동기를 부여한다. 그것은 과거에는 뽑아 올리기에 경제적이지 않았던 자원들을 가치 있는 것으로 만든다. 그리고 그것은 비용을 낮출 수 있고 유전에서 나오는 석유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연구를 장려한다. 인간의 창의력에 반대하는 예측을 하는 것은 보통 잘못된 일이다. 새로운 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이 현재보다 더 빠르게 새로운 유전을 발견하거나 현재 우리가 할 수 없는 곳에서 석유를 끌어 올릴 수 있게 하는 것은 전적으로 있을 수 있는 일이다. 지금부터 20년 후, 우리가 사는 곳은 아마도 석유의 공급 과잉으로 가득 찰 수도 있다. 그 가능성을 무시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일 것이다.
영독 38::Social welfare is a set of activities that has, in part, been directed to offsetting the unequal distributions. Social welfare workers ─ the people who develop social welfare ideas and carry out social welfare activities have looked for ways to increase the income, honor, power, and freedom of members of society who receive lesser amounts of these social benefits. Most of these attempts involve some redistribution of benefits, that is, taking some of the freedom, power, honor, and income from those who have more and finding acceptable ways of giving it to those who have less. Social welfare activities in Western society thus create conflicts among various groups in society. These for the most part fall under the major heading of the conflict between freedom and equality. Individuals who want to more nearly equalize the distribution of social benefits come into conflict with those who want the freedom to keep the amounts of social benefits they already have gained.::사회 복지는 부분적으로 불평등한 분배의 상쇄를 지향해온 일련의 활동이다. 사회 복지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사회 복지 활동을 수행하는 사람들인 사회 복지사는 소득, 명예, 권한 및 자유 등을 더 적게 누리는 사회 구성원들의 이러한 사회적 혜택을 늘릴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왔다. 이러한 시도의 대부분은 혜택을 재분배하는 것, 즉 더 많이 가진 사람들로부터 얼마간의 자유, 권한, 명예 및 소득을 취해서 더 적게 가진 사람들에게 그것을 주는 허용 가능한 방법을 찾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서구 사회의 사회 복지 활동은 사회의 다양한 집단들 사이에 갈등을 일으킨다. 이것들은 대부분 자유와 평등 간의 갈등이라는 주요 주제에 속한다. 사회적 혜택의 분배를 평등한 것에 더 가깝게 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이미 자신들이 얻은 사회적 혜택의 양을 유지하고자 하는 자유를 원하는 사람들과 충돌하게 된다.
영독 39::People who lack reputation individually may be able to derive it from an institution to which they belong. Their institutional affiliation signals that they can be trusted. In dynastic societies, family affiliation may suffice; reputation is given in the family name rather than in any particular member of the family. Schools and universities can also accredit their alumni ─ an important factor when there is competition between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This explains why references are often sought from institutions rather than from individuals. But where do institutions get their reputations from in the first place? Institutional reputation is often derived from the personal reputation of the founder. Institutions do not exist in timeless limbo ─ they have to be created, and personal initiative is required to do this. Some of the largest and strongest institutions are founded by committees or councils, which combine the reputations of the individuals involved.::평판이 개인적으로 부족한 사람들은 그들이 속해 있는 단체에서 평판을 이끌어 낼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들이 단체에 소속된 것은 그들이 신뢰받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왕조 사회에서는, 가문에 속한 것으로 충분할 수 있는데 평판은 가문의 어떤 특정한 구성원이 아닌 가문의 이름에 부여된다. 학교와 대학들도 또한 그 졸업생들의 우수성을 인정해줄 수 있는데, 이것은 사설 교육 기관들 사이에 경쟁이 있을 때 중요한 요소이다. 이것이 추천서를 개인보다는 단체에 요청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그러나 애초에 단체는 어디서 그 평판을 얻는가? 단체의 평판은 많은 경우 설립자의 개인적인 평판에서 비롯된다. 단체는 무한히 불확실한 상태 속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져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개인이 먼저 주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가장 크고 영향력이 가장 강한 단체들 중 일부는 위원회나 협의회에 의해 설립되는데, 그것들이 관련된 개인들의 평판을 결합한다.
영독 40::In 1381, English serfs rose up in revolt. Fifty thousand of them marched on London, destroyed the Savoy Palace of the king's uncle, stormed the Tower of London, and killed the lord treasurer and the lord chancellor. While the revolt was put down soon after, it marked a sea 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rds and commoners. Commoners would no longer be serfs, bound to the land. They would have the rights to negotiate their wages, to buy or rent land, and to settle where they chose. By the end of the century, serfs had become tenant farmers, leasing or buying their land with currency rather than labor, and selling the food they grew at market for a profit. Where serfs saw little incentive to growing more food, as most of it went to the lord, this new breed of tenant farmer could earn money in direct proportion to the amount and quality of food they brought to market. For the first time, working hard and innovating served the interests of most European farmers directly. And as a result, agricultural output soared, as did the output of other farm goods like wool.::1381년에 영국의 농노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그들 중 5만명은 런던으로 행진하여, 왕의 숙부가 있는 Savoy 궁전을 파괴하고, 런던 탑을 습격하여, 재무상과 대법관을 살해했다. 그 반란은 그 후 곧 진압되었지만, 그것은 영주와 평민 사이의 관계에 있어서 상전벽해와 같은 변화의 전조가 되었다. 평민들은 더 이상 농토에 묶인 농노들이 아니게 될 것이었다. 그들은 자신들의 임금을 협상하고 땅을 사거나 임차하고, 자신들이 선택한 곳에 정착할 권리를 가지게 될 것이었다. 그 세기가 끝날 무렵에는, 농노들은 노동이 아닌 화폐로 땅을 임차하거나 매입하고, 시장에서 이윤을 위해 재배한 농산물을 판매하는 소작농이 되어 있었다. 대부분의 농산물이 영주에게 바쳐졌으므로, 농노들은 더 많은 농산물을 재배할 동기를 거의 갖지 못한 반면 이 새로운 유형의 소작농은 자신들이 시장에 내놓은 농산물의 양과 질에 정비례하여 돈을 벌 수 있었다. 최초로 열심히 일하고 혁신하는 것이 대부분의 유럽 농부들의 이익에 직접적으로 기여했다. 그리고 그 결과, 양모와 같은 다른 농산품의 생산량이 급증했듯이 농업 생산량이 급증했다.
영독 41::Humor depends upon the perception of an appropriate incongruity; that is, the perception of an appropriate relationship between categories that would ordinarily be regarded as incongruous. A brief example should suffice to illustrate the notion:. "A man goes to see a psychiatrist. The doctor asks him, 'What seems to be the problem?' The patient says, 'Doc, no one believes anything I say.' The doctor replies, 'You're kidding!"' To understand this joke, one must apprehend both the appropriateness and the incongruity of the doctor's response. The phrase "you're kidding" is an expression of surprise and appropriately registers the doctor's skepticism that the situation could be as severe as the patient describes. In some sense, it may even be regarded as a reflexive expression of reassurance. At the same time, "you're kidding" registers the physician's disbelief in the patient's report and seems to affirm the very proposition that the physician seems to be denying ─ that no one believes anything the patient says. In other words, the doctor's denial is incongruous in that it confirms the very problem about which the patient complains. Even the physician to whom the patient turns for help seems to doubt his veracity from the first moment of their encounter.::유머는 '적절한 부조화'에 대한 인식, 즉 보통의 경우라면 부조화 하다고 여겨질 범주들 간의 적절한 관계에 대한 인식에 달려 있다. (다음의) 간단한 예가 그 개념을 설명하기에 충분할 것이다. 한 남자가 정신과 의사의 진찰을 받으러 간다. 의사가 그에게 '무엇이 문제인 것 같으세요?'라고 묻는다. 환자는 '의사 선생님, 내가 어떤 말을 해도 아무도 믿지 않아요'라고 말한다. 농담이시죠'라고 의사가 대답한다. 이 농담을 이해하려면 의사의 반응의 적절성과 부조화를 모두 이해해야만 한다. 농담하고 있다는 말은 놀라움의 표현이며, 과연 상황이 환자가 묘사하는 만큼 심각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사의 의심을 적절하게 나타낸다. 어떤 면에서는 그것은 안심시키려는 반사적인 표현으로도 간주될 수 있다. 동시에 '농담하고 있다'는 말은 환자의 보고에 대한 의사의 불신을 나타내며, 의사가 부인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바로 그 진술, 즉 환자가 무슨 말을 하든 아무도 믿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는 것처럼 보인다. 다시 말해서, 의사의 부인은 환자가 호소하는 바로 그 문제가 사실임을 확인해준다는 점에서 부조화한 것이다. 환자가 도움을 청한 의사조차도 처음 만났을 때부터 그의 진실성을 의심하는 것처럼 보인다.
영독 42::Global free-market capitalism has an impact upon the worker-consumer's share of gross product. In Western capitalist democracies, labour unions have served as 'brokers' on behalf of their membership, negotiating with employers for wages and benefits in an effort to gain a fair share of the GDP. Union corruption aside, the union is the workers' only dedicated voice. Present trends, however, indicate that the social-political power of labour unions is on the decline. Their membership, economic-political influence, and bargaining power are being eroded by several factors: the decline of the manufacturing sector caused by importation of lower-priced goods from developing economies; the inflow of cheap migrant labour; outsourcing of work to countries with lower wages; displacement of unionized blue-collar workers by robots; and the shift of jobs from the unionized public sector to the non-unionized private sector. Moreover, global competition is forcing workers to accept the lowest global standard in wages and benefits.::세계 자유 시장 자본주의는 총생산 중 노동자이자 소비자가 받는 몫에 영향을 미친다. 서구의 자본주의 민주주의 국가에서 노동조합은 GDP의 공평한 배당을 얻기 위한 노력으로 고용주와 임금과 수당을 위해 협상하면서 조합원을 대신하는 '중개인'의 역할을 해왔다. 노조의 부패는 제쳐두고, 노동조합은 노동자에게 유일한 헌신적인 대변자이다. 그러나 현재의 추세는 노동조합의 사회 정치적 힘이 쇠퇴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그것의 회원 수, 경제 정치적 영향력 및 협상력이 여러 요인들로 인해 약화되고 있는데, 이런 요인에는 개발 도상국에서의 저가 상품 수입으로 인한 제조업 부문의 쇠퇴, 싼 이주 노동자의 유입, 임금이 낮은 국가로 향한 일거리의 아웃소싱, 노조에 가입한 육체노동자의 로봇에 의한 대체, 노조에 가입한 공공 부문에서 노조에 가입하지 않은 민간 부문으로의 일자리 이동 등이 있다. 더욱이 세계적인 경쟁은 노동자들에게 임금과 수당에서 세계 최저 수준을 받기를 강요하고 있다.
영독 43::No matter what emotion you're feeling right now, you can count on one thing ─ it will change. Every emotion has a natural life span. Even the hottest flash of anger and the deepest sting of shame will pass away in their own time. No emotion lasts forever. Emotions are often compared to waves. Like a wave, every emotion appears, rises to a peak, and then falls. This might seem obvious. But it's one of the first things that we forget when we're feeling upset. Just as some waves rise to enormous heights, some emotions rise to great peaks of intensity. At those peak moments, we might feel that we're drowning. The emotion feels like a destructive force of nature ─ a hurricane, cyclone, or flood that's raging inside us. We worry that we won't survive, that it's too much to bear. We forget that this moment is just the peak of the wave. In fact, an emotion often feels most unpleasant right before it begins to recede. Remembering that emotions are impermanent helps us ride out the waves.::바로 지금 무슨 감정을 느끼고 있든지 한 가지는 확신할 수 있는데, 그것이 변하리라는 것이다. 모든 감성에는 자연적인 수명이 있다. 가장 뜨겁게 불끈 치미는 화와 가장 깊은 수치심의 고통조차 자기 나름의 속도로 사라질 것이다. 어떤 감성도 영원히 지속하지 않는다. 감정은 흔히 파도에 비유된다. 파도처럼 모든 감성은 생겨나서 절정으로 치솟았다가 떨어진다. 이것은 명백하게 보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것은 우리가 속상할 때 가장 먼저 잊어버리는 것 중 하나이다. 일부 파도가 엄청난 높이로 치솟는 것처럼 일부 감정은 엄청난 격렬함의 절정으로 치솟는다. 그 절정의 순간에 우리는 익사하고 있다고 느낄지도 모른다. 그 감정은 우리 안에서 맹위를 떨치고 있는 허리케인, 사이클론 또는 홍수와 같은 자연의 파괴력처럼 느껴진다. 우리는 살아남지 못할 거라고, 견디기에 너무 벅차다고 걱정한다. 우리는 이 순간이 단지 그 파도의 절정일 따름이라는 것을 잊어 버린다. 사실 감정은 약해지기 시작하기 직전에 흔히 가장 불쾌하게 느껴진다. 감정이 영구적이지 않다는 것을 기억하는 것은 우리가 그 파도를 이겨내는 데 도움이 된다.
영독 44::Important advances in self-concept are made during early childhood as children develop an awareness of their own characteristics. Three-year-old children first describe themselves in global terms, based on external qualities ("I'm fast") rather than psychological qualities ("I'm kind"). This global tendency leads young children to think that if they are good at drawing, they also are good at puzzles, running, or singing; that is, self-definitions are generalized to other contexts. By four years of age, children's judgments are more specific and differentiated. They acknowledge that they are good at one skill, but not so good at others. Or they may acknowledge that they are good at doing something in one situation but not in other situations. For instance, older preschoolers may believe that they are good at puzzles but not at drawing or that they are good at playing basketball with other preschoolers but not with older children.::아이들이 그들 자신의 특성에 대한 인식을 발달시킴에 따라, 유아기에 자아 개념의 중요한 발전이 이루어진다. 세 살 난 아이들은 먼저 심리적인 자질('나는 친절하다')보다는 외적인 자질('나는 빠르다')에 기초해 포괄적인 관점에서 자신을 설명한다. 이런 포괄적인 경향은 어린 아이들이 자신이 그림 그리기에 능숙하면 퍼즐, 달리기, 또는 노래 부르기에도 능숙하다고 생각하게 하는데, 다시 말하면 자기 인식이 다른 상황들로 일반화된다. 네 살이 되면 아이들의 판단이 더 구체적이고 분화된다. 그들은 자신들이 한 가지 기술에 능숙하지만, 여타 기술들에는 그다지 능숙하지 않다고 인정한다. 또는 그들이 한 상황에서는 어떤 것을 하는 데 능숙하지만 다른 상황에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인정할지도 모른다. 예를 들어, 나이가 더 많은 취학 전 아동은 퍼즐에는 능숙하지만 그림 그리기에는 그렇지 않다거나, 다른 취학 전 아동과 농구를 하는 데는 능숙하지만, 더 나이가 많은 아이들과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할지 모른다.
영독 45::In The Future of an Illusion, Sigmund Freud gives his insights on what he thinks about religion. He argued that all humans have desires or instincts that need to be repressed by society if society is to function. For instance, social order is maintained only on the condition that people repress their aggressive instincts and tendencies. However, for Freud, this repression takes an intolerably heavy toll on human psychology. Humans would not be able to handle this repression of their instincts were it not for some sort of psychological compensation to relieve the pressure. Freud believed that religion provides "illusions" that offer the sort of compensation or relief required. He argued that a religion like Christianity provides this psychological compensation through the creation of the illusion that adherents will go to heaven: human suffering in the present life can be indirectly relieved by the promise and hope that adherents will go somewhere perfect when they die. Why do religions exist? For Freud, the answer is simple: because something is necessary to alleviate the friction created by social repression.::'The Future of an Illusion'에서 Sigmund Freud는 자신이 종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자신의 통찰력을 보여준다. 그는 모든 인간에게는 사회가 세대로 작동하려면 사회에 의해 억압되어야 하는 욕망이나 본능이 있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사회 질서는 사람들이 자신들의 공격적인 본능과 성향을 억압한다는 조건에서만 유지된다. 하지만 Freud에게는, 이 억압은 인간의 심리에 견딜 수 없을 정도로 삼한 타격을 준다. 그 압박감을 덜어주기 위한 일종의 심리적 보상이 없다면 인간은 자신들의 본능에 대한 이런 억압을 다룰 수 없을 것이다. Freud는 필요한 종류의 보상이나 위안을 제공하는 '환상'을 종교가 준다고 믿었다. 그는 그리스도교와 같은 종교는 신자들이 천국에 갈 것이라는 환상을 만들어냄으로써 이런 심리적 보상을 제공한다고 주장했는데, 헌재의 삶에서 겪고 있는 인간의 고통은 신자들이 죽을 때 완벽한 어떤 곳으로 갈 것이라는 약속과 희망에 의해 간접적으로 경감될 수 있다. 종교는 왜 존재하는가? Freud에게 그 답은 간단한데, 왜냐하면 사회적 억압이 만드는 마찰을 경감하기 위해 어떤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영독 46::We've emphasized that hereditary factors are critical in determining which children can look forward to being outstanding, and perhaps even elite, athletes. However, the effects of genetics are never absolute because genes do not operate in isolation. We cannot undervalue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s in which we live ─ natural, social, and athletic.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regular exercise is among the many environmental factors essential to achieving full potential for growth. Moderate physical stress from the muscle activities found in most sports is generally a positive force on bone growth. But training programs for young athletes have virtually no growth-promoting effect on their height. Dramatic effects of constant participation in sport do, however, occur in muscle and fat tissue. Following the start of adolescence in males, the increase in muscle mass is directly related to the intensity and duration of training programs. And, of course, the loss of fatty tissue is a desirable effect of sport participation.::우리는 어떤 아이들이 뛰어난 선수, 어쩌면 엘리트 선수까지도 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는지를 알아낼 때 유전적 요인들이 중요하다고 강조해왔다. 하지만 유전자는 고립되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유전적 특징의 영향은 절대적이지 않다. 우리는 자연환경, 사회 환경 그리고 운동 환경과 같은 우리가 사는 환경의 영향력을 과소평가할 수 없다. 유년기와 청소년기에 규칙적인 운동은 완전한 성장 잠재력을 달성하는 데 필수적인 많은 환경적인 요소 중 하나이다. 대부분의 스포츠에서 발견되는 근육 활동에서 오는 적당한 육체적 스트레스는 일반적으로 뼈 성장에 미치는 긍정적인 힘이 된다. 그러나 어린 선수들을 위한 훈련 프로그램은 그들의 키에 대한 성장 촉진 효과가 거의 없다. 하지만 지속적인 운동 참여의 극적인 효과는 근육과 지방 조직에서 정말 일어난다. 남자의 경우 청소년기가 시작된 후에 근육량의 증가는 훈련 프로그램의 강도와 지속 기간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그리고 물론 지방 조직의 감소는 운동 참여의 바람직한 결과이다.
영독 47::Don't try to be a jack-of-all-trades, I-can-do-anything job applicant, also known as a "slash" person. When you say you're a computer programmer/chef/Pilates instructor, people at college mixers might be amused, but no hiring manager will be. Companies won't know what to make of you. Slash identities work best if they are in related fields, such as social entrepreneur/consumer activist, or coder/app developer. If you're unsure if you want a job in marketing or sales, develop slightly different pitches and resumes so each has a clear focus. Remember the T-shape concept ─ emphasize depth in one key area and breadth in a group of related areas. As a rule, the more focused the brand, the better. Swiss army knife-type brands generally end up in the rubbish bin. Likewise, "I can do anything" or, "You can train me" is not compelling. You must stand for something. Organizations with job openings are looking to fill a slot in one area, and they need someone who can jump in right away.::'이것저것 다 할 줄 아는' 사람이라고도 알려진 팔방미인의, 무슨 일이든 할 수 있다는 식의 구직자가 되려고 하지 말라. 여러분이 컴퓨터 프로그래머이자 요리사이자 필라테스 강사라고 말할 때, 대학 사교 모임에 있는 사람들은 재미있다고 할지 모르나, 어느 채용 담당자도 재미있어 하지 않을 것이다. 회사는 여러분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모를 것이다. 이것저것 다 할 줄 아는 사람은 사회사업가이자 소비자 운동가 또는 컴퓨터 프로그래머이자 앱 개발자처럼 그들이 관련 분야에 있을 때 가장 효과적이다. 원하는 일자리가 마케팅인지 판매 업무인지 확신하지 못한다면, 각각 명확한 초점을 갖도록 약간 다른 (자기) 홍보와 이력서를 개발하라. T자 모양의 개념을 기억하여 한 가지 주요 분야에서의 깊이를 강조하고 여러 관련 분야에의 폭넓음을 강조하라. 보통 특정 상품이 더 초점을 맞출수록 그만큼 더 좋다. 스위스 군용 칼과 같은 유형의 상품은 대개 결국 쓰레기통에 들어가고 만다. 마찬가지로 '저는 무엇이든 할 수 있습니다' 또는 '저를 훈련시키세요'는 흥미를 돋우지 않는다. 여러분은 (구체적인) 어떤 것을 나타내야 한다. 일자리를 가진 조직은 한 분야에서 자리를 채우기를 바라고 있으며, 당장 일을 시작할 수 있는 사람을 필요로 한다.
영독 48::In everyday language, central tendency attempts to identify the "average" or "typical" individual. This average value can then be used to provide a simple description of an entire population or a sample. In addition to describing an entire distribution, measures of central tendency are also useful for making comparisons between groups of individuals or between sets of data. For example, weather data indicate that for Seattle, Washington, the average yearly temperature is 53˚ Fahrenheit and the average annual precipitation is 34 inches. By comparison, the average temperature in Phoenix, Arizona, is 71˚ and the average precipitation is 7.4 inches. The point of these examples is to demonstrate the great advantage of being able to describe a large set of data with a single, representative number. Central tendency characterizes what is typical for a large population and in doing so makes large amounts of data more digestible. Statisticians sometimes use the expression "number crunching" to illustrate this aspect of data description. That is, we take a distribution consisting of many scores and "crunch" them down to a single value that describes them all.::일상 언어에서, 중심 집중 경향은 평균적인 또는 '전형적인' 개별 값을 찾아내고자 한다. 그런 다음 이 평균값은 전체 모집단 또는 샘플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전체 분포를 기술함과 아울러, 중심 집중 경향의 측정값은 개체군들 간의, 또는 데이터 집합들 간의 비교를 하는 데도 유용하다. 예를 들어, 기상 자료에 따르면 Washington 주 Seattle의 경우 연평균 기온은 화씨 53도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34인치이다. 그에 비교해 Arizona 주 Phoenix에서는 평균 기온이 (화씨)71도 평균 강수량은 7.4인치이다. 이런 사례의 중요한 점은 큰 데이터 집합을 단 하나의 대표 숫자로 기술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중심 집중 경향은 큰 모집단에서 일반적인 것의 특징을 이루는데, 그렇게 함으로써 다량의 데이터를 더 잘 이해하기 쉽게 만든다. 통계학자는 때때로 자료 기술의 이러한 측면을 설명하기 위해 '수치 처리'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다시 말해 우리는 많은 점수로 구성된 분포를 취하여 그것들 전부를 설명하는 하나의 값으로 그것들을 '처리한다'.
영독 49::An experience can be a particularly useful tool, but overexposure to something can develop an individual's mental baggage. When mental baggage is prevalent it can be difficult to consider any other creative direction other than that of the overfamiliar, and it can be arduous to persuade others to explore an alternative path when they also have a preconceived notion of what the product is. It is only when things can be thought of differently, without accustomed barriers, that it is plausible to innovate markets. If the problem is not confronted with a 'why attitude', similar to a small child constantly asking questions about something, it is almost impossible to understand and solve. In the event that mental baggage can be broken down through repeated enquiry and probing, it is likely that a delightful and practical proposal can emerge and be accepted broadly.::경험은 특별히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지만, 어떤 것을 과도하게 경험하는 것은 개인의 정신적 짐을 만들어낼 수 있다. 정신적 짐이 만연해 있을 때에는 과도하게 친숙해져 있는 방향 외에 어떤 다른 창의적인 방향을 고려하기가 어려울 수 있으며, 다른 사람들도 또한 제품이 무엇인지에 대한 선입견을 갖고 있을 때에 그들로 하여금 대체 경로를 탐색하도록 설득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시장을 혁신하는 것이 타당해 보이는 것은 바로 익숙해진 장벽이 없이 상황을 다르게 생각해 볼 수 있을 때뿐이다. 어린아이가 끊임없이 어떤 것에 대해 질문하는 것과 비슷한 '이유에 대해 의문을 갖는 태도'를 가지고 문제에 직면하지 않는다면, 이해하고 해결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반복적인 탐구와 조사를 통해 정신적 짐아 해체될 수 있는 경우에는, 즐겁고 실용적인 제안이 등장해서 널리 받아들여질 수 있게 될 것이다.
영독 50::The growing of timber is a long-term investment, its economics ─ and hence its capital value ─ being dominated by the cost of time, and the associated uncertainties. The time intervals between planting the trees, thinning and (eventually) clear-felling are long. The production cycle or rotation will frequently take 50 years for a conifer plantation and can exceed 100 years for broadleaves. Thus, in effect, a crop of trees is grown without really knowing what demand there will be for the species, size and quality of the timber produced, due to the extensive timescale involved. Many would argue that it is difficult to predict with confidence the demand and hence potential value of most commodities within 1-5 years, let alone 50-100 years!::수목 재배는, 그것의 경제적 측면과 그에 따른 그것의 자본 가치가 시간의 비용 그리고 그와 관련된 불확실성에 의해 지배되므로, 장기적인 투자이다. 식목, 간벌, 그리고 (결국) 전부 베어냄 사이의 시간 간격이 길다. 생산 주기, 즉 순환은 침엽수 조림지의 경우에 보통 50년이 걸리며, 활엽수의 경우에는 100년을 초과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로 관련된 방대한 기간 때문에, 생산되는 목재의 품종, 크기 및 품질에 대한 어떤 수요가 있게 될 것인지 정말로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한 그룹의 나무들이 길러진다. 많은 사람들은 50년~100년은 말할 것도 없고, 1년~5년 내의 대부분의 상품에 대한 수요와 그에 따른 잠재적 가치를 확신을 갖고 예측하는 것도 어렵다고 주장할 것이다!
영독 51::Depending on the severity of the learning disability and its interference in making reasoned decisions, some parents may have to continue to make vital decisions affecting all aspects of their child's life. Because planning for the future of a student with learning disabilities can arouse fear of the unknown, parents may tend to delay addressing these issues and instead focus only on the present. However, working through these fears and thinking about the child's best future interest has a greater chance of ensuring a meaningful outcome than avoidance or denial. Regardless of the nature and severity of the learning disability, educators and parents will be exposed to a transitional process during the child's school years that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adult world. This transitional process will include many facets of planning for the future and should be fully understood by everyone concerned each step of the way. Planning for the future is an investment in a child's well-being.::학습 장애의 심각성과 그것(학습 장애)이 이성적인 결정을 방해하는 정도의 심각성에 따라, 일부 부모들은 자녀의 삶의 모든 측면에 영항을 미치는 중요한 결정을 계속해서 내려야 할 수도 있다. 학습 장애가 있는 학생의 미래를 계획하는 것은 미지의 것에 대한 두려움을 불러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부모들은 이런 문제들을 다루는 것을 늦추고 대신에 현재에만 집중하는 경향을 보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런 두려움을 성공적으로 처리하고 아이의 가장 좋은 미래 이익에 대해 생각하는 것은 회피하거나 부정하는 것보다 의미 있는 결과를 보장할 더 큰 기회를 갖는다. 학습 장애의 성격과 심각성에 상관없이, 교육자와 부모는 어른 세계를 위한 기반을 마련해줄 과도기를 아아들이 학교를 다니는 동안에 겪을 것이다. 이러한 과도가의 과정은 미래를 위한 계획의 여러 측면들을 포함할 것이며, 그 과정의 각 단계에서 관련된 모든 관계자들에 의해 완전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미래를 위해 계획하는 것은 아이의 행복을 위한 투자아다.
영독 52::The idea that innovation is linked with meeting the needs of social groups means that the problems innovative people seek to solve are at least partly socially determined. Where there is no social awareness that a problem exists, there may be no drive to produce solutions and thus no innovation. A simple example is the area of the design of everyday objects ─ tools, for example. A tool may be awkward to use and inefficient, or possibly even dangerous ─ a hammer is a good example. However, it may be so familiar to so many people that they have become accustomed to its disadvantages and may be able to use it very effectively, despite the disadvantages and inconvenience. They may even be incapable of imagining that a hammer could be different. In this case, there is no social pressure to introduce effective novelty and, in a sense, no problem, no matter how bad the design may be, because society has decided there is no problem.::혁신이 사회 집단의 요구를 충족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는 생각은 혁신적인 사람들이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사회적으로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문제가 존재한다는 사회적 인식이 없는 경우에는, 해결책을 만들어내려는 동기가 없어서 그로 인해 혁신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하나의 간단한 예는 일상용품, 예를 들면, 도구의 디자인 영역이다. 어떤 도구가 사용하기에 불편하고 비효율적이거나, 어쩌면 심지어 위험할 수도 있는데, 해머가 하나의 좋은 예이다. 그러나 그것은 아주 많은 사람들에게 매우 친숙하므로, 그들은 그것의 단점에 익숙해져서 그것의 단점과 불편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아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들은 심지어 해머가 다를 수 있다고 상상조차 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효과적인 참신함을 도입해야 한다는 사회적 압력이 없으며, 어떤 의미에서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사회가 결정했기 때문에 디자인이 아무리 나쁘다고 하더라도 아무 문제가 없다.
영독 53::I got into trouble once at Boise Cascade in Boise when I stated, from the platform, that some corporate policies purposefully or unintentionally demean us as professionals. I cited the example of the experienced secretary who had to "requalify" herself by taking a typing test when she moved to a new position. Well, one of the male executives in the back of the class challenged me. He said, "How do I know she can type if I don't give her a typing test?" So, I repeated my point:. "An experienced, qualified secretary who has evidence that she's held responsible, professional positions should not have to go back to square one to prove herself on the keyboard just because she makes a move to advance herself." This manager persisted:. "But, until I give her a typing test, how do I know she can type?" So I asked him, "Excuse me, sir, are you an engineer?" Yes, he said, he was. I asked, "Were you handed a slide rule in your job interview? And have you been required to take out that slide rule and demonstrate you can use it again every time you interviewed for a promotion?" That made all the people laugh and clap loudly. The engineer responded with class ─ he saluted me. My point stands. You don't give a professional chemist a chemistry formula in the job interview and say, "Would you please mix this right now?" We have to get beyond these stone-age policies that don't acknowledge even our basic competencies.::나는 전에 Boise에 있는 Boise Cascade에서 몇몇 기업 정책이 의도적으로 혹은 의도치 않게 전문가로서의 우리의 품위를 떨어뜨린다고 연단에서 말했을 때 곤경에 처한 적이 있다. 나는 새로운 직위로 옮겨갈 때에 타이핑 시험을 치름으로써 자신의 '자격을 다시 얻어야만' 했던, 경험이 있는 비서의 예를 들었다. 그런데, 강의실 뒷부분에 앉아 있던 남자 경영 간부들 중 한 사람이 나에게 이의를 제기 했다. "만약 내가 그녀에게 타이핑 시험을 보게 하지 않는다면 그녀가 타이핑을 할 수 있는지 어떻게 알겠습니까"라고 그가 말했다. 그래서 나는 나의 논점을 반복했다. "책임 있는, 전문적인 직위를 감당 했다는 증거를 갖고 있는 경험이 있는, 자격을 갖춘 비서는 단지 승진하기 위해 자리를 옮긴다는 이유 때문에 원점에서부터 다시 시작하여 키보드에서 자신의 능력을 증명해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 매니저는 집요하게 계속했다. "하지만 내가 그녀에게 타이핑 테스트를 받게 하기 전까지 그녀가 타이핑을 할 수 있는지 내가 어떻게 알죠?" 그래서 내가 그에게 물었다, "선생님, 죄송합니다만 선생님은 엔지니어인가요?" 네, 그렇다고 그가 말했다. 내가 물었다, "구직 면접시험에서 계산자 가 선생님께 제공되었나요? 그리고 매번 승진을 위한 면접을 할 때마다 그 계산 자를 꺼내서 그것을 사용할 수 있는지 다시 보여 달라는 요청을 받았나요?" 그 말을 듣고 모든 사람들이 큰 소리로 웃으며 손뼉을 쳤다. 그 엔지니어는 품격 있는 반응을 보였는데 ― 나에게 경의를 표하는 동작을 했다. 나의 논점은 유효하다. 구직 면접시험에서 여러분은 전문 화학자에게 화학식을 주고 ''지금 곧 이것을 혼합해서 만들어 줄 수 있나요"라고 말하지 않는다. 우리는 심지어 우리의 기본적인 능력조차 인정하지 않는 이러한 석기 시대의 정책에서 벗어나야 한다.
영독 54::A primary consideration in using animals in advertising is whether they should be seen as more or less like humans. Anthropomorphized portrayals are often used in advertising to minimize tension, discuss awkward topics, or provide emotional distance, and are designed to reach a general audience. Anthropomorphized animals speak, wear clothing, display human-attributed emotions, or do something only humans do, such as vote, drive a car, or use toilet paper. Nonanthropomorphized portrayals are used when the point of including an animal is to demonstrate the work they do for us, how they are acceptable as food, or for recreation. This strategy is used to reinforce the species barrier between them and us. Also, the more a part of nature animals are meant to be, such as in travel advertising, the less likely they are to be anthropomorphized.::광고에 동물을 이용할 때 주요한 고려 사항은 동물이 더 인간같이 보여야 하는지, 덜 그렇게 보여야 하는지이다. 긴장을 최소화하고, 다루기 곤란한 주제를 논하거나 감정적인 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흔히 인격화된 모습이 광고에 사용되는데, 일반 시청자나 독자에게 다가가도록 고안된다. 인격화된 동물은 말을 하고, 옷을 입고, 인간에게 있다고 생각되는 감정을 드러내거나, 투표하기, 자동차 운전하기, 화장지 사용하기와 같은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일을 한다. 비인격화된 모습은, 동물을 포함하는 목적이 그들이 우리를 위해 하는 일, 즉 그들이 어떻게 음식으로 혹은 오락을 위해 받아들여질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일 때 사용된다. 이 전략은 동물과 우리 사이에 있는 종 간의 장벽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여행 광고에서처럼, 동물들이 자연의 일부로 더 많이 여겨질수록 그들이 인격화될 가능성은 그만큼 더 작다.
영독 55::With the coming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social concentration of activities of the public square and indeed the entire public realm has diminished. Technological innovations including the telephone and the Internet combined in the latest cell phone innovations are partly responsible. The automobile has made it possible to travel in virtual privacy and thus withdraw from contact with others in trains, buses, and other forms of public transportation. Homes are larger than ever, with household technology such as refrigerators and freezers limiting the frequency of grocery shopping. Internet shopping has been largely responsible for the decline of bookstores, a traditional source of public gatherings. In sum, the investment of time in the public realm and its gathering places has significantly diminished with great negative implications for civic society.::산업 혁명의 도래로 공공 광장, 그리고 실제로 전체적인 공적 영역에서의 활동의 사회적 집중이 감소했다. 최근의 휴대전화 혁명에서 전화와 인터넷의 결합을 포함하는 기술 혁명이 부분적인 원인이다. 자동차는 거의 혼자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고 따라서 기차와 버스, 다른 형태의 대중교통에서 다른 사람들과의 접촉으로부터 물러서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가정집은 식료품 쇼핑 빈도를 제한하는 냉장고와 냉동고 같은 가전 장비와 함께 전에 비해 더 커졌다. 인터넷 쇼핑은 공적인 모임의 전통적인 원천이었던 서점이 줄어드는 것의 큰 원인이었다. 요컨대 공적 영역과 그것의 모임 장소에 대한 시간의 투자는 시민 사회에 큰 부정적 영향을 주면서 상당히 감소하였다.
영독 56::Peter Norvig, an artificial intelligence expert, likes to think about big data with an analogy to images. First, he asks us to consider the iconic horse from the cave paintings in Lascaux, France, which date to the Old Stone Age some 17,000 years ago. Then think of a photograph of a horse — or better, the dabs of Pablo Picasso, which do not look much dissimilar to the cave paintings. In fact, when Picasso was shown the Lascaux images he remarked that, since then, "We have invented nothing." Picasso's words were true on one level but not on another. Recall that photograph of the horse. Where it took a long time to draw a picture of a horse, now a representation of one could be made much faster with photography. That is a change, but it may not be the most essential, since it is still fundamentally the same: an image of a horse. Yet now, Norvig asks, consider capturing the image of a horse and speeding it up to 24 frames per second. Now, the quantitative change has produced a qualitative change. A movie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a frozen photograph. It's the same with big data: by changing the amount, we change the essence.::인공 지능 전문가인 Peter Norvig은 이미지에 비유하며 빅데이터에 대해 생각하기를 좋아한다. 우선, 그는 우리에게 악 17,000년 전 구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프랑스 Lascaux의 동굴 벽화에 나오는 잘 알려진 말을 생각해보라고 한다. 그런 다음 말의 사진, 혹은 더 좋게는, 그 동굴 벽화와 크게 다르지 않아 보이는 Pablo Picasso의 붓으로 쓱 그린 그림들을 생각해 보라. 사실, Picasso에게 Lascaux 동굴의 이미지들을 보여주었을 때 그는 그 이후로 "우리는 아무것도 창조하지 못했다"라고 말했다. Picasso의 말은 어느 면에서는 사실이지만 다른 면에서는 사실이 아니다. 그 말의 사진을 상기하라. 말의 그림을 그리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던 것에 반해, 이제 말의 묘사는 사진 촬영으로 훨씬 더 빠르게 될 수 있다. 그건 변화이지만, 그게 가장 본질적인 것은 아닐 수 있는데 그것은 여전히 근본적으로 같은 것, 즉 말의 이미지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제 Norvig은 말의 이미지를 포착하여 초당 최대 24프레임으로 속도를 높이는 것을 생각해보라고 한다. 이제 양적 변화는 질적 변화를 만들어냈다. 영화는 움직일 수 없는 사진과 근본적으로 다르다. 빅데이터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양을 변화시킴으로써 우리는 본질을 바꾼다.
영독 57::In skeleton bobsled, the athlete starts the descent of the track with a sprint from the starting block, pushing and then boarding the sled. A single line is cut into the ice for a finite distance, which the sled runner sits in, aiding initial directional stability off the start. The first split time at the start is taken fifteen meters from the starting block. Athletes can load before or after this first time line and this is dependent on numerous variables, the most significant being the geometry of the track governing the number of strides the athlete takes. The sprint by the athlete, wearing spikes, creates the forward motion whilst initiating significant backwards force. This is similar to running on asphalt or grass, and also to the way in which speed skaters initiate the start off the blocks. The spikes allow the power to be translated into greater speed of the sled to stop the low frictional force causing the foot to slip and reducing the momentum stored at the end of the sprint.::스켈레톤 봅슬레드 경기에서 선수는 출발대에서부터 전력 질주로 트랙을 내려가기 시작하는데 썰매를 밀고 가다 올라탄다. 한 줄의 선이 한정된 거리 동안 빙판 속에 패어 있는데, 거기에 썰매 주자가 자리를 잡으며, 이는 출발할 때 초기 방향 안정성에 도움을 준다. 출발 시 첫 번째 스블릿 타임은 출발대에서 15미터 떨어진 곳에서 측정된다. 선수는 이 첫 번째 시간대의 전이나 후에 올라탈 수 있으며, 이는 수많은 변수에 달려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선수가 밟는 걸음의 수를 좌우하는 트랙의 기하학적 구조이다. 스파이크를 신은 선수의 전력 질주는 전진 동작을 만드는 동시에 상당한 후진력을 일으킨다. 이는 아스팔트나 잔디 위에서 달리는 것과 유사하며,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가 출발대에서 출발하는 방식과도 유사하다. 스파이크는 그 힘이 썰매의 더 큰 속도로 전환되도록 해주는데 낮은 마찰력이 발을 미끄러지게 하고 전력 질주의 끝에 저장되는 운동량을 줄이는 것을 방지해준다.
영독 58::One face of morality suggests that people treat all routine action ─ action that conforms to cultural expectations and meets the demands of cultural norms ─ as moral, and that actors must account for their deviations from even the most trivial cultural expectations or risk being judged morally suspect by others. Among the Urapmin of Papua New Guinea, with whom I carried out fieldwork in the early 1990s, one is expected to shake hands with everyone one encounters each day on the first occasion of coming into contact with them. One day I was walking with a friend on the main path that connects the villages that make up the Urapmin community when we got caught in a torrential downpour. We began to run for shelter and at one point passed another man we both knew running with equal determination in the other direction. We did not stop to shake hands. As soon as we got ourselves into a house, my friend agitatedly insisted that once the storm passed we would need to go find the man we ran by, shake his hand, and explain that it was because of the rain that we did not stop to shake his hand when we first saw him. If we did not do this, my friend pointed out, we would be in the wrong and the man we ran past could take us to the village court for failing to shake his hand. The reason the failure to shake hands can be treated as an actionable moral and legal breach among the Urapmin is not that people there invest hand-shaking with some kind of supernatural significance or consider it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a person does each day. It is rather that hand-shaking is culturally expected in situations of meeting, and this shared expectation is enough to make shaking hands a moral accomplishment and the failure to shake hands a moral breach.::도덕의 한 측면은 사람들이 모든 일상적인 행동, 즉 문화적 기대에 따르고 문화적 규범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행동을 도덕적인 것으로 여긴다는 것을, 그리고 행위자들은 심지어 가장 사소한 문화적 기대로부터의 자신들의 일탈을 설명해야 하는데 그러지 않으면 다른 사람들에 의해 도덕적으로 의심스럽다고 판단될 위험을 무릅써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내가 1990년대 초 현장 연구를 수행했던 Papua New Guinea의 Urapmin인들 사이에서, 사람은 매일 자신이 맞닥뜨리는 모든 이들과 처음 만날 때 악수를 해야 한다. 어느 날, 나는 Urapmin 공동체를 이루는 마을들을 연결해주는 큰길을 친구와 함께 걷고 있다가 폭우를 만나게 되었다. 우리는 피할 곳을 찾아 달려가기 시작했는데, 한 지점에서 같은 결정을 내리고 반대 방향으로 달리고 있는, 우리 둘 다 알고 있는 다른 남자를 지나쳤다. 우리는 악수를 하기 위해 멈추지 않았다. 우리가 집에 들어가자마자, 내 친구는 폭풍이 지나가는 대로 우리가 달리면서 지나친 그 남자를 나가서 찾아 악수하고 우리가 처음 그를 보았을 때 악수를 하기 위해 멈추지 않은 것은 바로 비 때문이었다고 설명해야 한다고 흥분하여 주장했다. 만일 우리가 이렇게 하지 않는다면 과실이 있는 것이고 우리가 달리면서 지나친 남자가 자신과 악수를 하지 않았다고 우리를 마을 법정으로 데려갈 수 있다고 내 친구는 지적했다. 악수하지 않는 것이 Urapmin인들 사이에서 소송을 당할 만한 도덕적 법적 위반으로 여겨질 수 있는 이유는 그곳 사람들이 악수에 어떤 초자연적인 의미를 부여한다거나 그것을 개인이 매일 하는 가장 중요한 일 중 하나로 간주하기 때문인 것은 아니다. 그것은 오히려 악수가 만남의 상황에서 문화적으로 기대되는 것이고 이 공유된 기대가 악수를 도덕의 실행으로, 악수하지 않는 것을 도덕의 위반으로 만드는 데 충분하기 때문이다.
영독 601::In economics, theories are often demonstrated to be statistically valid by examining real-world numbers concerning the variables. For example, if we wan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the price of coffee and the amount consumers buy, statistics regarding coffee prices and sales could be used. When data are not readily available, a model builder might conduct a study to gain the necessary information. Offices of institutional research at colleges often conduct studies to determine levels of student satisfaction, completion rates, and such. The federal government, private research groups, and others collect and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and extensive data on many facets of economic life, and the computer has made possible speedier and more sophisticated testing of ideas. Econometrics, which is the use of statistical techniques to describe the relationships between economic variables, is an important subfield in economics.::경제학에서, 이론은 흔히 변수에 관련된 실제 세계의 숫자들을 검증함으로써 통계적으로 타당하다는 것이 입증된다. 예를 들어 만약 우리가 커피 가격의 변화와 소비자가 사는 양 사이의 관계를 평가하기를 원한다면, 커피 가격과 판매에 관한 통계가 사용될 수 있다. 자료를 쉽게 이용할 수 없으면, 경제 모델 작성자가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연구를 시행할 수도 있다. 대학에 있는 기관 연구실들은 학생 만족도, 이수율 등을 알아내기 위해 연구들을 자주 시행한다. 연방 정부, 사설 연구 단체, 그리고 다른 단체들은 경제생활의 많은 면에 관한 가치 있는 정보와 광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공급하며, 컴퓨터는 아이디어들에 대한 더 빠르고 더 정교한 검사를 가능하게 했다. 계량경제학은 경제적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통계적 기법을 사용하는 것인데 경제학의 중요한 하위 분야이다.
영독 602::In general, law enforcement practitioners place great weight on their own previous experience and personal judgment. Although an experienced police executive should be able to make better decisions than a completely inexperienced one, a person's own experience may still not be the best guide. Frequently, another police executive with just as much experience has a completely different solution and is just as certain that his or her solution to a problem is the most satisfactory one. In fact, past success in certain kinds of situations may be attributable to chance rather than to the particular action taken. Thus, there is frequently much to be gained by counseling with others whose own experience can add an important and uniquely different dimension to the decision-making process.::일반적으로, 법 집행 전문가들은 자기들 자신의 이전 경험과 개인적 판단에 큰 비중을 둔다. 경험이 많은 경찰 간부가 전혀 경험이 없는 간부보다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겠지만, 여전히 한 사람의 고유한 경험이 최고의 지침이 되지 못할 수도 있다. 흔히, (경험이 많은 경찰 간부) 못지않게 많은 경험을 한 경찰 간부는 전혀 다른 해결책을 가지고 있고 문제에 대한 자신의 해결책이 가장 만족스러운 것이라고 (경험이 많은 경찰 간부) 못지않게 확신한다. 실제로, 어떤 종류의 상황에서 과거의 성공은 특정한 조치를 해서라기보다는 오히려 우연에 기인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의사 결정 과정에 중요하고 독특하게 다른 측면을 추가할 수 있는 고유한 경험이 있는 다른 사람들과 상담함으로써 흔히 얻을 수 있는 것이 많이 있다.
영독 603::Wireless devices solve one problem but create another. Removing all cables from the device allows for easy installation. But in most cases, a device needs to have autonomous power in the form of a battery as well. In many real-life use cases, that battery would need to last a long time ─ weeks, months, or years, depending on the use. There are many ways to extend battery life today. One way is to put the device in sleep mode when it's not transmitting data. Another way is to harvest energy from solar, wind, vibration, heat, or other alternative sources that exist where the device is in use. For example, using human body heat as a source of energy for wireless devices seems like a lucrative concept. Today, just enough electricity can be harvested from human body heat to power a simple sensor, but there's not enough to power full-blown cellular devices.::무선기기는 한 가지 문제를 해결하지만 다른 문제를 만들어낸다. 기기에서 모든 케이블을 제거하는 것은 쉬운 설치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에 기기는 건전지의 형태로 독립된 전력을 가지고 있을 필요도 있다. 많은 실생활 사용 사례에서 그 건전지는 오랫동안, 즉 용도에 따라 몇 주, 몇 개월 또는 몇 년 동안 지속될 필요가 있어야 할 것이다. 오늘날 건전지 수명을 연장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한 가지 방법은 기기가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때는 절전 모드로 두는 것이다. 또 다른 방법은, 기기가 사용되는 곳에 존재하는 태양, 바람 진동, 열 또는 다른 대체 에너지원에서 나오는 에너지를 얻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인간의 체열을 무선기기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것은 수익성 있는 개념처럼 보인다. 오늘날, 간단한 센서 하나에 동력을 공급할 만큼의 전기의 양을 인간의 체열에서 얻을 수 있지만, 모든 사양을 갖춘 휴대 전화기에 전력을 공급할 만큼은 아니다.
영독 604::The truth is, what we and many others are doing is creating a more sustainable lifestyle by living closer to the land in an ecologically and socially mindful way. We're anything but lone rangers in our quest, and we enjoy the diversity of perspectives and approaches we learn about from our guests, friends and others with whom we cross paths. Many of the "hippies" who have stuck with renewable energy are now teaching and sharing how practical energy conservation and renewable energy generation can be. But times and technology have changed. For us, reviving, renewing and restoring a homestead steeped in history made more sense than building a new home. Our challenge has been to selectively use certain elements that can enhance our lives, such as computers, while avoiding elements that cause unnecessary clutter or conflict with our values, like fast food.::사실 우리와 많은 다른 사람이 하고 있는 것이 생태학적으로 그리고 사회적으로 주의 깊은 방식으로 땅에 더 가까이 삶으로써 더 지속할 수 있는 생활 양식을 만들어내고 있다. 우리는 추구할 때 결코 혼자 행동하는 사람이 아니며, 우리는 우리의 손님, 친구들 그리고 우리가 우연히 만나는 다른 사람들로부터 배우는 다양한 관점과 접근법을 즐긴다. 재생 에너지를 고수해 온 '히피들' 중 다수가 에너지 보존과 재생 에너지의 생산이 얼마나 실용적일 수 있는지를 이제 가르치고 공유하고 있다. 그리나 시대와 기술은 변했다. 우리에게 역사가 깊이 스며든 농장의 가옥을 되살리고, 부활시키며 복원하는 것은 새집을 짓는 것보다 더 일리가 있었다. 우리의 어려운 문제는 패스트푸드처럼 불필요한 혼란이나 우리의 가치관과 충돌을 유발하는 요소들을 피하면서 컴퓨터와 같은 우리의 삶을 향상할 수 있는 어떤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었다.
영독 60506::Asking for help is something people often avoid. In one study conducted by business school professor Frank Flynn and a former doctoral student, Vanessa Lake, participants were asked to estimate how many strangers they would need to approach in order to get 5 people to fill out a short questionnaire. The average estimate was about 20 people. When the participants actually tried to get people to fill out the short questionnaire, they only needed to approach about 10 people on average to get 5 to comply with the request. Asking for some small help from strangers was apparently so uncomfortable that about one in five of the study participants did not complete the task. This dropout rate is much higher than typical in experiments where almost everyone finishes once they agree to participate. In another study, people estimated they would need to approach 10 strangers to let them borrow their cell phone to make a short call — the actual number approached to reach the target of 3 acceptances was 6.2. And people also overestimated the number of strangers they would need to approach to get someone to walk them to the Columbia University gymnasium about three blocks away. They thought it would take 7 asks, but it took just 2.3 on average. Once again, asking people to walk with the participant to show them the gym was apparently very uncomfortable, as more than 25 percent of the participants did not complete the task after agreeing to do so. The Flynn and Lake research demonstrates that people are pretty bad at predicting the behavior of other. It is hard for us to take the other's perspective and see the world from his or her point of view. Their research also shows that asking people for small favors makes the requesters very uncomfortable.::도움을 요청하는 것은 사람들이 흔히 피하는 어떤 것이다. 경영 대학원 교수 Frank Flynn과 이전의 박사 과정 학생 Vanessa Lake에 의해 실시된 한 연구에서 참가자들은 그들이 다섯 명에게 짧은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기 위해서 얼마나 많은 낯선 사람에게 접근 해야 하는지를 추산하도록 요청받았다. 평균 추산 인원은 약 20명이었다. 참가자들이 실제로 사람들에게 그 짧은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시도했을때, 다섯 명을 그 부탁에 응하도록 하는 데 평균 약 10명에게 접근해야 할 필요만 있었다. 낯선 사람들로부터 작은 도움을 얻기 위하여 요청하는 것은 분명히 매우 불편했으므로 그 연구 참가자 다섯 명 중 약 한 명은 그 과업을 완수하지 못했다. 이런 낙오자 비율은 모든 사람이 참가하기로 동의하기만 하면 거의 모두가 끝내는 실험에서 전형적인 비율보다 훨씬 더 높다. 또 다른 연구에서, 사람들은 짧은 통화를 하기 위해 그들(낯선 사람들)의 휴대 전화기를 빌리려고 자신들이 10명의 낯선 사람들에게 접근해야 할 것으로 추산했지만, 3번의 수락이라는 목표에 이르기 위해 접근된 실제 수는 6.2명이였다. 그리고 사람들은 또한 어떤 사람에게 약 세 블록 떨어진 컬럼비아 대학 체육관까지 자기들과 동행하게 하려고 접근해야 할 낯선 사람들의 수를 과도하게 추산하기도 했다. 그들은 그것이 7번의 요청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했지만, 평균 2.3번만 필요했다. 다시, 체육관을 그들에게 보여주도록 참가자와 함께 걷자고 사람들에게 요청하는 것은 분명히 매우 불편했는데, 왜냐하면 25퍼센트를 넘는 참가자가 그렇게 하겠다고 동의한 후에 그 과업을 완수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Flynn과 Lake의 연구는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예측하는 것에 꽤 서툴다는 것을 입증한다. 우리가 다른 사람의 관점을 받아들이고 그 사람의 관점으로 세상을 보기란 어렵다. 그들의 연구는 또한 사람들에게 작은 친절을 요청하는 것이 요청하는 사람들을 매우 불편하게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영독 607::Advocates who believe that animals have rights, sometimes called "rightists," are concerned with animals' quality of life. They make no utilitarian exceptions. They argue it's wrong to ever abuse or exploit animals or to cause animals any pain and suffering; animals shouldn't be eaten, held captive in zoos, or used in any (or most) educational or research settings. They believe the moral and legal rights of animals include the right to life and the right not to be harmed. According to Gary Francione, a professor of law at Rutgers University, to say an animal has a "right" to have an interest protected means the animal is entitled to have that interest protected even if it would benefit us to do otherwise. Rightists believe humans have an obligation to honor that claim for animals just as they do for nonconsenting humans (like infants, children, and adults with dementia) who can't protect their own interests.::동물들에게 권리가 있다고 믿는 주창자들, 때로 '(동물) 권리 주장자'라고 불리는 사람들은 동물의 삶의 질에 관심이 있다. 그들은 실리적인 예외를 두지 않는다. 그들은 여하튼 동물들을 학대하거나 착취하는 일 또는 동물에게 어떠한 아픔이나 고통을 일으키는 일은 잘못됐다고 주장하는데, 동물들은 잡아먹히거나, 동물원에 감금되거나, 어떠한 (또는 대부분의) 교육을 위한 또는 연구를 위한 환경에서도 이용되어서는 안 된다. 동물들의 윤리적 및 법적 권리에는 생명에 대한 권리와 해를 당하지 않을 권리가 포함되어 있다고 그들은 믿는다. Rutgers 대학교의 법학 교수인 Gary Francione에 따르면, 동물에게 어떤 권익을 보호받을 권리가 있다고 말하는 것은 비록 다르게 하는 것이(동물의 권익을 보호해 주지 않는 것이) 우리에게 이익이 될지라도 그 동물이 그 권익을 보호받을 자격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물) 권리 주장자들은, 자기 자신의 권익을 보호할 수 없는 (유아, 아이들 그리고 치매가 있는 성인들과 같은) 동의를 표할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해서 그러한 것과 똑같이 동물을 위해서도 그런 주장을 존중해야 할 의무가 사람들에게 있다고 믿는다.
영독 608::Launching successful new products has always been difficult. But the evidence shows that in recent decades it has become more challenging than ever. An authoritative 1991 survey by the Product Development and Management Association found that just 1 in 11 serious new product ideas is developed and brought to market successfully. A more recent study by the respected Doblin Group, a Chicago-based firm that is a leader in innovation strategy, found that some 96 percent of all attempts at innovation fail to meet their companies' target rates for return on investment. Thus, meeting your organization's growth objectives is no longer a relatively simple matter of developing a few spin-offs from already successful products or launching an exciting new brand. With store shelves already overflowing with thousands of goods and service offerings that compete for attention, it is getting harder and harder to break through the new-product clutter.::성공적인 신제품 출시는 항상 어려운 일이었다. 하지만 최근 수십 년 동안 그것이 어느 때보다 더욱 힘들어졌다는 것을 증거는 보여준다. 상품 개발 및 관리 협회에 의해 실시된 1991년의 한 권위 있는 조사는, 진지한 신제품 아이디어 11개 중에서 단 1개만이 성공적으로 개발되어 시장에 나온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혁신 전략의 선도자인 시카고에 본사를 둔 회사인 평판 좋은 Doblin Group의 더 최근의 연구는, 혁신을 꾀하려는 모든 시도의 약 96퍼센트가 투자 수익에 대한 회사의 목표율을 달성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러므로 여러분 조직의 성장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이미 성공한 제품으로부터 몇 개의 파생 상품을 개발하거나 흥미로운 새 브랜드를 출시하는 비교적 단순한 문제가 더 이상은 아니다. 관심을 끌기 위해 경쟁하는 수천 개의 상품과 서비스 매물로 매장 진열대가 이미 넘쳐흐르는 상황에서, 신제품의 혼란에서 돌파구를 찾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영독 609::When the interactors are communicating about the external world, pointing is sufficient to make minds meet on a referent. However, when they need to share referents in their inner worlds, a different tool is required. In a sense, language is a tool for reaching joint attention by "pointing" to places in our inner worlds. This mechanism is bootstrapped by pointing, other forms of gestures, and emotive expressions. Susan Goldin-Meadow goes beyond this metaphorical assertion and writes that in children, "pointing gestures form the platform on which linguistic communication rests and thus lay the groundwork for later language learning." For example, prelinguistic children at about twelve months can sometimes refer metonymically to an absent object by pointing to a place where that object has recently been or is normally located. For example, an infant may point to Daddy's chair as a reference to the absent daddy. This type of pointing can be seen as a transition from using pointing as a proto-demonstrative with a temporary meaning to using pointing symbolically with a more permanent meaning.::대화를 하는 사람들이 외부 세계에 대해 의사소통할 때 (손으로) 가리키는 것은 지시 대상에서 사람들의 생각이 (서로) 만나게 하기에 충분하다. 하지만 그들이 그들의 내면세계에 있는 지시 대상을 공유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다른 도구가 필요하다. 어느 면에서 언어는 우리의 내면세계에 있는 장소들을 '가리킴'으로써 공동의 주의 집중에 이르게 하는 도구이다. 이 방법은 가리킴, 다른 형태의 몸짓, 그리고 감정 표현으로 달성된다. Susan Goldin-Meadow는 이런 비유적 주장을 넘어서서, 아이들에게 '가리키는 몸짓은 언어적인 의사소통이 기초하는 기반을 형성하며, 따라서 이후의 언어 학습을 위한 기틀을 마련한다'라고 쓰고 있다. 예를 들어, 12개월 정도 된 언어를 사용하기 전의 아이들은 때때로 부재하는 대상이 최근에 있었거나 보통 위치하는 장소를 가리켜서 그것을 환유적으로 지칭한다. 예를 들어, 유아는 부재하는 아빠를 가리키는 표현으로 아빠의 의자를 가리킬 수 있다. 이런 유형의 지시는 가리킴을 일시적인 의미를 지닌 초기 단계의 지시사로 이용하는 것으로부터, 가리킴을 더 영구적인 의미로 상징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의 이행으로 볼 수 있다.
영독 610::Immoral behavior has been prohibited by every society for thousands of years. Every major religious tradition in every part of the world encourages morally good behavior. This agreement about the importance of morality is significant because there is also so much agreement about the content of morality. We all agree that killing people or causing them pain is immoral unless adequately justified, and we agree on many of the features of an adequate justification. We also agree that helping the needy is morally good. Any description of morality must explain this agreement. However, this agreement about morality must be reconciled with the fact that not only do different societies seem to have different moral codes, but even within a single society, rational people often disagree about what morally ought to be done.::비도덕적인 행동은 수천 년 동안 모든 사회에 의해 금지되었다. 세계의 모든 지역에서 모든 주요 종교적 전통은 도덕적으로 선한 행동을 장려한다. 도덕성의 중요성에 대한 이러한 합의는, 도덕성의 내용에 관해서도 또한 그만큼의 합의가 존재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우리는 사람을 죽이거나 사람들에게 고통을 일으키는 것이 충분히 정당화되지 않는 한 비도덕적이라는 점에 모두 동의하고, 충분히 정당한 이유가 가진 특징 중 많은 것에 대해 의견이 일치한다. 우리는 또한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 것이 도덕적으로 선하다는 것에 대해 의견이 일치한다. 도덕성에 관한 어떠한 설명이든지 이러한 합의를 설명해야 한다. 하지만 도덕성에 관한 이러한 합의는 서로 다른 사회가 각기 다른 도덕률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일 뿐만 아니라, 심지어 단일 사회 내에서도 이성적인 사람들 사이에 무엇이 도덕적으로 행해 져야 할 것인가에 관해 흔히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사실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영독 61112::Many of us have likely had the experience of chatting on the telephone with a busy friend who during the conversation is scanning to-do lists, opening e-mail, and the like. Despite his or her best efforts to seem engaged in the interaction, we can nonetheless often detect that person's multitasking behavior and use that perception as a cue to let our rushed and distracted friend go. Thus, even in the absence of visual cues and detailed contextual information, sensitive listeners can frequently make accurate and important inferences about the emotional and cognitive states of others from the way they are speaking with us, rather than from just the content of what they are saying. The functional importance of acoustics in signaling is even more clear in face-to-face social interaction. Consider, for instance, an infant who fretfully wakes from a nap only to notice several strangers gazing at her. As she begins whimpering more vigorously, her father picks her up and rubs her back while whispering "It's OK, baby" and making soft shushing sounds. Using both voice and face, the father reassures the infant while focusing her attention toward the visitors. In turn, the infant responds with alert interest, both hearing her father's voice and checking his facial expressions as she focuses on the newcomers.::우리 중 많은 이는 전화 대화 중에 할 일 목록을 훑어보고, 이메일을 열어보는 등의 일을 하는 바쁜 친구와 전화로 이야기해 본 경험이 아마 있었을 것이다. 그 대화에 몰두하는 것처럼 보이려는 친구의 최선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여전히 동시에 여러 가지 일을 처리하는 그 사람의 행동을 흔히 감지하여 우리의 바쁘고 산만한 친구를 놓아주기 위한 신호로 그 인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시각적 단서와 상세한 상황적 정보의 부재 속에서도, 민감한 청자는 단순히 상대방이 말하는 내용으로부터라기보다는, 상대방이 우리와 말하는 방식으로부터 흔히 그들의 정서적이고 인지적인 상태에 관한 정확하고 중요한 추론을 할 수 있다. 신호를 할 때 소리의 기능적 중요성은 얼굴을 맞대는 사회적 상호 작용에서 훨씬 더 뚜렷하다. 예를 들어, 짜증을 내며 낮잠에서 일어나보니, 여러 명의 낯선 사람들이 자신을 응시하고 있는 것을 알게 된 아기를 생각해 보라. 아기가 더 심하게 훌쩍이기 시작하자, 아기의 아버지는 ''괜찮아, 아가야"라고 속삭이며 부드럽게 쉿 하는 소리를 내면서 아기를 들어 올려서 등을 문지른다. 목소리와 얼굴을 모두 사용하여, 아기의 주의를 방문객들에게로 향하게 하면서 아버지는 아기를 안심시킨다. 결과적으로, 아기는 새로 온 사람들에게 집중할 때 아버지의 목소리를 들을 뿐 아니라 얼굴 표정을 확인해가면서 경계하는 관심을 가지고 반응한다.
영독 701::The people of every culture have pondered their origins and the origins of the cosmos. What is this space around us? Where did we come from? It is no mistake that these questions ― questions that many of us asked as children ― remain some of the most pressing in science. Questions like these point both to our innate curiosity about our origins and, as questions do, to the limits of our knowledge. For millennia we could only answer these questions with myth. But since the scientific revolution, we have tried to put myth aside, leaving the exploration of human and universal origins to scientists and their hard-fact methodologies. Modern cosmologists, though armed with fancy equations and high-tech experiments, can be said to be the myth makers of our time. Despite our precision mathematics and experiments, new surprises in modern physics and cosmology have emerged that compel some of the most able physicists to resort to myth making to try and explain the mind-bending information they have uncovered about the nature of the universe.::모든 문화의 사람들은 자신들의 기원과 우주의 기원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 왔다. 우리를 둘러싼 이 우주란 무엇인가? 우리는 어디에서 왔는가? 이런 질문들, 곧 우리들 중 많은 사람들이 어렸을 적에 했던 질문들이 여전히 과학에서 가장 무시하기 힘든 질문들 중 일부라는 것은 확실하다. 이와 유사한 질문들은 우리의 기원에 대한 우리의 타고난 호기심뿐만 아니라, 질문들이 그러하듯이, 우리의 지식의 한계도 시사한다. 수천 년 동안 우리는 신화로만 이런 질문들에 대답할 수 있었다. 하지만 과학 혁명 이후, 우리는 인간과 우주의 기원에 대한 탐색을 과학자들과 확실한 사실에 근거하는 그들의 방법론에 맡기면서 신화를 제쳐 놓으려고 노력해 왔다. 현대 우주학자들은, 복잡한 방정식과 첨단 기술 실험으로 무장하고 있지만, 우리 시대의 신화 창조자들이라고 말할 수 있다. 우리의 정밀한 계산과 실험에도 불구하고, 가장 유능한 물리학자들 중 일부가 우주의 본질에 관하여 자신들이 알아낸 난해한 정보를 애써 설명하기 위해 신화 만들기에 의지하게 만드는, 현대 물리학과 우주학에서의 새로운 놀라운 것[발견]들이 출현했다
영독 702::Beginners in rock climbing should not buy a complete set of equipment immediately. In most cases, when first attempting climbing under the guidance and support of an instructor, you can rent the necessary climbing equipment from the climbing gym. Often, this is included in the initial fee for a beginners' course. With a little experience, novice climbers can better assess what equipment is appropriate and necessary for them. Advice from instructors and advanced climbers can also be useful, although their advice sometimes tends toward personal favorites or trendy brands that are often very expensive and not necessarily the best choice for beginners. Because of the large number of products available, climbing equipment is now much more affordable. Extra care is required when purchasing used equipment, especially for inexperienced climbers who may not be able to evaluate wear and tear of such equipment.::암벽 등반 초급자는 완전한 장비 세트를 즉시 사서는 안 된다. 대부분의 경우, 강사의 지도와 도움을 받으며 처음 등반을 시도할 때, 등반 체육관에서 필요한 등반 장비를 대여받을 수 있다. 보통 이것은 초급자 강좌의 가입비에 포함되어 있다. 약간의 경험이 있으면, 초보 등반가는 자기에게 어떤 장비가 적합하고 필요한지 더 잘 가늠할 수 있다. 강사와 상급 등반가의 조언도, 가끔 그들의 조언이 보통 매우 비싸고 초급자에게 반드시 제일 나은 선택인 것은 아닌 개인적으로 특히 좋아하는 것이나 최신 유행 브랜드를 권하는 경향이 있을지라도, 유용할 수 있다. 구매 가능한[시장에 나온] 제품이 대단히 많기 때문에, 등반 장비는 현재 훨씬 더 저렴하다. 중고 장비를 구매할 때, 그런 장비의 마모를 감정할 수 없을지도 모르는 미숙한 등반가들에게는 특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영독 703::The spring migration of birds is ultimately motivated by the physics of the earth's orbit around the sun. Spring happens because the earth's axis of rotation is tilted 23.5 degrees away from vertical with respect to its annual orbit of the sun. As the earth circles the sun, its poles gradually tilt toward and then away from the sun. As the earth moves from its northern winter solstice to spring equinox, more direct sunlight hits the earth's surface in the Northern Hemisphere and day length increases. These two physical changes to our north-temperate sector of the planet produce the procession of spring. Longer days and increased daily solar radiation encourage the rapid growth of plant life and the invertebrates that live on plants. Birds move north to follow this burst of plant and insect life as the sun moves northward with the season. The migrants time their travel to arrive at their breeding habitat at a point of maximum seasonal abundance.::새들의 봄철 이주는 근본적으로 태양을 도는 지구 궤도의 물리적 특성이 원인이다. 지구의 자전축이 태양을 도는 지구의 연간 궤도와 관련하여 수직으로부터 23.5도 떨어져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봄이 생긴다. 지구가 태양을 원을 그리며 돌 때, 지구의 극은 기울어진 채 점점 태양 쪽으로 향했다가 그러고 나서 태양으로부터 멀어진다. 지구가 지구 북반구의 동지점에서 춘분점으로 이동할 때, 더 많은 태양 직사광이 북반구의 지표면에 내리쬐고 낮의 길이가 증가한다. 지구에서 우리의 북부 온대 지역에 생긴 이 두 가지 물리적 변화로 인해 봄의 진행이 일어난다. 낮의 연장과 하루 태양 복사열의 증가는 식물 및 식물을 먹고 사는 무척추동물의 급성장을 촉진한다. 태양이 계절에 따라 북쪽으로 이동할 때, 식물과 곤충의 이런 폭발적 증가를 따라가려고 새들이 북쪽으로 이주한다. 철새들은 계절적으로 가장 풍요로운 시점에 자신의 번식 서식지에 도착하기 위해 자신의 이동 시기를 맞춘다.
영독 704::It is a general belief that insects in the tropics are larger and more colorful than insects in temperate regions, though it's also true that there's more of everything in the tropics, including small, dull-brown insects. To our eyes, brightly colored insects are beautiful, but to predators such as birds, bright colors are a warning sign that indicates the insect is likely to contain nasty chemical compounds. Some perfectly innocuous insects mimic the colors of toxic species, thereby scaring off potential predators through subterfuge. At the same time, numerous nasty insects all resemble one another, making it easier for predators to remember — and avoid — them. With these two kinds of mimicry at play, there are a lot of distinct species that resemble one another, which makes it difficult to correctly identify, say, a tropical butterfly.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mimicry is more common in the tropics — perhaps due to greater predation pressure — or whether the percentage of mimetic species is the same as in temperate regions.::열대 지방에 작고 칙칙한 갈색을 띤 곤충들을 포함하여 모든 것들이 더 많이 있다는 것도 사실이지만, 열대 지방의 곤충들이 온대 지방의 곤충들보다 더 크고 더 화려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믿음이다. 우리의 눈에는 밝은색의 곤충들이 아름답지만, 새와 같은 포식 동물들에게는 밝은색은 그 곤충이 고약한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고 신호이다. 몇몇 완전히 독이 없는 곤충들은 유독한 종의 색깔을 흉내 내는데, 그렇게 함으로써 속임수를 통해 잠재적인 포식 동물들을 겁을 주어 쫓아 버린다. 동시에 수많은 고약한 곤충들은 모두 서로를 닮는데, 포식 동물들이 그들을 기억하는, 그래서 피하는 것을 더 쉽게 만든다. 이 두 종류의 모방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서로를 닮은 수많은 뚜렷이 다른 종들이 있는데, 이것은 가령 열대 지방의 어떤 나비를 정확하게 식별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모방이 아마도 더 큰 포식압 때문에 열대 지방에서 더 흔한지, 아니면 모방하는 종의 비율이 온대 지방에서와 같은지는 두고 봐야 한다.
영독 70506::For our present self-understanding, it is of consuming importance to estimate what the ancestral humans said and did in the firelight. A recent thorough record was made by the anthropologist Polly W. Wiessner of the talk around the campfire of the most famous of Earth's hunter-gatherers, the Ju/'hoansi (!Kung Bushmen) of the Kalahari Desert. Wiessner found differences between "daytime talk" and "firelight talk" that were even more striking than imagined previously. Daytime talk is focused on practical aspects of travel and the search for food and water. People working together talk about the food they seek. They also gossip back and forth in a manner that helps to stabilize their social networks. The subject matter is highly personal. Given the stringent quality of Ju/'hoansi existence, their talk is imbued with life-and-death choices. The conversation is also practical. It doesn't stray far, or play on the imagination and fantasies that are possible in periods of leisure. In the evening the mood relaxes. In the firelight the talk turns to storytelling, which drifts easily into singing, dancing, and religious ceremonies. Storytelling, especially among the men, turns frequently to successful hunts and epic adventures, their dominant daytime activity. As described by Elizabeth Marshall Thomas in her 2006 classic The Old Way: A Story of the First People, the stories are (or once were) commonly mythlike accounts of actual hunts. They were recited over and over by men in special voices, becoming almost chants, to which everyone listened.::우리의 현재 자기 이해를 위해, 조상이 되는 인간들이 (모닥불) 불빛 속에서 무엇을 말했고 무엇을 했는지를 추정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인류학자 Polly W. Wiessner에 의해, 지구상의 수렵 채집인들 중 가장 유명한 수렵 채집인들인 칼라하리 사막의 Ju/'hoansi(!Kung Bushmen) 부족이 모닥불 둘레에서 한 대화에 관하여 최근에 철저한 기록이 이루어졌다. Wiessner는 '낮 시간에 하는 대화'와 '불빛 속에서 하는 대화' 사이에서 이전에 상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놀라운 차이를 알아냈다. 낮 시간에 하는 대화는 이동, 그리고 음식과 물 찾기의 현실적인 측면에 집중되어 있다. 함께 일하는 사람들은 그들이 찾는 음식에 대해 대화한다. 그들은 또한 그들의 사회적 관계망을 안정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주거니 받거니 한담을 나눈다. 그 소재는 매우 개인적인 것이다. Ju/'hoansi 부족 생계의 절박한 특성을 고려하면, 그들의 대화는 생사에 관계되는 선택들로 가득 채워져 있다. 그 대화는 또한 현실적이다. 그것은 멀리 벗어나거나, 한가한 시간에 있을 수 있는 상상과 공상을 이용하지 않는다. 저녁에는 분위기가 이완된다. 불빛 속에서 대화는 스토리텔링[이야기하기]으로 바뀌는데, 그 스토리텔링은 노래하기, 춤추기 그리고 종교적인 의식으로 쉽게 이동하게 된다. 스토리텔링은, 특히 성인 남자들 사이에서, 자기들의 주요한 낮 시간 활동인 성공적인 사냥과 영웅적인 모험으로 주제가 바뀌는 경우가 빈번하다. Elizabeth Marshall Thomas가 자신의 2006년 명작인 'The Old Way: A Story of the First People'에서 설명한 대로, 그 이야기들은 흔히 실제 사냥에 대한 신화 같은 설명이다. 그것들은 특별한 목소리로 성인 남자들에 의해 반복해서 낭송되었고, 거의 노래가 되었는데, 그것을 모든 사람들이 경청했다.
영독 707::Successful writing teachers know that outlining prevents straggling prose and weak connections within a composition. Because students must organize their work and give it shape, outlining forces students to go deeper in their thought processes as they sort through the facts and ideas in their notes and in their heads. Outlining in some form is the first stage in delineating a line of thought. Experienced writing teachers spend more time on this stage than any other. They typically provide students with templates and conference with each student ensure they have defined the structure and line of thought appropriate for the assignment. Spending time and effort on this stage provides an opportunity to teach thinking about ordering ideas and supporting those ideas. This instruction makes the difference between loosely connected pieces of evidence and ones that closely illustrate or support the main idea of each paragraph and the composition as a whole. One experienced writing teacher told us that outlining is her "main defense against chaos."::성공적인 작문 교사는 개요 작성이 작문 내에서 무질서한 표현과 허약한 연결성을 방지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학생들은 자신의 글을 체계화하고 구체화해야 하므로, 개요 작성은 학생들이 자신의 메모와 머릿속에 있는 사실과 생각을 자세히 살펴보면서 자신의 사고 과정에 더 깊숙이 들어가게 한다. 어떤 형태로 개요를 작성하는 것은 생각의 방식을 구체적으로 묘사하는 데 있어 첫 번째 단계이다. 경험이 많은 작문 교사는 다른 어느 단계보다 이 단계에서 더 많은 시간을 쓴다. 그들이 그 쓰기 과제에 적합한 생각의 구조와 방식을 분명히 밝혔다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해 그들은 대개 학생들에게 본보기를 제공하고 개별 학생에게 상담해 준다. 이 단계에서 시간과 노력을 들이는 것은 생각을 정리하기와 그 생각을 뒷받침하기에 관하여 생각하는 것을 가르칠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교육이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는 근거들과 각 문단과 작문 전체의 중심 생각을 엄밀히 보여주거나 뒷받침하는 근거들 사이의 차이를 만들어 낸다. 어느 노련한 작문 교사는 개요 작성은 자신이 가진 '혼돈에 대한 주된 수비 책'이라고 우리에게 말했다.
영독 708::Paulo Freire, a renowned Brazilian educator, once said: "Reading the world precedes reading the word." By this, Freire meant that, from the moment that we are born, we begin to make sense of the world around us by associating the unknown with the known. This is why a baby might call all males 'Daddy' or all animals 'doggie'. If babies were not able to make these associations, they would be hopelessly confused by any new object or person that they came across. In the same way, everything that you read would be totally incomprehensible if you were not able to form associations between it and what you already know about a particular topic and the world in general. Therefore, when you are reading for study purpose, it is critical to read systematically, so that you are able to integrate the new knowledge you acquire with what you already know.::저명한 브라질의 교육자인 Paulo Freire는 언젠가 "세상을 읽는 것이 단어를 읽는 것보다 앞선다"라고 말했다. 이 말로써 Freire는 태어나는 순간부터 우리는 모르는 것과 아는 것을 연관시킴으로써 우리 주위의 세상을 이해하기 시작한다는 것을 뜻했다. 이런 이유로 아기가 모든 남자를 '아빠'라고 부르거나 모든 동물을 '강아지'라고 부를 수도 있는 것이다. 아기가 이러한 연관을 만들어내지 못한다면 아기는 자기가 마주치는 어떠한 새로운 물건이나 사람에 어찌할 바를 모르는 혼란을 느끼게 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여러분이 읽는 모든 것과 여러분이 특정한 주제와 일반적인 세상에 대해 이미 알고 있는 것 사이의 연관을 만들어낼 수 없다면, 여러분이 읽는 그 모든 것은 완전히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러분이 공부할 목적으로 읽을 때, 습득하는 새로운 지식과 이미 알고 있는 것을 통합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읽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영독 709::When trying to communicate a coherent message, having too many words can be just as damaging as having too few words. When revising, having too many words on the page can impede the flow of ideas. However, it is often difficult to throw things away once you have worked so hard to write them. A psychological trick to use in this situation is called the bone pile. Here you cut out those things that you think you can do without and move them down to the very bottom of the page in a section called the "bone pile." This is a pile of discarded sentences and paragraphs. This gets them out of the way so you can see what you are working with; however, you know that you can still go back and retrieve them if necessary. This makes them much easier to pull out.::일관성 있는 메시지를 전달하려고 노력할 때, 너무 말이 많은 것은 너무 말이 적은 것만큼이나 해로울 수 있다. 수정할 때, 그 페이지에 너무 많은 말이 있는 것은 생각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 하지만, 일단 무언가를 쓰기 위해 여러분이 매우 열심히 애쓰면 그것을 버리는 것이 어려울 때가 자주 있다. 이런 상황에서 사용하는 심리학적 요령을 뼈 무더기라고 부른다. 이제 없어도 무방하다고 여러분이 생각하는 것들을 잘라내서 페이지 맨 아래 '뼈 무더기'라고 불리는 부분으로 그것들을 옮긴다. 이것은 버려진 문장과 문단의 무더기이다. 이 작업은 여러분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도록 그것들을 방해되지 않게 치우지만, 필요하다면 여전히 되돌아 가서 그것들을 되찾을 수 있다는 것을 여러분은 안다. 이것은 그것들을 떼내는 일을 훨씬 더 수월하게 만들어준다.
영독 710::Morels are highly distinctive and especially delicious mushrooms that pop up briefly at the height of spring and are found in woodlands where one can also see spring wildflowers and new foliage. The experience of searching for and finding these mushrooms is one in which one is immersed in a world of new growth, where one enjoys the sights, sounds, smells, and anticipating taste. The beauty is not sharply separate from the fact that one is foraging for one's dinner. Indeed, it seems to be enhanced by this pursuit. Hence, the practically oriented self can be very much present because the object of the experience is valued both for itself and for other things to which it is a means. This harmony between pure delight and practical pursuits creates an appreciation of beauty in nature that can be prized as intensely as selfless absorption, but the two experiences are not to be conflated.::곰보버섯은 봄이 한창일 때 잠깐 나고 봄 야생화와 새로운 나뭇잎들을 또한 볼 수 있는 삼림 지대에서 발견되는 유난히 독특하고 특별히 맛있는 버섯이다. 이 버섯들을 찾고 발견하는 경험은 사람이 새로운 성장의 세계에 깊이 빠져드는 경험이며, 그곳에서 그는 광경, 소리, 냄새와 기대하는 맛을 즐긴다. 그 아름다움은 그가 자신의 저녁 식사를 찾아다니고 있다는 사실과 뚜렷이 분리되지 않는다. 사실, 그것은 이 추구로 인해 강화되는 것 같다. 그러므로 실용성을 지향하는 자아가 꽤 많이 존재할 수 있는데, 그 경험의 목적이 그 자체와 그것이 수단이 되는 다른 것 둘 다로 인해 소중하게 여겨지기 때문이다. 순수한 기쁨과 실용적인 추구 사이의 이런 조화는 무아지경의 몰두만큼 매우 귀하게 여겨질 수 있는 자연 속 아름다움에 대한 감상을 불러일으키지만, 이 두 경험은 섞일 수 없다.
영독 71112::In the spring of 1999 I was pregnant with my first child. I believed I knew a lot about babies as I had been a pediatric nurse for more than fifteen years. I also had seven nieces and nephews and many friends with their own babies. I expected advice from my mother and sisters, and even a few close friends. But advice from strangers in the supermarket or in the mall? Even in the bookstore, while selecting from among the thousands of books on pregnancy, childbirth, and baby care, I received unwanted advice on which book worked best. Everyone, it seemed, had an opinion ― about breast-feeding versus bottle-feeding, the use of disposable versus cloth diapers, developmental toys versus pure playing, babysitters, day care versus stay-at-home moms ― the list was endless. I purchased several baby care books and along with the pamphlet handed out by the pediatrician after our daughter's birth tried to make sense of it all. This task proved impossible. One expert advised picking up a crying baby at once while another expert with similar impressive credentials advised letting the baby cry for a while. The contradictions in advice were everywhere. Eventually my husband suggested that we get Dr. Spock's Baby and Child Care book and forget about the rest. After all, Spock worked for his mother! I put the books away, we bought Dr. Spock's book and referred to it sparingly, preferring at last to rely on our own instincts. We asked for advice only when we felt it was needed. This decision still did not stop the advice. We were, like many other new parents, the recipients of a century's worth of generally well-meaning baby care advice.::1999년 봄 나는 내 첫 아이를 임신했다. 나는 15년 넘게 소아과의 간호사였기에 내가 아기에 대해 많이 알고 있다고 믿었다. 내게는 조카딸과 조카가 일곱 명 있었고 자기 아이가 있는 친구들도 많이 있었다. 나는 엄마와 자매들, 그리고 몇 명의 가까운 친구들에게서조차 조언을 예상했다. 하지만 슈퍼마켓이나 쇼핑몰에 있는 낯선 사람에게서의 조언은? 서점에서조차 임신, 출산, 그리고 육아에 관한 수천 권의 책 사이에서 고르는 동안에 나는 어느 책이 가장 도움이 되었는지에 대해 청하지 않은 조언을 받았다. 모든 사람이 의견이 있는 것처럼 보였다 ― 모유 수유와 분유 수유, 일회용 기저귀 사용과 천 기저귀 사용, 발달 장난감과 순전한 놀이, 베이비시터와 탁아소와 전업주부 등 목록은 끝이 없었다. 나는 몇 권의 육아 도서를 샀고 우리 딸의 출산 이후에 소아과 의사가 나누어 준 소책자와 함께 그 모두를 이해하려고 노력했다. 이 일은 불가능하다는 것이 드러났다. 한 전문가는 우는 아기를 즉시 안아 올리라고 조언했지만 비슷한 인상적인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다른 전문가는 아기가 울도록 잠깐 놓아 두라고 조언했다. 조언에서의 모순은 어느 곳에나 있었다. 결국 남편은 Spock 박사의 'Baby and Child Care'라는 책을 사고 나머지는 잊어버리자고 제안했다. 어쨌든, Spock은 자기 엄마를 위해 집필을 했으니까! 나는 책들을 치웠고 우리는 Spock 박사의 책을 사서 그 책을 조금만 참조했고, 결국에는 우리만의 본능에 의존하기를 더 선호했다. 필요하다고 느낄 때만 우리는 조언을 구했다. 이 결정은 여전히 조언을 멈추게 하지는 못했다. 우리는 많은 다른 초보 부모와 마찬가지로 대체로 좋은 의도를 가진 한 세기 분량의 육아 조언을 받은 사람들이었다.
영독 801::The tension between peace and justice is especially apparent in the extreme case of tyrannical governments. Such governments use the state's legal and political systems to violate fundamental economic, political, and social rights of subordinate groups. Therefore, these systems cannot be used effectively to obtain justice. Negotiation is similarly unlikely to be effective, as dominant groups will rarely voluntarily negotiate agreements that give them less power or resources than they currently have. Very often in such asymmetrical power situations, the subordinate group concludes that the only effective strategy for pursuing justice is violent confrontation. Yet violence tends to beget more violence. The cycle often escalates quickly to the point where the ensuing struggle becomes an even greater violator of fundamental human rights than the initial injustice.::평화와 정의 사이의 긴장은 폭정을 하는 정부의 극단적인 경우에서 특히 명백하다. 이러한 정부는 종속 집단의 기본적인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권리를 침해하기 위해 국가의 법률 및 정치 시스템을 사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시스템은 정의를 얻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없다. 협상도 마찬가지로 효과적일 것 같지 않은데, 그 이유는 지배 집단들이 그들이 현재 가지고 있는 것보다 더 적은 권력이나 자원을 자신들에게 주는 협약을 자발적으로 타결하는 경우는 거의 없을 터이기 때문이다. 그러한 불균형적인 권력 상황에서 수시로 종속 집단은 정의를 추구하는 유일한 효과적인 전략이 무력적인 대항이라고 결론 내린다. 그러나 폭력은 더 많은 폭력을 초래하는 경향이 있다. 그 순환은 자주, 뒤따르는 투쟁이 초기의 불의보다 기본적인 인권을 훨씬 더 크게 침해하는 것이 될 정도로 빠르게 악화된다.
영독 802::It is the scope and significance of the accommodation sector which is of interest to tourism analysts, not least because it often comprises the largest element of tourist expenditure during a trip (excluding visiting friends and relatives). More specifically, hotels provide a base for business travel, meetings and conferences and these are also lucrative, high-yielding business, with rooms being hired for meetings, and functions being provided along with entertainment. Both business travelers and leisure travelers staying in hotel accommodation have a higher tendency to spend while they are away than when they are at home. Therefore, hotels not only meet the visitor's basic requirement — of shelter for the night ― but also add value to the experience by providing ancillary services and products. Hotels also have the advantage that hosting guests has the potential to generate additional revenue from food and beverage services.::관광 분석가들에게 흥미로운 것은 바로 숙박 부문의 범위와 중요성인데, 특히 그것이 (친구와 친지 방문을 제외하고) 여행하는 동안 관광 지출에서 흔히 가장 큰 요소를 구성하기 때문이다. 더 구체적으로 말해서, 호텔은 사업상의 여행 모임 및 회의의 기반을 제공하며, 이것들은 또한 모임을 위한 방이 대여되고 오락과 함께 여러 행사들이 제공되고 있으므로 수익성이 좋고 수익률이 높은 사업이다. 호텔 숙박시설에 머무는 사업상 여행하는 사람들과 레저 여행객들은 둘 다 집에 있을 때보다 나가 있는 동안 돈을 쓰는 경향이 더 높다. 따라서 호텔은 밤을 지낼 숙소라는 방문객의 기본적인 필요를 충족할 뿐만 아니라 부수적인 서비스와 상품을 제공함으로써 경험에 가치도 더해준다. 호텔은 또한 손님을 유치하는 것이 음식 및 음료 서비스로부터 추가적인 수익을 창출 할 잠재력이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영독 803::The earliest effort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physical world around us began several thousand years ago. By the time of the ancient Greeks, over 2,000 years ago, these attempts at explanation had become both complex and sophisticated. They were characterized by the desire to find a single explanation which could be applied to all happenings in the physical world. For example, the description of the world that received most support supposed the existence of four primary chemical elements ― earth, water, air and fire. This list may look odd to us but we should see it as something like the modern division of substances into solids, liquids, and gases. These four elements were considered to have particular places where they were naturally at rest. The earth, preferentially accumulated at, or below, the Earth's surface; the water came next, lying on top of the Earth's surface; air formed a layer of atmosphere above the surface; and, finally, a layer of fire surrounded the atmosphere. This layering of the elements was invoked to explain how things moved on Earth. A stone thrown into the air fell back to the Earth's surface because that was its natural resting-place; flames leapt upwards in order to reach their natural home at the top of the atmosphere, and so on.::우리 주변의 물리적 세계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한 가장 초기의 노력은 수천 년 전에 시작되었다. 2,000년도 다 된 고대 그리스 시대에, 설명하고자 하는 이러한 시도들은 복잡하면서도 정교해졌다. 그것들은 물리적 세계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에 적용될 수 있는 단일 설명을 찾고자 하는 욕망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어, 가장 많은 지지를 받았던 세계에 대한 설명은 땅, 물, 공기 및 불이라는 네 가지 주요한 화학적 원소의 존재를 가정했다. 이 목록이 우리에게 이상하게 보일 수 있지만 우리는 그것을 고체, 액체 및 기체로 물질을 나누는 현대적인 구분과 비슷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 네 가지 원소는 자연적으로 머물러 있는 특정한 장소를 갖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땅은 우선적으로 지구의 표면 또는 아래에 축적되고, 다음으로 지구 표면 위에 놓여 있는 물이 나왔고, 공기는 지구 표면 위의 대기층을 형성하고, 마지막으로 불의 층이 대기를 둘러쌌다. 이렇게 원소들이 층을 형성한다는 것은 사물이 어떻게 지구상에서 움직이는지를 설명하려고 언급되었다. 공중에 던져진 돌은 지구 표면으로 다시 떨어졌는데 그곳이 그것이 자연적으로 머무는 장소였기 때문이며, 화염은 대기의 꼭대기에 있는 그것의 자연적인 거처에 도달하기 위하여 위로 솟아 올라간다는 등의 설명이었다.
영독 804::Learning science through inquiry is a primary principle in education today. You might well ask, "instead of what?" Well, instead of learning science as a static or unchanging set of facts, ideas, and principles without any attention being paid to how these ideas and principles were developed. Obviously, we cannot expect our students to discover all of the current scientific models and concepts. We do, however, expect them to appreciate the processes through which the principles are attained and verified. We also want them to see that science includes more than just what occurs in a classroom; that the everyday happenings of their lives are connected to science. Exploring the implications of heat transfer, exploring magnet strength, and observing condensation are only some of the examples of everyday life connected to science as a way of thinking and as a way of constructing new understandings about our world.::탐구를 통한 과학 학습은 오늘날 교육의 주된 원리이다. 여러분은 "무엇 대신에"라고 물을지도 모른다. 음, 아이디어와 원리가 어떻게 개발되었는지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과학을 정적이거나 변하지 않는 일련의 사실, 아이디어, 원리로 배우는 대신에 (탐구를 통해 과학을 배운다). 분명히 우리는 우리 학생들이 현재의 모든 과학적 모델과 개념을 발견할 것을 기대할 수 없다. 그러나 우리는 정말로 그들이 원리가 도출되고 검증되는 과정들을 이해할 것을 기대한다. 우리는 또한 그들이 과학은 단순히 교실에서 일어나는 것 이상을 포함한다는 것, 그리고 그들의 삶에서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것들이 과학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기를 원한다. 열전도의 영향을 탐구하고, 자력의 세기를 탐구하고, (기체의) 응결을 관찰하는 것은 사고의 방식 그리고 우리의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구축하는 방식으로 과학과 연관된 일상생활의 단지 몇 가지 예에 지나지 않는다.
영독 80506::Movies are a particularly important vehicle for the transmission of cultural norms and understandings. As audience members we view movies in a relaxed mode, not fully appreciative of the ways that film narrative is structured to be consistent with the ideals, norms, and expectations of the surrounding culture. In this way, movies may be said to support the dominant culture and to serve as a means for its reproduction over time. But one may ask why audiences would find such movies enjoyable if all they do is give cultural directives and prescriptions for proper living. Most of us would likely grow tired of such didactic movies and would probably come to see them as propaganda, similar to the cultural artwork that was common in the Soviet Union and other autocratic societies. The simple answer to this question is that movies do more than present two-hour civics lessons or editorials on responsible behavior. They also tell stories that, in the end, we find satisfying. The bad guys are usually punished; the romantic couple almost always find each other despite the obstacles and difficulties they encounter on the path to true love; and the way we wish the world to be is how, in the movies, it more often than not winds up being. No doubt it is this utopian aspect of movies that accounts for why we enjoy them so much. The movies provide us with the happy endings and the just solutions that we cherish in our hearts, even as we understand in our heads that they are not always found in the real world. Movies, then, offer both the happy ending that we love and the more conservative support of the dominant culture that guides behavior in "the real world."::영화는 문화적 규범과 이해를 전달하는 데 특히 중요한 수단이다. 관객으로서 우리는 영화의 이야기가 우리 주변의 문화가 가지는 이상, 규범 및 기대와 일치하도록 구조화된 방식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채 편안한 방식으로 영화를 본다. 이런 방식으로 영화는 지배적인 문화를 지지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것을 재생산하는 수단의 역할을 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영화가 하는 일의 전부가 적절한 삶에 대한 문화적 지시와 처방을 전달하는 것뿐이라면 관객들이 왜 그러한 영화가 즐겁다고 느끼는지에 대한 질문이 제기될 수 있다. 우리 중 대부분은 그러한 교훈적인 영화에 싫증이 나게 될 가능성이 있고, 그것들을 소련 그리고 다른 독재 사회에서 흔했던, 문화적 예술 작품과 유사한 선전으로 아마도 보게 될 것이다. 이 질문에 대한 간단한 답은 영화가 책임 있는 행동에 관한 두 시간짜리 국민 윤리 교육이나 사설을 제시하는 것 이상을 한다는 것이다. 그것들은 또한 우리가 결국 만족스럽다고 느끼는 이야기를 한다. 나쁜 사람들은 보통 벌을 받고, 낭만적인 커플은 진정한 사랑에 이르는 길에서 겪는 장애물과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거의 항상 서로를 만나게 되며, 우리가 세상이 어떻게 되기를 원하는 대로 영화 속에서 세상은 대체로 결국 그러한 모습으로 존재하게 된다. 우리가 왜 그렇게 많이 영화를 즐기는지를 설명해 주는 것은 바로 영화의 이 이상적인 측면임이 틀림없다. 영화는 우리가 마음속으로 소중히 여기는 행복한 결말과 딱 맞는 해결책을 제공하는데, 실제 세계에서는 그것들을 항상 찾을 수 있는 것은 아님을 우리가 머릿속으로 이해할 때조차도 그렇다. 그렇다면 영화는 우리가 좋아하는 행복한 결말 '그리고' '실제 세계'에서 행동을 인도하는 지배적인 문화에 대한 더 보수적인 지지 둘 다를 제공한다.
영독 807::Many people who have type II diabetes are advised to control their blood sugar levels by following a healthy diet, taking exercise and losing weight. They are advised to eat foods that are low in saturated fat and salt but high in fiber and complex (slowly absorbed) carbohydrates, such as whole-grain cereals, beans, and lentils. These foods, especially if they are taken at regular intervals during the day, help to keep blood sugar levels steady. Foods that should be avoided include sugary snack foods and drinks, and food with a high level of saturated fat. These foods cause a rapid rise in blood sugar level that the diabetic person is unable to deal with. The fat content of food can be reduced by certain cooking methods. Grilling or steaming is preferable to frying because no fat is used or added to the food. If left untreated, type II diabetes can lead to long-term health problems such as kidney disease, high blood pressure, stroke and heart attack.::제2형 당뇨병에 걸린 많은 사람은 건강에 좋은 식단을 따르고, 운동하며, 체중을 감량함으로써 혈당 수치를 조절하도록 권고받는다. 그들은 미정제 곡물, 콩 그리고 렌틸콩과 같이 포화 지방과 염분은 적지만 섬유소와 (천천히 흡수되는) 복합 탄수화물이 많은 음식을 먹도록 권고받는다. 이러한 음식들은, 특히 하루 동안 일정한 시간적 간격을 두고 섭취되는 경우에는 혈당 수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피해야 할 음식은 설탕이 많이 든 간식용 음식과 음료, 그리고 포화 지방이 많은 음식이다. 이러한 음식들은 당뇨병이 있는 사람들이 다룰 수 없는 혈당 수치의 급격한 증가를 유발한다. 음식의 지방 함유량은 특정 요리법으로 줄어들 수 있다. 석쇠로 굽거나 찌는 것은 음식에 기름이 사용되거나 첨가되지 않기 때문에 튀기는 것보다 더 바람직하다. 만일 치료를 받지 않은 채로 내버려 둔다면, 제2형 당뇨병은 신장 질환, 고혈압, 뇌졸중, 그리고 심장 마비와 같은 장기적인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영독 808::The fault-tolerance characteristic refers to the capability of distributed systems to detect and recover from faults occurring in various layers of the systems. The faults can be of various types, occurring in hardware or software; their occurrences can be temporary or permanent. In distributed systems the failure of one machine can be tolerated, for example, if its functionality can be easily replaced by another redundant stand-by machine. A software system can be installed on multiple machines so that in the face of hardware faults or software failures, the faults or failures can be detected and tolerated by other machines. In order to validate fault-tolerance solutions for distributed systems a simulation model should at least incorporate the capability to simulate faults in various levels (applications, processing units, network links), to make use of various fault detection schemes or fault recovery procedures.::내고장성 특성은 시스템의 다양한 단계에서 발생하는 고장을 감지하고 복구하는 분산 시스템의 능력을 가리킨다. 고장은 유형이 다양하여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서 발생할 수도 있고, 그 발생이 일시적이거나 영구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분산 시스템에서는 한 기계의 기능이 다른 여분의 예비 기계에 의해 쉽게 대체될 수 있는 경우, 한 기계의 고장은 용인될 수 있다. 하드웨어 고장 또는 소프트웨어 결함에도 불구하고 다른 기계들이 고장이나 결함을 감지하고 용인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다수의 기계에 설치할 수 있다. 분산 시스템에 대한 내고장성 해결법을 검증하기 위해 모의 실험 모델은 다양한 수준(애플리케이션, 처리 장치, 네트워크 링크)에서 고장을 시뮬레이션하고, 다양한 고장 감지 체계나 고장 복구 절차를 이용하는 성능을 최소한 포함해야 한다.
영독 809::According to the British empiricists, one important aspect of how the mind works involved the concept of association. The empiricists assumed that all ideas originated from sense experiences. If that is true, how do our experiences of various colors, shapes, odors, and sounds allow us to arrive at more complex ideas? Consider, for example, the concept of a car. If someone says the word car, you have an idea of what the thing looks like, what it is used for, and how you might feel if you sat in it. Where do all these ideas come from given just the sound of the letters c, a, and r? The British empiricists proposed that simple sensations were combined into more complex ideas by associations. Because you have heard the word car when you saw a car, considered using one to get to work, or sat in one, connections or associations became established between the word car and these other attributes of cars. Once the associations became established, the word car would activate memories of the other aspects of cars that you have experienced. The British empiricists considered such associations to be the building blocks of mental activity.::영국의 경험주의자들에 따르면, 정신이 작용하는 방식에 대한 한 가지 중요한 측면은 연상이라는 개념과 관련이 있었다. 경험주의자들은 모든 생각은 감각 경험에서 나온다고 가정했다. 만약 그것이 사실이라면, 다양한 색깔 모양, 냄새, 그리고 소리에 대한 우리의 경험이 어떻게 우리로 하여금 더 복잡한 생각에 이르게 하는 것일까? 예를 들어, 자동차라는 개념을 생각해보라. 만약 누군가 '자동차' 라는 단어를 말하면, 여러분은 그것이 어떻게 생겼는지, 그것이 무엇에 사용되는지, 그리고 여러분이 그 안에 앉아 있다면 어떤 느낌이 드는지 알고 있다. 그저 'c', 'a', 그리고 'r'이라는 문자들의 소리만 고려할 때, 어디에서 이 모든 생각이 나오는 것일까? 영국의 경험주의자들은 단순한 감각들이 연상에 의해 더 복잡한 생각들로 결합 되었다는 설명을 제시했다. 여러분이 자동차를 보거나, 자동차를 이용하여 출근하는 것을 고려하거나, 또는 자동차 안에 앉았을 때, '자동차'라는 단어를 들어 본 적이 있으므로 '자동차'라는 단어와 자동차의 이런 다른 속성 사이에 연결이나 연상이 확실히 자리를 잡았던 것이다. 일단 연상이 확실히 자리를 잡으면 '자동차'라는 단어는 여러분이 경험했던 자동차의 여타 측면들에 관한 기억들을 활성화할 것이다. 영국의 경험주의자들은 그런 연상을 정신 활동의 구성 요소로 여겼다.
영독 810::If you feel intimidated by the web, then you might end up blaming your computer, the system you're using, the people who run the service, or some unnameable outside entity when things go wrong. You can go a long way to reducing your anxiety by deciding that it's 'user incompetence', not system error, that is the most likely explanation for your problems. When something 'goes wrong' or 'doesn't work', go back and check for the mistake that you probably made:. Maybe you forgot to fill in an essential information field, perhaps you typed two different things when asked to confirm your password, conceivably you made a typo when entering your email address, or, you forgot to save. Realizing that the problem is probably with you, and not with the machine, is a stress-reduction technique that can really work.::웹에 겁을 내는 경우 일이 잘못되면 결국 컴퓨터, 사용 중인 시스템, 서비스를 운영하는 사람 또는 이름을 붙일 수 없는 어떤 외부 존재를 탓하게 될지도 모른다. 여러분의 문제에 대한 가장 그럴듯한 설명이 바로 시스템 오류가 아니라 '사용자 무능력'이라고 판단함으로써 걱정을 더는 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뭔가가 '잘못되거나' '작동하지 않으면' 되돌아가서 '여러분'이 어쩌면 저질렀을 실수를 확인하라. 즉, 어쩌면 필수적인 정보 필드를 채우는 것을 잊었거나, 어쩌면 암호를 확인해달라는 요청을 받았을 때 다른 두 개를 입력했거나, 아마도 이메일 주소를 입력할 때 오타를 쳤거나, 저장하는 것을 잊었을 것이다. 문제가 아마도 기계에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분에게 있다는 것을 깨닫는 것은 정말로 효과가 있을 수 있는 스트레스 완화 기술이다.
영독 81112::In the early 1960s, Aaron T. Beck, a professor of psychiatry at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Medical School, made an important discovery while using psychoanalysis to treat his depressed patients. Beck had asked his patients to report any thoughts that entered their mind during the therapy session. He discovered that his patients actually had two streams of thought, which occurred simultaneously. The first stream consisted of thoughts that people were highly aware of and that dealt with the task at hand, such as "I need to tell Dr. Beck about my bad week," or "I think I should talk about my demanding mother." Psychiatrists focused their interpretive skills on these highly conscious thoughts. But Beck discovered a second stream of thinking that was unintended, more automatic, and just barely noticeable to his patients. He labeled this type of thinking automatic thoughts. With some effort and training, Beck was able to teach his patients to refocus their attention on these automatic thoughts. What he discovered was that people with clinical depression were frequently having very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bout themselves, their personal circumstances, and their future — thoughts that they hardly knew existed. So in the therapy sessions, as they were talking about their distressing weeks or difficult childhoods, they were also having automatic thoughts like "I don't think I am doing this right," ''I'm probably the most hopeless case Dr. Beck has seen," and "He probably thinks I' m such a complainer." What Beck discovered in his depressed patients was a highly critical inner voice that was barely noticeable because it occurred at the level of a whisper, yet had a profound impact on directing the course of their depression.::1960년대 초 Pennsylvania 의과 대학의 정신과 교수인 Aaron T. Beck은 자신의 우울증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정신 분석을 사용하는 동안 중요한 발견을 했다. Beck은 자신의 환자들에게 치료 시간 동안 마음에 떠오르는 모든 생각을 말해달라고 요청했었다. 그는 자신의 환자들이 실제로 동시에 발생하는 두 가지 생각의 흐름을 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첫 번째 흐름은 사람들이 잘 알고 있고 당면한 과제를 처리하는 생각들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Beck 박사님께 나의 힘들었던 한 주에 대해 말해야 해,' 또는 '요구가 많은 나의 어머니에 대해 말해야 한다고 나는 생각해,'와 같은 것이다. 정신과 의사들은 이런 매우 의식적인 생각에 자신들의 해석 능력을 집중했다. 하지만 Beck은 의도되지 않은, 더 자동적이며, 자신의 환자들은 겨우 간신히 알아차릴 수 있는 두 번째 생각의 흐름을 발견했다. 그는 이런 유형의 생각을 '자동적 사고'라고 명명했다. 약간의 노력과 훈련으로 Beck은 자신의 환자들에게 이런 자동적 사고에 다시 집중하는 법을 가르칠 수 있었다. 그가 발견한 것은 임상적으로 우울증을 앓고 있는 사람들이 흔히 자신, 자신의 개인적인 상황, 그리고 자신의 미래에 대해 매우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 즉 존재한다는 것을 거의 알지 못했던 사고를 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치료 시간에 그들이 자신들의 고통스러운 주들이나 어려운 어린 시절에 대해 말하고 있었을 때 그들은 또한 "내가 이것을 제대로 하고 있다는 생각이 안 들어," "나는 어쩌면 Beck 박사님이 진찰했던 가장 절망적인 환자일 거야," 그리고 "그는 아마 내가 엄청난 불평꾼이라고 생각할 거야"와 같은 자동적 사고를 하고 있었다. Beck이 자신의 우울증 환자들에게서 발견한 것은 속삭임 수준에서 발생해서 간신히 알아차릴 수 있었지만 그들의 우울증의 경과를 결정하는 데 매우 큰 영향을 미친 매우 비판적인 내면의 목소리였다.
영독 901::Humans evolved in an environment of scarcity where hunger and famine were constant companions. Individuals who learned to stock up on fats, sugars, and salts when they were available were more likely to survive and reproduce than those who did not. As a result, evolutionary biologists discovered, over the ages our brain circuits rewarded such binges.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 food industry has put sugar, fat, and salt within arm's reach of much of the world's population. So the hedonic impulses that once conferred survival benefits now encourage the overeating that puts people at risk of diet-related chronic diseases. Technologists now work in food industry laboratories to exploit this evolutionary lag to create products that promise continued profitability. As Harvard evolutionary biologist Daniel Lieberman put it, "The food industry has made a fortune because we retain Stone Age bodies that crave sugar but live in a Space Age world in which sugar is cheap and plentiful."::인간은 굶주림과 기근이 변함없이 따라다니는 결핍된 환경에서 진화했다. 구할 수 있을 때 지방과 당, 염분을 비축하는 것을 배운 개인은 그렇지 못한 이들보다 살아남아 번식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그 결과, 오랜 세월 동안 우리의 뇌 회로가 그런 폭식을 보상했다는 것을 진화 생물학자들은 발견했다. 21세기에 식품 산업은 설탕, 지방, 소금을 많은 세계 인구가 쉽게 구할 수 있는 곳에 두었다. 그래서 한 때 생존 혜택을 주었던 쾌락적 충동이 이제는 사람들을 식습관과 관련된 만성 질환의 위험에 처하게 하는 과식을 조장한다. 과학 기술자들은 이제 식품 산업 연구실에서 지속적인 수익성의 가능성이 있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 이런 진화적인 지체를 이용하려고 노력한다. Harvard의 진화 생물학자인 Daniel Lieberman이 말했듯이, "우리가 설탕을 갈망하는 석기 시대의 몸을 유지하고 있지만 설탕이 저렴하고 풍부한 우주 시대 세계에서 살고 있기 때문에 식품 산업이 부를 축적한 것이다."
영독 902::You need to realize that there are mistakes that you can fix and there's no need to tell your boss about, and there are others that will have far-reaching implications which you must own up to.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requires judgment and common sense. For example, if you call in figures to the agency preparing your company's annual report and a few hours later realize you called in the wrong set of numbers, you can simply call back the agency and correct your own mistake. There's no need to tell your boss what you did. But if you don't catch your mistake and the proof of the book arrives with the wrong numbers laid out in type, then you need to admit to your boss that you made a mistake. Point it out to him (if he hasn't already caught it) and tell him you'll get the agency on the phone and ask them to put together a new proof as soon as possible. Why do you need to admit your mistake? Because you will have cost the company money and the proof of the annual report will arrive later than expected. And in most practical terms because you will be found out.::여러분이 고칠 수 있어서 여러분의 상사에게 그것에 관해 말할 필요가 없는 실수가 있고,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므로 자백해야만 하는 다른 실수가 있다는 것을 여러분은 깨달아야만 한다. 그 차이를 이해하려면 판단력과 상식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만약 여러분이 여러분의 회사의 연례 보고서를 준비하는 대행사에 수치를 전화로 알려줬는데 몇 시간 후에 당신이 잘못된 일련의 숫자를 알려줬다는 것을 깨닫는다면, 여러분은 그저 그 대행사에 다시 전화를 걸어서 여러분 자신의 실수를 수정하면 된다. 여러분이 한 일을 여러분의 상사에게 말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여러분이 자신의 실수를 발견하지 못하여 잘못된 숫자가 활자로 찍혀서 교정용 인쇄물 책이 도착한다면, 여러분은 실수를 저질렀다는 것을 여러분의 상사에게 자백할 필요가 있다. (그가 아직 그것을 잡아내지 못했다면) 그에게 그것을 알려주고 그 대행사에 전화로 연락하여 가능한 한 빨리 새로운 교정용 인쇄물을 만들어 달라고 하겠다고 그에게 말하라. 왜 여러분은 자신의 실수를 인정해야 하는 것일까? 왜냐하면 여러분이 회사에 돈을 쓰게 했을 것이며 연례 보고서의 교정용 인쇄물이 예상보다 늦게 도착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가장 현실적인 측면에서 말한다면, 여러분이 발각될 것이기 때문이다.
영독 903::Foreign, or alien, species introduced accidentally or intentionally into new territories often do well in their new homes because conditions may be highly favorable to their growth and reproduction. One reason for this is that these species may face little environmental resistance ― for example, there may be no natural predators to hold their populations in check ― in their new home. As their populations expand, alien species often outcompete and eliminate native species. The English sparrow is an example. Deliberately introduced into America in the 1850s, the spat-row quickly spread throughout the continent. It now competes for nesting sites and food once used by bluebirds, wrens, and swallows.::우연히 또는 의도적으로 새로운 영역에 유입된 외부에서 유입된 종, 즉 외래종들은 흔히 여건이 그들의 성장과 번식에 매우 유리하기 때문에 새로운 서식지에서 잘 생육한다. 이것의 한 가지 이유는 이러한 종들이 그들의 새로운 서식지에서 환경적 저항에 거의 직면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인데, 예를 들어, 그들의 개체 수를 억제할 천적이 없을 수도 있다. 외래종의 개체 수가 늘어남에 따라, 흔히 그들이 토종 생물들과의 경쟁에서 이기고 토종 생물들을 없애 버린다. 집 참새가 한 예이다. 1850년대에 미국에 의도적으로 유입되어, 이 참새는 빠르게 대륙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현재 그것은 한때 파랑새, 굴뚝새 그리고 제비들에 의해 사용되었던 둥지를 짓는 장소와 먹이를 차지하기 위해 경쟁한다.
영독 904::When detecting shoplifters in a store, one of the areas you focus in on is called the point of deviation. When a legitimate customer and a shoplifter enter a store, they look identical. There is no way to differentiate or prevent a shoplifter from entering a store. However, if the one person is really a legitimate customer and the other person is a shoplifter, at some point their actions will have to deviate. For example, the normal customer will put an item in their shopping cart, but the shoplifter would put the item in their pocket. If the shoplifter acts like the legitimate customer the entire time they are in the store, including when they leave, guess what; they are not a shoplifter and they are a normal customer. A shoplifter can be very clever and tricky but at the end of the day, their entry pattern looks identical but their exit pattern has to be different; otherwise they would not be committing a crime.::상점에서 가게 좀도둑을 찾아낼 때, 여러분이 집중하는 영역 중 하나는 일탈의 지점이라고 불린다. 합법적인 고객과 가게 좀도둑이 상점에 들어갈 때, 그들은 똑같아 보인다. 가게 좀도둑을 가려내거나 가게 좀도둑이 상점에 들어가는 것을 막을 방법은 없다. 하지만 한 사람이 실제로 합법적인 고객이고 다른 한 사람이 가게 좀도둑이라면, 어느 시점에서 그들의 행동이 조화를 이룰 수밖에 없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정상적인 고객은 물건을 자신의 쇼핑 카트에 넣겠지만 가게 좀도둑은 그 물건을 자기 호주머니에 넣을 것이다. 가게 좀도둑이 상점에서 나갈 때를 포함하여, 상점에 있는 시간 내내 합법적인 고객처럼 행동한다면, 어떤가 하면 그들은 가게 좀도둑이 아니며 그들은 정상적인 고객이다. 가게 좀도둑은 매우 영리하고 교묘할 수 있지만, 결국 그들의 들어갈 때의 패턴은 같아 보이지만 그들의 나갈 때의 패턴은 틀림없이 다를 것인데, 그렇지 않으면 그들은 범죄를 저지르고 있는 것이 아닐 것이다.
영독 90507::Once upon a time there was an old man who lived on the outskirts of town. He had lived there so long that no one knew who he was or where he had come from. Some thought that he was once very wise and influential. There were even some who said he was holy. The children in the town, however, thought he was an old and stupid man and they made his life miserable. They threw stones at his windows, left dead animals on his front porch, destroyed his garden, and yelled nasty words at him at every opportunity. Then one day, an older boy came up with an idea to prove once and for all that those who thought he was wise and influential, and most especially those who considered him holy were all wrong. The boy would catch a bird and then he would ask, "Old man, do you know what I have hidden behind my back?" The boy said to his friends, "He might guess that it is a bird, but I will ask him if the bird is alive or dead. If he says dead, I will allow the bird to go free, but if he says the bird is alive, I will crush it to death with my hands. Either way he will prove he is only a stupid old man." The children thought it was a great plan. Thus, the older boy caught the bird and together they went off to the old man's house and rudely knocked on the door. The man opened the door and seeing the large gathering of children realized something was up. The boy spoke quickly, "Old man, do you know what I have hidden behind my back?" The old man looked at the children one by one and out of the corner of his eye he saw a white feather fall to the ground. He answered, "Yes, I do. It's a white bird." The children's eyes grew large. How could he know it was a white bird? Maybe the people in town were right all along. The older boy was not to be deterred from his goal and quickly asked the second question. "Well, that was a good guess, but is the bird alive or dead?" Again, the old man looked with sad eyes at each of the children. Finally his eyes met those of the boy. He answered, "That depends on you; the answer is in your hands."::옛날에 마을의 변두리에 사는 한 노인이 있었다. 그는 거기에서 아주 오랫동안 살아왔기 때문에 아무도 그가 누구인지 그가 어디에서 왔는지 몰랐다. 어떤 사람들은 그가 한때 매우 지혜롭고 영향력이 있었다고 생각했다. 심지어 그가 성스러운 사람이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일부 있었다. 하지만 그 마을의 아이들은 그가 늙고 어리석은 사람이라고 생각하여 그들은 그의 삶을 비참하게 만들었다. 그들은 그의 창문에 돌을 던지고, 죽은 동물들을 현관에 남겨놓았고, 그의 정원을 훼손하고 기회가 있을 때마다 그에게 못된 말을 퍼부었다. 그러던 어느 날 나이가 더 많은 한 소년이, 그가 지혜롭고 영향력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 누구보다도 특히 그를 성스러운 사람이라고 여기는 사람들의 생각이 완전히 틀렸다는 것을 최종적으로 확실히 증명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생각해냈다. 그 소년은 새를 잡아서 노인에게 다음과 같이 물어볼 작정이었다, "영감님, 내가 등 뒤에 무엇을 감추고 있는지 아시나요?" 그 소년은 자신의 친구들에게 말했다, "그는 그것이 새라고 추측할지 모르지만, 나는 그에게 그 새가 살았는지 죽었는지를 물어볼 거야. 그가 죽었다고 말하면, 나는 그새를 풀어줄 거야, 하지만 그 새가 살아있다고 그가 말하면, 나는 나의 손으로 그것을 으스러뜨려 죽일 거야. 어떤 식으로 대답을 하든 그는 자신이 그저 멍청한 늙은이에 불과하다는 것을 증명하게 될 거야." 아이들은 그것이 좋은 계획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나이가 더 많은 소년은 새를 잡았고 그들은 함께 그 노인의 집으로가 무례하게 문을 두드렸다. 그 사람은 문을 열었고 아이들이 많이 모여 있는 것을 보고서 무슨 일이 있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그 소년이 빠르게 말하였다, "영감님, 제가 등 뒤에 숨긴 것이 무엇인지 아시나요?" 노인은 아이들을 한 명씩 쳐다보고는 곁눈질로 그는 하얀 깃털이 땅에 떨어지는 것을 보았다. 그는 대답했다, "그래, 안다. 그것은 하얀 새다." 아이들의 눈이 커졌다. 그는 어떻게 그것이 하얀 새라는 것을 알 수 있었을까? 아마도 처음부터 마을 사람들의 생각이 옳았을지도 몰랐다. 나이가 더 많은 소년은 자신의 목표를 단념할 수 없어서 재빨리 두 번째 질문을 했다. "음, 그것은 좋은 짐작이었지만, 그 새가 살아있나요 아니면 죽었나요?" 다시, 그 노인은 슬픈 눈으로 각각의 아이들을 바라보았다. 마침내 그의 눈이 그 소년의 눈과 마주쳤다. 그가 대답했다, "그것은 너에게 달렸다; 그 해답은 너의 손 안에 들어있다."
영독 908::In filmmaking, the benefits of using professionals are obvious. They have the experience to provide useful suggestions and solutions to creative or practical dilemmas; and they work quickly, efficiently, and reliably. They deliver what they say they can deliver and they rarely make stupid mistakes. However, seasoned veterans can become a challenge for the director-in-training because many professionals feel that their experience excels the instincts of the inexperienced director. If the newbie director maintains the courage of their convictions and communicates ideas clearly and convincingly, the professional will respond by being a team player. If the young director becomes insecure, the professional crew member or actor may take matters into their own hands and call the shots. In this case, the leaderless project loses its rudder and everyone starts making a different film — their own film. Faced with people who have much more experience, a young director must remain an active and confident leader who knows what they want at every moment (even if it feels like a bit of a performance at the beginning).::영화 제작에서 전문가를 활용하는 것의 이점은 명백하다. 그들은 창작상의 혹은 실무상의 어려운 문제에 대한 유용한 제안과 해결책을 제공할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빠르고, 효율적이고, 믿을 수 있게 작업한다. 그들은 자신들이 해낼 수 있다고 말한 것을 해내며 어리석은 실수를 저지르는 경우가 거의 없다. 하지만, 많은 전문가가 자신의 경험이, 미숙한 감독의 본능을 능가한다고 느끼기 때문에 노련한 베테랑들은 수련 중인 감독에게 도전이 될 수 있다. 초보 감독이 자기 신념의 용기를 유지하고 생각을 분명하고 설득력 있게 전달한다면, 전문가는 팀 플레이어(단체 작업을 잘하는 사람)가 되는 것으로 반응할 것이다. 만약 젊은 감독이 자신 없어 하면, 전문적인 제작진 구성원이나 배우가 직접 행동에 나서 지휘할지도 모른다. 이 경우에, 지도자가 없는 프로젝트는 그 키를 잃고 모든 사람이 다른 영화, 즉 자신의 영화를 만들기 시작한다. 훨씬 더 많은 경험을 가진 사람들과 마주할 때, 젊은 감독은(비록 그것이 처음에는 약간의 연기처럼 느껴질지라도) 그들이 매 순간 원하는 것을 아는 적극적이고 자신감 있는 지도자로 계속 있어야 한다.
영독 909::Not a single color belonging to the range of greens is present in Old Stone Age paintings. On cave walls we find tones of red, black, brown, and ochers in different shades but no green or blue and scarcely any white. And that is more or less the case a few thousand years later in the New Stone Age, when the first dyeing practices appeared. Having become sedentary, humans dyed in red and yellow tones long before dyeing in greens or blues. Ubiquitous in the plant world, green is a color that humans reproduced, made, and mastered late and with difficulty. Perhaps that explains why in the West it long remained a minor color, playing practically no role in social life, religious rituals, or artistic creation, not totally absent as in the Old Stone Age, but unnoticeable. Compared to red, white, and black the three "basic" colors in most ancient European societies the symbolic power of green was undoubtedly too limited to prompt emotions, transmit ideas, or structure classifications or systems.::구석기 시대의 그림들에는 녹색 계열의 범위에 속하는 색깔이 하나도 존재하지 않는다. 동굴 벽에서 우리는 여러 색조의 빨간색, 검정색, 갈색 그리고 황토색 계열 색상을 발견하지만 녹색이나 파란색은 전혀 찾을 수 없고 흰색은 거의 찾을 수 없다. 그리고 이는 수천 년이 지난 후인 신석기 시대에도 거의 그러한데, 그때 처음으로 염색을 하는 관습이 나타났다. 한곳에 머물러 살게 되면서 사람들은 녹색 계열이나 파란색 계열로 염색을 하기 훨씬 전부터 빨간색 색상이나 노란색 색상으로 염색을 했다. 식물 세계에서는 아주 흔하지만, 녹색은 인간이 늦게 그리고 어렵게 재현하고, 만들고, 통달한 색이다. 아마도 그것이, 서양에서 녹색이 오랜 기간 중요하지 않은 색으로 남아 있으면서 구석기 시대처럼 완전히 없는 것은 아니지만 눈에 띄지 않은 채, 사회적 삶, 종교적 의식 또는 예술적 창작에서 거의 어떤 역할도 하지 않은 이유를 설명해 준다. 대부분의 고대 유럽 사회에서 세 가지 '기본적' 색이던 빨간색, 흰색, 검은색과 비교하여 녹색의 상징적인 힘은 감정을 불러일으키거나 생각을 전달하거나, 범주 혹은 체계를 구축하기에는 확실히 너무나 제한적이었다.
영독 910::In a study, researchers examined the breaks taken by instructors at a cheerleading camp. Each of the instructors carried a palm-sized personal computer, and was beeped randomly throughout the day. Whenever the instructor was beeped, he or she responded to questions on the computer regarding any breaks taken since the last session. The authors coded breaks as respites if they involved "napping," "relaxing," or "socializing." They coded breaks as chores if they involved such activities as "practicing material" or "preparing for upcoming sessions." The researchers videotaped instructors performing their jobs, and raters judged the extent to which the instructors appeared energetic, enthusiastic, alert, and sincere (i.e., demonstrated positive emotional displays). The results showed that taking breaks characterized as respites was associated with higher ratings of positive emotional displays, whereas taking breaks characterized as chores was not related to the instructor's performance. In addition, instructors reported more positive emotions when taking respite breaks, but reported more negative emotions when taking chore breaks.::어느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한 치어리딩 캠프에서 강사들이 취한 휴식을 조사했다. 강사들은 각각 손바닥 크기의 개인용 컴퓨터를 들고 다녔으며, 하루 내내 임의의 시간에 삐 하는 소리로 호출되었다. 강사는 삐 소리로 호출될 때마다, 어떤 것이든 바로 전 시간의 수업 이후 취한 휴식에 관한 컴퓨터상의 질문에 답변했다. 연구를 계획한 사람들은 만약 휴식이 '낮잠 자기', '편히 쉬기', 혹은 '사교 활동하기'를 포함하면 그것을 한숨 돌리기로 입력했다. 그들은 휴식이 '교재 연습하기' 혹은 '곧 있을 수업 준비하기'와 같은 활동들을 포함하면 그것을 일로 입력했다. 연구자들은 강사들이 자신의 업무를 수행하는 모습을 녹화했고, 평가자들이 강사들이 활기차고, 열정적이고, 기민하고, 성실해 보이는 (다시 말해 긍정적인 정서적 표시를 보여주는) 정도를 판정했다. 그 결과, 한숨 돌리기로 규정된 휴식을 취하는 것이 더 높은 등급의 긍정적인 정서 표시와 관련이 있는 반면, 일로 규정된 휴식을 취하는 것은 강사의 수행과 관계가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게다가, 강사들은 한숨 돌리기 휴식을 취할 때 더 긍정적인 감정을 가진다고 응답했지만, 일과 같은 휴식을 취할 때 더 부정적인 감정을 가진다고 응답했다.
영독 911::One reason that some apparent sunk cost ventures may not be irrational is that the decision makers are choosing actions to project and preserve their reputations for being decisive or for not being wasteful. Just as the person who orders too much food might be labeled a poor judge of his or her own appetite and wasteful, these decision makers might be trying to protect their future reputations as morally consistent individuals or good decision makers. If, indeed, abandonment of a sunk cost negatively affects future reputation, then it may be wise not to do it. The auto maker who abandons an unpopular model may be ridiculed for making a "gutless" decision and lose future authority and actual power within his or her organization. The skier who gives up after having already paid $90 may be regarded not just as financially wasteful, but as confused or silly, and lose his or her friends' respect. Such future reputational costs are perfectly reasonable factors to consider in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abandon a particular course of action. So long as other people believe in honoring sunk costs, the person who does not may be regarded as weird.::일부 매몰 비용의 모험적 시도처럼 보이는 것들이 비이성적이지 않을 수 있는 한 가지 이유는 의사 결정자가, 확고하다거나 낭비적이 아니라는 자신의 평판을 보여주거나 지키고자 하는 행동을 선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너무 많은 음식을 주문하는 사람에게 자기 자신의 식욕 판단을 잘하지 못하며 낭비한다는 꼬리표가 붙을 수 있듯이, 이러한 의사 결정자들은 올바르게 일관된 사람 혹은 훌륭한 의사 결정자라는 자신들의 '미래의' 평판을 보호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것 일 수 있다. 만약 정말로 매몰 비용의 계속이 미래의 평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면, 그렇게 하지 않는 것이 현명할 것이다. 인기 없는 모델을 포기하는 자동차 제조업자는 '배짱 없는' 결정을 한다고 조롱을 받을 수 있고 자신의 조직 내에서 미래의 권력과 실제 영향력을 잃어버릴 수 있다. 이미 90달러를 지불한 후에 포기하는 스키어는 재정적으로 낭비한다고 여겨질 뿐만 아니라 갈피를 못 잡는다거나 어리석게도 여겨지고, 친구들의 존경심을 잃을 수 있다. 그러한 미래의 평판 손실은 특정한 행동 방침을 포기할지 여부를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완벽하게 합리적인 요인이다. 다른 사람들이 매몰 비용을 존중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는 한 그렇지 않은 사람은 이상하게 여겨질 수 있다.
영독 91214::John Blanchard was a U.S. Navy lieutenant in the Second World War. His hobby was reading books. One day he went to the library and picked up a book bound in light blue material from the shelf. He began to read but was distracted by the comments that had been written in the margins of the book by a person who he guessed was the book's previous owner. At the end of the book he found the name and address of the previous owner, Hollis Maynell, who lived in New York City. He wrote to her and simply said that he enjoyed her comments. She wrote back. One year and one month of writing then took place and the two formed a loving relationship within these letters. But no matter how many times John asked, Hollis refused to send him a photograph. Eventually they arranged to meet. The time was set ― 7 p.m., and the place 一 Grand Central Station. She would wear a rose and he would wear his best uniform. He arrived at the station as the clock struck 7 pm. As he looked around, a lady started walking towards him; her figure was long and slim. Her blonde hair lay back in curls from her delicate ears and in her pale green suit she looked like springtime come alive. John moved towards her but entirely forgot to notice that she was not wearing a rose. Almost uncontrollably John made one step closer to her, and then he saw Hollis Maynell. She was standing almost directly behind the girl. She was a woman well past 50, she had greying hair tucked under a hat. The girl in the pale green suit was quickly walking away. John was torn. So keen was his desire to follow her and yet so deep was his longing for the woman whose spirit had truly companioned and upheld his own. And there she stood. Her pale, plump face was gentle and sensible;. Her grey eyes had a warm and kindly twinkle. But John didn't hesitate. He squared his shoulders and saluted, "I am Lt John Blanchard. I am so glad you could meet me. May I take you to dinner?" The woman's face broadened into a tolerant smile. She said, "I don't know what this is about, son. But that young lady in the green suit who just went by, she begged me to wear this rose on my coat. And she said if you ask me to dinner, I should tell you she is waiting in the big restaurant across the street. She said it was some kind of test."::John Blanchard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미 해군 대위로 복무했다. 그의 취미는 책 읽기였다. 어느 날 그는 도서관에 가서 책꽂이에서 옅은 파란색 천으로 장정(제본)된 책을 집어 들었다. 그는 책을 읽기 시작했지만, 책의 이전 주인으로 추측되는 사람이 책의 여백에 써 놓은 코멘트들에 주의를 빼앗겼다. 책의 끝부분에서 그는 이전의 주인의 이름과 주소를 발견했는데 이름은 Hollis Maynell이고 뉴욕시에 살았다. 그는 그녀에게 편지를 써서 그녀의 코멘트들을 즐겁게 읽었다고 간단히 말했다. 그녀는 답장을 썼다. 그러고 나서 일 년 하고 한 달 동안 편지를 쓰는 것이 이루어졌고 그 두 사람은 이 편지들 속에서 사랑의 관계를 형성했다. 하지만 John이 아무리 많이 부탁해도, Hollis는 그에게 사진을 보내는 것을 거부했다. 결국, 그들은 만나기로 약속했다. 시간은 오후 7시로 정해졌고 장소는 Grand Central역으로 정해졌다. 그녀는 장미를 꽂기로 했고 그는 자신의 가장 좋은 제복을 입기로 했다. 그는 시계가 오후 7시를 칠 때 역에 도착했다. 그가 주위를 둘러볼 때, 한 아가씨가 그를 항해 걸어오기 시작했다; 그녀의 몸매는 길고 날씬했다. 그녀의 금발 머리는 그녀의 우아한 귀에서부터 곱슬거리며 뒤로 늘어져 있었고 연녹색 정장을 입은 그녀는 활기 띤 봄날 같았다. John은 그녀를 향해 갔지만, 그녀가 장미를 꽂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아채야 한다는 것을 완전히 잊고 있었다. 거의 통제할 수 없는 상태로 John은 그녀에게 한 걸음 더 가까이 다가갔고, 그때 그는 Hollis Maynell을 보았다. 그녀는 그 아가씨의 거의 바로 뒤에서 있었다. 쉰이 훨씬 넘은 여자로, 그녀는 모자 안에 희끗희끗한 머리카락을 숨기고 있었다. 연녹색 정장을 입은 아가씨는 걸어서 빠르게 멀어져 가고 있었다. John은 어쩔 줄 몰랐다. 그녀를 따라가려는 그의 열망이 너무나도 강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영혼이 그 자신의 영혼과 진정으로 함께하고 지지해 준 그 여자에 대한 갈망이 너무나도 깊었다. 그리고 거기에 그녀가 서 있었다. 그녀의 창백하고 통통한 얼굴은 부드러웠고 이지적이었다. 그녀의 회색 눈은 따뜻하고 다정하게 빛났다. 하지만 John은 머뭇거리지 않았다. 그는 어깨를 펴고 거수경례를 했다, "저는 John Blanchard 대위입니다. 만나 주셔서 정말 기쁩니다. 저녁 식사에 모시고 가도 될까요?" 그 여자의 얼굴이 활짝 펴지며 관대한 미소를 띠었다. 그녀는 "청년, 난 이게 무슨 상황인지는 모르겠소. 하지만 방금 지나간 녹색 옷을 입은 저 젊은 아가씨, 그녀가 내게 이 장미를 내 코트에 꽂아달라고 부탁을 했다오. 그리고 그녀는 만약 청년이 내게 저녁을 먹자고 하면, 청년에게 자신이 길 건너 큰 식당에서 기다리고 있다고 말해 달라고 했소. 그녀는 그것이 일종의 시험이라고 했다오,"
영독 1001::A lack of leadership is not uncommon among traditional Appalachians because ascribed status is more important than achieved status and because there is an attempt to keep hierarchal relationships to a minimum. The Appalachian ethic of neutrality and values of individualism and nonassertiveness, with a strong people orientation, may pose a dichotomous perception at work for outsiders who may not be familiar with the Appalachian way of life. However, when conflicts occur, mutual collaboration for seeking agreement is consistent with their ethic of neutrality. In addition, because many Appalachians align themselves more closely with horizontal rather than hierarchical relationships, they are sometimes reluctant to take on management roles. When Appalachians do accept management roles, they take great pride in their work and in the organization as a whole. This is one case where the working manager may have more respect than someone in a straight management position.::생득 지위가 성취 지위보다 더 중요하기 때문에 그리고 계층 관계를 최소로 유지하려는 시도가 있기 때문에 지도력 부재는 전통적인 애팔래치아 사람들 사이에서 드물지 않다. 애팔래치아 사람의 중립성 윤리와 개인주의적이며 비(非)단정적인 가치관은 사람에 대한 강한 관심과 더불어, 직장에서 애팔래치아 생활 방식에 친숙하지 않을 수 있는 외부인들에게 양분된 인식을 제기할 수도 있다. 하지만 갈등이 발생할 때 합의를 찾으려는 상호의 협력이 그들의 중립성 윤리와 일치한다. 게다가 애팔래치아의 많은 사람들은 계층 관계보다는 오히려 수평 관계를 더 열심히 지지하므로 그들은 때때로 기꺼이 관리 역할을 맡으려고 한다. 애팔래치아 사람들이 관리 역할을 정말 수락한다면, 자신들의 일에서 그리고 그 조직 전체에서 큰 자부심을 느낀다. 이것은 일하는 관리자가 수직의 관리 지위에 있는 사람보다 (일에 대한) 더 많은 존경을 받을 수 있는 경우이다.
영독 1002::The traditional Chinese manner of producing tea was anything but industrial and had remained unchanged for hundreds of years. Small producers in the countryside sold their tea to local middlemen. The tea then traveled to the coast, carried by boat along rivers where possible, and by human porters over mountain passes where necessary. Finally, the tea was purchased by merchants who blended it, packed it, and sold it to European traders at Canton. All the middlemen along the route took their cut; together with the cost of transport, tolls, and taxes, that brought the price paid for each pound of tea to nearly twice the original producer's selling price. An enterprise that produced its own tea in India, however, could pocket the difference. Furthermore, applying the new industrial methods, running plantations as though they were "tea factories," and automating as much of the processing as possible could be expected to boost productivity, and hence profits, still further.::차(茶)를 생산하는 전통적인 중국의 방법은 결코 산업적이 아니었으며 수백 년 동안 바뀌지 않았었다. 시골의 소규모 생산자들은 자신들의 차를 지역의 중간 상인에게 팔았다. 그 다음 차는 가능한 경우에는 강을 따라 배로,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는 산길을 넘어 인간 짐꾼에 의해 운반되어 해안으로 이동되었다. 마침내 상인들이 그 차를 구입하여, 그것을 혼합하고 포장하여 광둥의 유럽 무역상에게 팔았다. 그 경로에 있는 모든 중간 상인들이 자신들의 몫을 챙겼는데, 운송, 통행료 그리고 세금의 비용과 합쳐져서 그것은 차 1파운드에 지불되는 가격을 최초 생산자의 판매 가격의 거의 두 배가 되게 했다. 하지만 인도에서 자신의 차를 재배하는 기업은 그 차액을 챙겨 넣을 수 있었다. 더욱이, 새로운 산업 방법들을 적용하고, 마치 그것들이 '차 공장'인 것처럼 대규모 농장을 운영하며, 가공 처리의 가능한 한 많은 부분을 자동화함으로써 생산성, 따라서 수익을 훨씬 더 신장시킬 것으로 기대할 수 있었다.
영독 1003::When people's processing objectives do not bias the information to which they attend, goal-irrelevant factors may have an impact. One such factor may be the affective reactions that people happen to be experiencing at the time the information is received. A study by Bower, Gilligan, and Monteiro is illustrative. Participants under hypnosis were instructed to recall a past experience that made them feel either happy or sad and then to maintain these feelings after they were brought out of their hypnotic state. Then they read a passage about two persons that described both happy events and unhappy events that occurred to them. Finally, they recalled the information they had read. Participants who had been induced to feel happy recalled a greater proportion of positively-valenced events, and a lower proportion of negatively-valenced events, than did participants who were induced to feel sad.::사람들이 정보를 처리하는 목적이 그들이 다루는 정보를 편향되게 하지 않을 때, 목표와 무관한 요소들이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그런 한 가지 요소는 그 정보가 접수될 때 사람들이 우연히 경험하게 되는 감정적 반응일지도 모른다. Bower, Gilligan, 그리고 Monteiro에 의한 연구가 실례가 된다. 최면 상태의 참가자들은 자신들을 행복하거나 슬프게 만든 과거의 경험을 상기한 다음 최면 상태에서 벗어나게 된 후 이런 감정들을 유지하도록 지시를 받았다. 그러고 나서 그들은 두 사람에 관하여 그들에게 일어나는 행복한 사건과 불행한 사건을 둘 다 묘사하는 글을 읽었다. 마지막으로 그들은 자신들이 읽었던 정보를 기억해냈다. 행복함을 느끼도록 유도되었던 참가자들은 슬픔을 느끼도록 유도되었던 참가자들보다 긍정적 유인가를 갖는 사건들에 대한 더 많은 부분과 부정적 유인가를 갖는 사건들에 대한 더 적은 부분을 기억해냈다.
영독 1004::Some people are better than others at uncovering deception. For example, women are consistently more accurate than men at detecting lying and what the underlying truth is. A study showed that, as people become more intimate, their accuracy in detecting lies actually declines. This is a surprising fact: Intuition suggests that we ought to be better at judging honesty as we become more familiar with others. Perhaps an element of wishful thinking interferes with our accurate decoding of these messages. After all, we would hate to think that a lover would lie to us. When intimates do become suspicious, however, their ability to recognize deception increases. Despite their overall accuracy at detecting lies, women are more inclined to fall for the deception of intimate partners than are men. No matter how skillful or inept we may be at interpreting nonverbal behavior, training can make us better.::어떤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속임수를 더 잘 알아낸다. 예를 들어 여자들은 거짓말하는 것과 숨어 있는 진실이 무엇인지를 간파하는 데 남자들보다 항상 더 정확하다. 한 연구는 사람들이 더 친밀해 짐에 따라서, 거짓말을 간파하는 그들의 정확성이 실제로 감소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놀라운 사실인데, 직관은 우리가 다른 사람들과 더 친숙해짐에 따라서 정직을 더 잘 판단해야 한다는 것을 암시하기 때문이다. 아마 약간의 희망적인 생각이 이런 메시지들을 우리가 정확하게 해독하는 것을 방해하는 듯하다. 어쨌든 우리는 사랑하는 사람이 우리에게 거짓말을 할 것이라고 생각하기를 몹시 싫어할 것이다. 하지만 친밀한 사람들이 '정말' 의심스러워질 때, 속임수를 인지하는 그들의 능력이 커진다. 여자는 거짓말을 간파하는 데 전반적으로 정확함에도 불구하고 친밀한 동반자의 속임수에 속아 넘어가는 경향이 남자보다 더 높다. 우리가 비언어적 행동을 해석하는 데 아무리 능숙하거나 서툴다 하더라도, 훈련으로 우리는 더 좋아질 수 있다.
영독 100507::Ted, a nine-year-old boy, was sitting at his desk when all of a sudden a puddle appeared between his feet and the front of his pants was wet. He panicked, because he could not possibly imagine how this had happened. It had never happened before, and he knew that when the boys found out, he would never hear the end of it. When the girls found out, they would never speak to him again as long as he lived. Ted believed his heart was going to stop, so he put his head down and prayed this prayer:. "Dear God, this is an emergency! I need help now! Five minutes from now I'm dead meat." He looked up from his prayer, and there came the teacher with a look in his eyes that said that he had been discovered. As the teacher was coming to snatch him up, a classmate named Charlie was carrying a goldfish bowl filled with water. Charlie tripped in front of the teacher and inexplicably dumped the bowl in Ted's lap. Ted pretended to be angry, but all the while was saying, "Thank you, Jesus!" Now, instead of being the object of ridicule, he was the object of sympathy. The teacher rushed him downstairs and gave him gym shorts to put on while his pants dried out and brought him back up to the room. All the children were on their hands and knees cleaning up around Ted's desk. Their sympathy was wonderful! But as life would have it, the ridicule that should have been his was transferred to someone else — Charlie. He tried to help, but the other students told him to get out. "You've done enough, you klutz!" As the day progressed, the sympathy got better and better and the ridicule got worse and worse. Finally, at the end of the day, the children were waiting for the bus, and once again Charlie was shunned by the other children. Ted walked over to Charlie and whispered, "Charlie, you did that on purpose, didn't you?" Charlie whispered back, "I wet my pants once too."::아홉 살 난 소년인 Ted가 책상에 앉아 있을 때 갑자기 발 사이에 물웅덩이가 생겼고(오줌이 고였고) 바지 앞부분이 젖었다. 그는 겁에 질려 어쩔 줄 몰랐는데, 왜냐하면 그는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났는지 도저히 상상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이런 일은 전에 한 번도 일어난 적이 없었고, 그는 남자 아이들이 알게 되면, 자신이 이 일에 대해 끝없이 들어야 할 것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여자 아이들이 알게 되면, 그들은 그가 살아있는 동안 다시는 그에게 말을 걸지 않을 것이다. Ted는 자신의 심장이 멈출 것이라고 여겼기에, 그는 머리를 숙이고 다음의 기도 말을 했다. "하나님이시여, 이것은 위급 사태입니다! 저는 이제 도움이 필요합니다! 지금부터 5분 있으면 저는 몹시 곤란해집니다." 그는 기도를 마치고 고개를 들었고, 선생님이 자신의 눈에 그가 발각되었다고 말하는 표정을 지으며 왔다. 선생님이 그를 잡아 일으키려고 오고 있었을 때, Charlie라는 이름의 한 급우가 물이 가득 찬 어항을 들고 오고 있었다. Charlie는 선생님 앞에서 발을 헛디뎠고 설명할 수 없지만 Ted의 무릎에 어항의 물을 쏟았다. Ted는 화를 내는 체했지만, 내내 "감사합니다, 예수님"이라고 말하고 있었다. 이제 비웃음의 대상인 대신, 그는 동정의 대상이었다. 선생님은 그를 부랴부랴 아래층으로 보냈고 그의 바지가 마르는 동안 그에게 입을 운동용 반바지를 주었고 그를 다시 교실로 데려왔다. 모든 아이가 Ted의 책상 주위에서 손과 무릎을 바닥에 대고 청소를 하고 있었다. 그들의 동정심은 놀라웠다! 그러나 인생이 항상 그렇듯이, 그의 것이었어야 할 비웃음이 다른 어떤 사람, 즉 Charlie에게 옮겨졌다. 그는 도우려고 애썼지만, 나머지 학생들이 그에게 나가라고 말했다. "너는 할 만큼 했어, 이 얼간이야!" 시간이 지나갈수록, 동정은 더욱더 좋아졌고 비웃음은 더욱더 나빠졌다. 마침내 일과가 끝났을 때, 아이들은 버스를 기다리고 있었고, 또다시 Charlie가 나머지 아이들에게 따돌려졌다. Ted는 Charlie에게 다가가서 "Charlie, 일부러 그랬지, 그렇지"라고 속삭였다. Charlie는 ''나도 한번 바지에 오줌 싼 적이 있어"라고 속삭여 대답했다.
영독 1008::Health is perhaps the most striking example of the paradoxical combination of smart elements and often-stupid results. We now benefit from vastly more access to information on diseases, diagnoses, and treatments on the Internet. But this is far from a golden age of healthy activity or intelligence about health. The information available through networks is frequently misleading. There are well over 150,000 health apps, yet only a tiny fraction can point to any evidence that they enhance their users' health. The dominant media propagate half-truths and sometimes even lies as well as useful truths. And millions of people make choices every day that clearly threaten their own health. The world's health systems are in many ways pioneers of collective intelligence, but much doesn't work well. It's estimated that some 30 to 50 percent of antibiotic prescriptions are unnecessary, somewhere between 10 and 20 percent of diagnoses are incorrect, and each year 250,000 die in the United States alone because of medical error.::건강은 아마도 똑똑한 요소와 흔히 생기는 어리석은 결과의 역설적인 조합의 가장 주목할 만한 예일 것이다. 우리는 오늘날 인터넷을 통해 질병, 진단, 그리고 치료에 관한 정보를 굉장히 더 많이 이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혜택을 누린다. 하지만 이 시대는 건강에 좋은 활동이나 건강에 관한 정보의 전성기가 결코 아니다. 네트워크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정보는 흔히 (우리를) 오도한다. 건강 관련 앱이 15만 개를 훌쩍 넘었지만, 그런데도 그것들이 이용자들의 건강을 해롭게 한다는 어떠한 증거라도 보여줄 수 있는 것이 극히 일부밖에 없다. 지배적인 언론은 유용한 사실뿐 아니라 일부의 진실 그리고 때로는 심지어 거짓도 전파한다. 그리고 수백만 명의 사람들은 자기 자신의 건강을 명백히 위협하는 선택을 매일 한다. 세계의 보건 시스템은 많은 면에서 집단적 지성의 선봉이지만, 많은 것들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 약 30에서 50퍼센트의 항생제 처방이 불필요하며, 대략 10퍼센트에서 20퍼센트의 진단이 맞지 않고, 미국에서만 매년 25만 명이 의료 과실로 사망한다고 추정된다.
영독 1009::Children have a range of attachment behaviours that signal to the parents that they need comfort — for example, a child might cry, follow or cling to the parent. The child is letting the parent know that at this moment he needs attention and nurture. Similarly, the child has a range of exploratory behaviours that signal that he is ready to investigate the world around him. These behaviours are characterized by moving away from the parent and taking an interest in events and objects in the world. The sensitive caregiver is able to read these signals and support the child on a moment-to-moment basis. A secure attachment forms between them. Beginning early in life, children use this experience to understand how relationships work. An internal working model 一 a template or memory of the relationship ― is formed; this will be a guide for the children both in the present and with future relationships. Children learn what to expect from other people as a result of this early experience.::아이들은 위안이 필요하다는 신호를 부모에게 보내는 다양한 애착행동을 보이는데, 예를 들어 아이는 울 수도 있고 부모를 쫓아가거나 부모에게 매달릴 수도 있다. 아이는 이 순간에 자신에게 관심과 양육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부모에게 알리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아이는 자신이 주변의 세상을 탐색할 준비가 되었다는 신호를 보내는 다양한 탐구적 행동을 한다. 이런 행동은 부모에게서 떨어져서 세상의 사건이나 사물에 관심을 둔다는 특징이 있다. 민감한 양육자는 이런 신호를 읽고 매 순간 아이를 지원할 수 있다. 안정적인 애착이 그들 사이에 형성된다. 생애 초기부터 시작하여, 아이들은 관계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이해하기 위해 이런 경험을 활용한다. 관계의 원형 또는 기억이라는 내재적인 작동 모델이 형성되는데, 이것은 현재뿐 아니라 미래의 관계에서도 아이들에게 지침이 될 것이다. 아이들은 이런 초기 경험의 결과로 다른 사람들에게 무엇을 기대할 수 있는지를 알게 된다.
영독 1010::Sometimes the awareness that one is distrusted can provide the necessary impetus for introspection. An employee who realizes she isn't being trusted by her co-workers with shared responsibilities at work might, upon reflection, identify areas where she has consistently let others down or failed to follow through on previous commitments. Others' distrust of her might then motivate her to perform her share of the duties in a way that makes her more worthy of their trust. But distrust of one who is sincere in her efforts to be a trustworthy and dependable person can be disorienting and might cause her to doubt her own perceptions and to distrust herself. Consider, for instance, a teenager whose parents are suspicious and distrustful when she goes out at night;. Even if she has been forthright about her plans and is not breaking any agreed-upon rules, her identity as a respectable moral subject is undermined by a pervasive parental attitude that expects deceit and betrayal.::때로는 자신이 신임을 얻지 못한다는 인식이 자기 성찰을 위해 필요한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직장에서 공유된 책무를 가진 자신의 동료들로부터 신임을 얻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 직원은, 성찰을 통해 자신이 지속적으로 다른 사람들을 실망하게 했거나 이전의 책무들을 완수하지 못했던 분야를 찾아낼 수 있다. 그러면 그녀에 대한 다른 사람의 불신은 그녀가 그들의 신임을 받을 만한 자격을 더 많이 갖추게 해 주는 방식으로 맡은 일에 대한 자신의 몫을 수행하도록 자극할 수 있다. 하지만 신뢰할 수 있고 믿을 수 있는 사람이 되려는 성실한 노력을 하는 사람에 대한 불신은 혼란스럽게 할 수 있으며 그녀가 스스로의 인식을 의심하고 자신을 불신하게 할지 모른다. 예를 들어, 밤에 외출할 때 의심하고 믿지 않는 부모를 가진 십대 소녀를 생각해 보라. 비록 그녀가 자신의 계획에 대해 솔직했고 어떠한 합의된 규칙을 어기고 있지 않을지라도, 부끄럽지 않은 도덕적 주체로서의 그녀의 정체성은 속임수와 배신을 예상하는 부모의 배어 있는 태도에 의해 훼손된다.
영독 1011::Citizenship education is usually associated with educational institutions, where it is often implemented as a subject matter, but sometimes as cross-curricular approaches, as extracurricular programs or as a broader institutional project that shapes most activities. Although schools are important sites of citizenship learning, the acquisition of (and reflection on) citizenship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values constitutes a complex process that spans from cradle to grave, and includes a broad variety of settings. For instance, the family, media, community associations, workplaces and social movements are powerful socialization agencies for the development of citizenship values and political competencies. The 'cradle to grave' metaphor may suggest a chronological sequence, but lifelong citizenship learning is seldom a continuous, uninterrupted and linear accumulation of learning experiences. It is a messy complex of learning experiences that complement and contradict each other, challenging some of our prior assumptions and creating significant tensions in our consciousness.::시민 의식 교육은 보통 교육 기관과 연계되어 있는데, 그곳에서 흔히 교과 내용으로 시행되지만 때로는 범교과 교육과정의 방식으로, 교과 외 수업으로 또는 대부분의 활동을 형성하는 더 넓은 기관 프로젝트로 시행된다. 학교는 시민 의식 학습의 중요한 장소이지만, 시민 의식에 관한 지식, 기량, 태도 및 가치의 습득(그리고 그에 대한 성찰)은 요람에서 무덤까지 이어지는 복잡한 과정을 이루며, 다양한 종류의 환경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가족, 대중 매체, 지역 협회, 직장 그리고 사회 운동은 시민 의식의 가치와 정치적 역량의 발전을 위한 강력한 사회화 기관이다. '요람에서 무덤까지'라는 비유는 시간적인 연속을 나타낼 수 있지만, 평생의 시민 의식 학습이 연속적이고 중단이 없으며, 순차적인 학습 경험의 축적인 경우는 드물다. 그것은 서로 보완하고 반박하는 학습 경험들의 산란한 집합체이며, 우리가 이전에 상정한 것 중 일부에 이의를 제기하고 우리의 의식에 상당한 긴장감을 만들어낸다.
영독 101214::The short story writer Raymond Carver praised for his minimalism, realism, and repeated struggles with alcohol not only published his first story at age 22, but also met the literary mentor that shaped his life's work. Raymond Carver was a married father of two by the time he was 20, and though he held down an array of blue-collar jobs to pay the bills, he also devoted time to his ultimate dream of becoming a writer. He moved his family from Yakima, Washington, to Paradise, California, so he could take creative-writing classes at Chico State College. It was there he met the author and professor John Gardner. "He offered me the key to his office," Carver later wrote, "I see that gift now as a turning point." Gardner saw enormous potential in the young writer and gave his student intense line-by-line critiques of his work. He taught Carver that literature should not be a form of self-expression, but a form of communication. He despised the cynicism of the early 1960s and impressed upon Carver the idea that the greatest art is not nihilistic, but life-affirming. He also told him that great writing is not a product of a fluffy of emotions, but of painstaking rewrites and revisions. At age 22, the aspiring writer finally finished a short story he felt was suitable for publication. It was "The Furious Seasons," published in the college literary review Selection. The experience thrilled Carver and redoubled his desire to write. Although he continued to impress readers and editors, he did not become a nationally known author until 1971, when Esquire published his story "Neighbors." Carver's stories were the basis for Robert Altman's 1993 critically acclaimed film Short Cuts.::미니멀리즘, 사실주의, 그리고 술과의 반복된 투쟁으로 찬사를 받는 단편 소설 작가인 Raymond Carver는 22세의 나이에 자신의 첫 소설을 발표하였을 뿐 아니라, 그의 필생의 작품을 형성한 문학 멘토를 만났다. Raymond Carver는 20세가 되었을 때 이미 두 자녀를 가진 기혼남이었고, 비록 그가 생활비를 대기 위해 다수의 육체 노동직을 가져야 했지만, 그는 또한 작가가 되려는 그의 궁극적 꿈을 위해 시간을 바쳤다. 그는 자신의 가족을 워싱턴주(州)의 Yakima에서 캘리포니아주(州)의 Paradise로 옮겼고, 그래서 그는 Chico 주립대학에서 문예창작 수업을 들을 수 있었다. 그가 작가이자 교수인 John Gardner를 만난 것은 바로 그곳에서였다. "그는 나에게 자신의 사무실 열쇠를 주었다," "이제야 나는 그 선물을 전환점으로 본다"라고 Carver는 나중에 썼다. Gardner는 그 젊은 작가에게서 엄청난 잠재력을 보았고 자신의 학생에게 그의 작품 한 줄 한 줄에 대해 열성적인 비평을 해주었다. 그는 문학이 자기표현의 한 형태가 아니라 의사소통의 한 형태여야 한다고 Carver에게 가르쳤다. 그는 1960년대 초반의 냉소주의를 경멸했고 가장 위대한 예술은 허무주의적이 아니라, 낙관적이라는 생각을 Carver가 명심하게 했다. 그는 또한 그에게 위대한 글은 돌풍처럼 일어나는 감정의 산물이 아니라, 힘든 개작과 수정의 산물이라고 말했다. 22세의 나이에 포부를 품은 그 작가는 마침내 그가 느끼기에 발표하기에 적합한 단편 소설을 완성했다. 그것은 대학 문예 평론지 'Selection'에 실렸던 '분노의 계절'이었다. 그 경험은 Carver를 흥분시켰고 글을 쓰고자 하는 그의 욕망을 더욱 강하게 하였다. 비록 그가 독자와 편집자에게 계속해서 감동을 주었지만, 'Esquire'에 그의 소설 '이웃 사람들'이 실렸던 때인 1971년이 되어서야 비로소 전국적으로 알려진 작가가 되었다. Carver의 소설들은 1993년에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은 'Short Cuts'라는 Robert Altman 영화의 기반이 되었다.
19영독 11-01::Our species is facing a crisis: as the global population swells, just how are we going to feed billions more people on a planet already suffering from a shortage of natural resources? Humanity's population has doubled since 1960, but our consumption of animal products has risen fivefold, and it's projected by the United Nations to keep rising. Complicating matters further, as poorer nations like China and India (which are also the most populous in the world) become richer, many of their citizens who'd previously managed to live on a largely plant-based diet will start to demand a more conventionally American regimen, heavy in meat, eggs, and dairy ― products previously reserved for the wealthy but which they can now afford. As many sustainability experts observe, given how inefficient it is to raise animals rather than plants for our food, the earth just can't accommodate such an increase in animal-product demand. The change in climate will be too great, the deforestation too severe, the water use too massive, and the animal cruelty too unbearable.::우리 종은 위기에 직면해 있는데, 그 위기란 '세계 인구가 팽창함에 따라, 이미 천연자원 부족으로 고통 받고 있는 행성[지구]에서 그저 어떻게 해서 우리가 수십억의 더 많은 사람들을 먹일 것인가?'이다. 인류의 인구는 1960년 이후 두 배가 되었지만, 우리의 동물성 식품소비는 다섯 배 증가했으며, 유엔[국제 연합]은 그것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추정한다. 사태가 더 복잡하게도, 중국과 인도와 같은 더 가난한 나라들이 더 부유해짐에 따라, 전에는 대체로 식물에 기반을 둔 식사로 근근이 살아왔던 그 나라 시민들 중 많은 수가, 전에는 부유한 사람들을 위해 떼어 두었지만 이제는 자신들이 구입할 여유가 있는 제품들인 육류, 달걀, 유제품이 많이 들어 있는 더 전통적 미국식의 섭생법을 요구하기 시작할 것이다. 많은 지속 가능성 전문가들이 말하듯이, 우리의 식량을 위해 식물 대신에 동물을 기르는 것이 얼마나 비효율적인가를 고려해 볼 때, 지구는 동물성 식품 수요의 그러한 증가에 도저히 부응할 수 없다. 기후 변화는 너무 대단할 것이고, 삼림 벌채는 너무 심할 것이고, 물의 사용은 너무 엄청날 것이고, 동물 학대는 너무 참을 수 없을 것이다.
19영독 11-02::The teaching of economics is usually based on the theory of rational choice. To describe the behavior of an individual, economists start by describing his or her objectives. Whether the individual is selfish or altruistic, seeking profit or social recognition, or has some other ambition, in every case he or she is assumed to act as far as possible in his or her own interest. This hypothesis is sometimes applied too strongly, and not only because an individual does not always have the necessary information to make a good choice. As the victim of cognitive biases, this agent is also likely to make a mistake when evaluating the best way to attain an objective. Humans are subject to many biases in reasoning or perception. These biases do not invalidate the theory that rationality defines the choices that individuals ought to make to act in their best interest (normative choices), but they explain why we don't necessarily make those choices.::경제학의 가르침은 대개 합리적 선택의 이론에 기초한다. 개인의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경제학자들은 개인의 목적을 설명함으로써 시작한다. 개인이 금전적 이익을 추구하거나 사회적 인정을 추구하면서 이기적으로 임하든 이타적으로 임하든 또는 어떤 다른 포부를 가지고 있든 모든 경우에 개인은 가능한 한 자기 자신의 이익을 위해 행동한다고 상정된다. 이 가설은 때로 너무 강하게 적용되는데, 단지 개인에게 좋은 선택을 하는 데 필요한 정보가 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만은 아니다. 인지적 편견의 희생자로서, 이 행위자는 또한 목적을 달성하는 최고의 방법을 평가할 때 실수를 할 가능성이 있다. 인간은 추론이나 지각에서 여러 편견의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편견은 자신의 최고 이익을 위해 행동하도록 개인이 해야 하는 선택('규범적인' 선택)을 합리성이 규정한다는 이론이 틀렸음을 입증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반드시 그런 선택을 하는 것은 아닌 이유를 설명해준다.
19영독 11-03::It is easy to assume that "nature" is something with a nature ― something static. But it's not: at least not in any simple sense. It's static and dynamic, at the same time. The environment the nature that selects ― itself transforms. The famous yin and yang symbols of the Taoists capture this beautifully. Being, for the Taoists ― reality itself ― is composed of two opposing principles, often translated as feminine and masculine, or even more narrowly as female and male. However, yin and yang are more accurately understood as chaos and order. The Taoist symbol is a circle enclosing twin serpents, head to tail. The black serpent, chaos, has a white dot in its head. The white serpent, order, has a black dot in its head. This is because chaos and order are interchangeable, as well as eternally juxtaposed. There is nothing so certain that it cannot vary. Even the sun itself has its cycles of instability. Likewise, there is nothing so changeable that it cannot be fixed. Every revolution produces a new order.::'자연'은 속성이 있는 어떤 것, 즉 정적인 어떤 것이라고 상정하기 쉽다. 하지만 자연은 그렇지 않은데, 적어도 어떤 단순한 의미에서도 그렇지 않다. 그것은 동시에 정적이면서 역동적이다. 선택하는 자연인 환경 자체가 변화한다. 도교 철학 신봉자들의 유명한 음과 양의 상징은 이것을 아주 잘 포착한다. 도교 철학 신봉자에게 존재, 즉 실재 그 자체는 보통 여성적인 것과 남성적인 것으로, 혹은 훨씬 더 좁게는 여성과 남성으로 이해되는 두 가지 상반하는 원리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음과 양은 무질서와 질서로 더 정확히 이해된다. 도교의 상징은 머리를 (상대의) 꼬리 쪽으로 하는 쌍둥이 뱀을 둘러싸는 원이다. 무질서인 검은 뱀은 머리에 흰 점이 있다. 질서인 흰 뱀은 머리에 검은 점이 있다. 이것은 무질서와 질서가 영원히 병치(竝置)될 뿐만 아니라 서로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너무나도 확실해서 변할 수 없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태양 자체도 불안정성의 주기를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너무나도 변화무쌍해서 고정될 수 없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모든 변혁은 새로운 질서를 가져온다.
19영독 11-04::Mexico and Central America, vast and varied, both old and new, are some of the greatest places on earth to see and enjoy butterflies. Mexico offers a hard-to-beat combination of great diversity and amazing abundance. The more than 2,400 butterfly species found in Mexico and Central America (about 1,750 in Mexico alone) represent more than 10% of the world's total species. Many of these beautiful creatures can be found nowhere else. Just as importantly for your enjoyment, Mexico more consistently has greater concentrations of butterflies than perhaps anywhere else. In northern Mexico, there are times during peak butterfly seasons when one has very limited visibility looking down trails, because the warm, late summer air is saturated with butterflies! In Chiapas, as I walked down a trail to an ancient Mayan ruin set deep in the Lacandonan rain forest, butterflies actually interfered with my search for other butterflies, as scores of Many-banded, Pale and Ruddy Daggerwings and other large brushfoots such as Orion Cecropians, landed all over me, including on my face and arms.::(지형이) 광대하고 다채로우며 오래됐기도 하고 새롭기도 한 멕시코와 중앙아메리카는 나비를 보고 즐기기에 지상에서 최고의 장소들 중 일부이다. 멕시코에서는 대단한 다양성과 놀랄만한 풍부함이 능가하기 어려울 만큼 잘 결합되어 있다. 멕시코와 중앙아메리카에서 발견되는 2,400가지가 넘는 나비 종(멕시코에만 약 1,750종)은 세계 전체 종의 10%가 넘는 것에 해당한다. 이 아름다운 생물들 중 많은 것들은 그 밖의 다른 곳에서는 발견될 수 없다. 여러분의 즐거움에 못지않게 중요한 것인데, 멕시코에서는 아마 다른 어느 곳 보다 더 한결같이 나비들이 더 대단하게 집중되어 있다. 멕시코 북부에서는, 절정의 나비 철 동안에, 따뜻한 늦여름 하늘이 나비로 가득하기 때문에 오솔길을 내려다볼 때 시계(視界)가 매우 제한되는 시기가 있다! Chiapas에서, 내가 Lacandonan 우림에 깊숙이 자리한 고대 마야 유적으로 가는 오솔길을 걸어 내려갈 때, 많은 수의 Many-banded Daggerwing과 Pale Daggerwing과 Ruddy Daggerwing 나비들 그리고 Orion Cecropian과 같은 네발나비과의 다른 커다란 나비들이 내 얼굴과 두 팔을 포함하여 나의 온몸에 앉으면서, 나비들은 다른 나비들에 대한 나의 조사를 실제로 거들었다.
19영독 11-0507::During their discussions about photography, John Suler once asked Dick Zakia for his advice about John's own work. Because John loves experimenting with a variety of subjects and visual effects, he wondered whether he should instead focus his efforts on cultivating a particular style, his own "brand" ― which is a popular concept in this age of online photo sharing. In fact, that's what one very good artist in an online photo and video sharing community suggested after visiting John's photo stream. Dick's response was different. He said, "Please don't stop. Keep experimenting. Because everything is connected." His answer was the best piece of advice anyone had ever given John, for it reinforced both the intellectual and emotional joy he felt when playing in the realm of the visual. He also realized Dick's words conveyed the spirit behind his book Perception and Imaging, which had filled John with excitement and admiration when he first discovered it. John loved how it held photography at the center of its explorations. It recognized that dedicated photographers can look to the visual arts in all the manifestations of photography, as well as to the psychology of perception, in order to enrich their work. From their discussions and the book, it was clear to John that Dick understood the photographer was a close cousin to other craftsmen of the visual. "Please note that whenever the word photographer is used in the text," Dick wrote in his preface to the previous edition of the book that amazed John, "it is used in a collective sense to include the multiplicity of ways image practitioners capture, create, and manipulate visual images." After Dick's death in 2012, John spoke to his daughter Renee. She described how her father "taught me how to see when I was a child," how he loved to continue learning about the complex mystery of perception, how devoted he was to his students, and how he envisioned Perception and Imaging as a comprehensive and evolving "language" of the visual. John was delighted and honored when Focal Press invited him to write the fifth edition of the book. It offered him the opportunity to carry on Dick's vision.::사진술에 관해 토론하는 동안, John Suler가 한번은 Dick Zakia에게, John 자신의 작품에 대한 그의 조언을 청했다. John은 다양한 소재와 시각 효과로 실험하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자기가(그렇게 하는) 대신에 이 온라인 사진 공유 시대에 인기 있는 개념인, 자기 자신의 '브랜드'인 특정한 스타일을 개발하는 데 자신의 노력을 집중해야 하는지 궁금해했다. 사실 그것은 바로 한 온라인 사진 및 동영상 공유 커뮤니티에서 아주 훌륭한 한 예술가가 John의 사진 스트림을 방문한 후에 제안했던 것이다. Dick의 응답은 달랐다. "부디 중단하지 마십시오. 실험을 계속하세요. 모든 것은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라고 그는 말했다. 그의 답변은 그때까지 누군가가 John에게 해주었던 가장 좋은 한마디의 조언이었는데, 그것이 그가 시각 표현의 영역에서 활동할 때 느꼈던 지적 기쁨과 정서적 기쁨 둘 다를 강화해주었기 때문이었다. 그는 또한 Dick의 말이, John이 처음 발견했을 때 흥분과 감탄으로 자신을 채웠던, '지각과 이미징'이라는 그의 책 이면의 정신을 전달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John은 그 책이 그 책의 탐구의 중심에 사진술을 둔 방식이 마음에 들었다. 그 책은 헌신적인 사진 작가들이 자신들의 작품을 풍부하게 만들기 위해 지각의 심리를 생각해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진술의 온갖 표현들에 보이는 시각 예술을 생각해 볼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였다. 그들의 토론과 그 책으로부터, 사진작가가 다른 시각 표현 예술가들과 가까운 사촌이라고 Dick이 이해했다는 것이 John에게는 명백했다. Dick은 John을 놀라게 했던 그 책의 이전 판에 쓴 자신의 서문에 ''사진작가라는 낱말이 글에서 사용될 때마다, 이미지 전문직 종사자들이 시각적 이미지를 포착하고, 창조하고, 조작하는 다양한 방법을 포함하는 총체적 의미에서 그것이 사용되고 있다는 것에 주목하십시오"라고 적었다. 2012년 Dick이 세상을 떠난 후 John은 그의 딸 Renee와 이야기를 했다. 그녀는 자기 아버지가 "내가 어린 아이였을 때 보는 방법을 나에게 가르쳐 주신" 방식을, 그가 지각의 복잡한 신비에 대해 계속하여 배우는 것을 즐긴 방식을, 그가 자기 학생들에게 얼마나 헌신적이었는지를 그리고 그가 '지각과 이미징'을 시각 표현의 종합적이고 발전하는 '언어'로서 마음속에 그려 본 방식을 말해주었다. John은 Focal 출판사가 자신에게 그 책의 제5판을 저술해 달라고 요청했을 때 기쁘고 영광스러웠다. 그것은 그에게 Dick의 비전을 이어갈 기회를 제공했다.
19영독 11-08::It is likely that some children and young people have no idea of what needs to be changed in their life. The concept of having power and control over our lives to effect change is a fairly abstract one, and goal setting is not something we typically encourage young people to do, aside from reaching academic goals or passing exams. Young people can feel powerless to change their life circumstances because typically they are not in control of large portions of their day-to-day existence — they have to attend school, do what they're told to by parents, live where they are told to, and so forth. Certainly, some aspects of their lives will be predetermined or fixed. However, helping a child to acknowledge what they can change, and explore how to change the way they respond to permanent situations, will create a shift in outlook and life experience. Above all, the process of setting and reaching goals is empowering, and builds lifelong skills and awareness.::일부 아이들과 젊은이들은 자신의 인생에서 무엇이 변화될 필요가 있는가에 관해 모를 가능성이 있다.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 자신의 삶에 힘과 통제권을 가진다는 개념은 매우 추상적인 것이고, 목표 설정은 학문적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나 시험에 통과하는 것을 빼고서는, 우리가 젊은이들에게 하라고 보통 권장하는 것이 아니다. 젊은이들은 자신의 생활 환경을 변화시키는 데 있어서 무기력하다고 느낄 수 있는데 그것은 그들이 학교에 가야 하고, 부모가 시킨 일을 해야 하고, 살라고 한 곳에서 살아야 하는 등등 자신의 일상적 존재의 많은 부분이 대개 자신의 통제권 바깥에 있기 때문이다. 분명히, 그들 삶의 몇몇 측면은 미리 정해지거나 고정될 것이다. 하지만 아이가 자신이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인정하고 변하지 않는 상황에 자신이 반응하는 방식에 변화를 주는 방법을 탐구하도록 돕는 것은 세계관과 삶의 경험에서 변화를 만들어낼 것이다. 무엇보다도,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하는 과정은 힘을 북돋아주며 평생 지속하는 기술과 깨달음을 만들어준다.
19영독 11-09::Cats and dogs are the most thoroughly domesticated animals we know of, at least by one fairly straightforward criterion:. They are the only domesticated animals that do not need to be fenced in to remain as part of a household. The other all-purpose criterion is that domesticated creatures should not be able to make it on their own in the wild. Unfenced cows, for example, would almost surely wander off and be killed by predators after a short while. Chickens, unpenned at night, soon wind up as owl or coyote food, and so forth. Some dogs might be able to make it in the wild for a while, but feral dogs are known to have much foreshortened life spans. Feral cats, on the other hand, can often find a niche in the country and even in cities where they can thrive in an untidy way, probably for many years. So there are clearly degrees of domestication.::최소한 한 가지 매우 간단한 기준에 따르면 고양이와 개는 우리가 알고 있는 가장 철저하게 길든 동물이다. 다시 말해 가정의 일부로 남아있기 위해 가둘 필요가 없는 유일한 길든 동물이다. 다른 만능의 기준은 길든 동물은 야생에서 스스로 살아나갈 수 없을 거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가두지 않은 소는 거의 분명히 (집을) 벗어나 얼마 지나지 않아 포식자에게 죽임을 당할 것이다. 밤에 닭장에서 풀려난 닭은 곧 올빼미나 코요테의 먹이가 되고 마는 것 등이다. 몇몇 개는 잠시 동안 야생에서 살아나갈 수 있을지 모르지만, 야생으로 돌아간 개는 매우 단축된 수명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반면 야생으로 돌아간 고양이는 시골, 그리고 심지어 도시에서도 지저분한 방식으로 아마도 오랜 세월 동안 번성할 수 있는 적합한 환경을 흔히 찾을 수 있다. 그러므로 길들이기에는 분명히 정도의 차이가 있다.
19영독 11-10::In a study, consumers were shown advertisements for four different brands in four different product categories ― cereal, laundry detergent, pain relievers and toothpaste ― and were asked to evaluate each brand. Half of the respondents were then shown pack mock-ups that featured just the brand name of each product, while the other half were given mock-ups that not only included the brand name but a small version of the advertisement headline and picture too. Consumers who viewed the pack mock-ups where only the brand name was displayed had low recall of the advertising product claims. But those who saw the mock-ups containing the brand name and advertisement extracts were able to remember specific product claims in the advertisement copy, even when the headline and picture used didn't relate directly to the advert copy that covered those claims. In addition, the inclusion of the advert headline and photo extracts prompted the respondents to give more favourable and in-depth evaluations of the brands.::한 연구에서 소비지들에게 시리얼, 세제, 진통제 그리고 치약의 네 가지 서로 다른 상품 범주에서 네 가지 다른 브랜드에 대한 광고를 보여주고 각 브랜드를 평가하도록 요청했다. 그런 다음 응답자의 절반에게는 각 상품의 브랜드명만 포함하고 있는 팩으로 된 실물 크기의 모형을 보여준 반면, 다른 절반에게는 브랜드명뿐만 아니라 광고 표제와 사진의 축소판도 들어가 있는 실물 크기의 모형을 주었다. 브랜드명만 표시된 팩으로 된 실물 크기 모형을 본 소비자들은 광고하는 상품의 선전 문구를 잘 기억하지 못했다. 하지만 브랜드명과 광고에서 발췌한 문구가 들어있는 실물 크기의 모형을 본 사람들은 광고 문안에서의 구체적인 상품의 선전 문구를 기억할 수 있었는데, 심지어 사용된 광고 표제와 사진이 그 선전 문구를 다루는 광고 문안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을 때에도 그랬다. 게다가, 광고 표제와 사진 발췌물을 포함한 것이 그 브랜드에 대해 더 호의적이고 상세한 평가를 응답자들이 하도록 했다.
19영독 11-11::There is no simple or categorical answer to the question of the relation between goodness and psychic health. Psychic health is necessary for certain kinds of goodness. But it is not a sufficient condition:. Psychic health is also compatible with badness. Similarly, certain kinds of psychic unhealth can motivate good behavior, for example, through excessive guilt or a neurotically anxious desire to please. But at the same time, an unhealthy psyche can be the source of considerable evil: consider a person whose experience as an abuse victim leaves him unable to control his rage. Freud, who views healthy and unhealthy states of the soul on a kind of continuum, might argue that not only is each of these human types possible, but each of us individually in different ways at different times experiences each of the four possible combinations of goodness/badness and health/unhealth.::선함과 정신적 건강 사이의 관계에 대한 문제에는 간단하거나 단정적인 해답이 없다. 어떤 종류의 선함에는 정신적 건강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그것은 충분조건이 아니다. 정신적 건강은 악함과도 양립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어떤 종류의 정신적으로 건강하지 못한 것이 선한 행위의 원인이 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과도한 죄의식이나 신경증적으로 (남을) 기쁘게 하기를 간절히 바라는 욕망을 통해서이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정신적으로 건강하지 못한 것은 상당한 악함의 원천이 될 수 있는데, 학대의 피해자로서의 경험 때문에 분노를 통제할 수 없게 된 어떤 사람을 생각해 보라. 정신의 건강한 상태와 건강하지 못한 상태를 일종의 연속체 상에서 보는 Freud는 이러한 인간의 유형이 각각 가능할 뿐만 아니라 우리 각자는 개별적으로 다른 방식으로 다른 시기에 선함/악함과 건강/건강하지 못함의 네 가지 가능한 조합의 각각을 경험한다고 주장할지도 모른다.
19영독 11-1214::Andy decided to become a soldier. As soon as he was 16 and able to sign up, he headed for the recruiting office. But he was turned down because he was underweight. He was very disappointed, as were his parents. His uncle was a serving soldier in the army and his father called him up for some advice as to what to do. He suggested what, at the time, seemed a brilliant plan. He told Andy to get up early, drink five liters of water, then go straight to the recruiting office as soon as it opened. He would be first in, get weighed, then go to the restroom; job done. Andy did as his uncle said but it was very difficult. His stomach swelled and he could feel the water moving around like a washing machine as he walked. Andy went in through the recruiting office door walking slowly with short steps and managed to set himself into a chair and waited. The sergeant appeared and said, "Sorry, there will be a slight delay. Are you alright to hold on?" Andy managed a smile with his lips firmly closed and nodded. He was left in despair. Sweat was starting to break out on his forehead and he realized that if he didn't go to the restroom immediately he would literally explode. He staggered into the restroom and urinated. It felt like it could go on for hours. When he came out, the sergeant appeared and Andy was sent in to be weighed. He was exactly the same as before. He had failed again. The sergeant was very kind and gave him some good tips as to what sort of training he should do and sent him on his way. A couple of months later, after spending a lot of time doing some proper workouts and following a high protein diet, he returned to the recruiting office. At last his determination and persistence had paid off. He was in the army.::Andy는 군인이 되기로 결심했다. 그가 16살이 되어 지원할 수 있게 되자마자, 그는 모병 사무소로 향했다. 하지만 그는 체중 미달로 퇴짜 맞았다. 그의 부모님과 마찬가지로 그는 매우 실망했다. 그의 삼촌이 육군에서 복무 중인 군인이었는데 어떻게 해야 할지에 관해 조언을 구하기 위해 그의 아버지가 삼촌에게 전화를 걸었다. 그는 그 당시에는 훌륭한 계획처럼 보이는 것을 제안했다. 그는 Andy에게 일찍 일어나서, 5리터의 물을 마신 후, 모병 사무소가 열리자마자 곧장 가라고 했다. 그는 첫 번째로 들어갈 것이며, 몸무게를 재고, 그런 다음 화장실로 가면 그걸로 된 거다. Andy는 자기 삼촌이 말한 대로 했지만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그의 배가 부풀어 올랐고 걸을 때 물이 마치 세탁기처럼 출렁거리는 것을 그는 느낄 수 있었다. Andy는 보폭을 짧게 하고 느리게 걸어 모병 사무소의 문을 통해 들어가서 가까스로 의자에 앉아 기다렸다. 부사관이 나타나서 말했다, "미안한데, 약간 늦어질 것 같아요. 기다려도 괜찮겠어요?" Andy는 입술을 굳게 다문 채로 가까스로 미소를 짓고 고개를 끄덕였다. 그는 절망 상태에 빠졌다. 땀이 이마에서 갑자기 나기 시작했고 그는 당장 화장실에 가지 않으면 글자 그대로 폭발하리라는 것을 깨달았다. 그는 비틀거리며 화장실에 들어갔고 소변을 보았다. 그것은 마치 몇 시간 동안 계속될 수 있을 것 같았다. 그가 화장실에서 나왔을 때 부사관이 나타났고 Andy는 몸무게를 재러 보내어졌다. 그는 이전과 정확히 똑같았다. 그는 다시 실패했다. 부사관은 매우 친절해서 그에게 어떤 종류의 훈련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좋은 조언을 몇 가지 해주었고 그를 보내 주었다. 몇 달이 지난 후, 알맞은 운동 몇 가지를 하고 고단백 식단을 따르며 수많은 시간을 보낸 뒤, 그는 모병 사무소로 돌아왔다. 그의 결의와 끈질김이 마침내 성공했다. 그는 육군에 입대했다.
19영독 12-01::Hospitals used to be required to perform autopsies on a certain percentage of deaths at their institution as a quality control measure. However, that requirement was dropped years ago. Some new hospitals do not even have autopsy facilities. Today, autopsies are usually performed only in crimes or unusual deaths. Autopsies are rare with "natural" deaths. There are also several disincentives to performing this type of autopsy. One is cost — about $2000 to $3000 per autopsy. Insurance usually will not cover the procedure. Doctors also are not likely to encourage an autopsy because it might turn up something they missed in life, and families often see autopsies as disrespectful of their loved one. The biggest disincentive to autopsies, however, is our unending faith in medical technology. Why do an autopsy if tests have already confirmed the cause of death? There is little thought that anything else could have been involved.::병원은 이전에 (서비스의) 품질 관리 수단으로 그 병원 시설에서 사망한 사람의 특정 비율에 대한 부검을 실시할 것을 요구 받았었다. 그러나 그 요구는 수년 전에 중단되었다. 일부 새로운 병원에는 부검 시설조차 없다. 오늘날, 부검은 범죄 또는 변사일 경우에만 보통 시행된다. '자연스런' 죽음[자연사]에 대한 부검은 드물다. 또한 이런 유형의 부검을 시행하지 못하게 하는 몇 가지 요인이 있다. 하나는 비용으로, 부검 한 번 당 약 2천 달러에서 3천 달러이다. 보험은 보통 그 절차에 드는 비용을 보장하지 않으려 할 것이다. 의사들도 또한 부검이 환자가 살아있을 때 그들이 놓쳤던 어떤 것을 찾아낼까봐 부검을 장려하지 않는 경향이 있으며, 가족들은 흔히 부검을 자신들이 사랑했던 사람에게 불경한 것으로 여긴다. 그러나 부검을 하지 못하게 하는 가장 큰 요인은 의료 기술에 대한 우리의 끊임없는 불신이다. 검사로 이미 사망 원인을 확인했는데, 왜 부검을 하는가? (죽음에) 그 밖에 다른 어떤 것이 개입되었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거의 없다.
19영독 12-02::What is a pattern? We usually think of it as something that repeats again and again. The math of symmetry can describe what this repetition may look like, as well as why some shapes seem more orderly and organized than others. That's why symmetry is the fundamental scientific "language" of pattern and form. Symmetry describes how things may look unchanged when they are reflected in a mirror, or rotated, or moved. But our intuitions about symmetry can be deceptive. In general, shape and form in nature arise not from the "building up" of symmetry, but from the breaking of perfect symmetry that is, from the disintegration of complete, ― boring uniformity, where everything looks the same, everywhere. The key question is therefore: why isn't everything uniform? How and why does symmetry break?::패턴이란 무엇일까? 우리는 보통 그것을 계속해서 반복되는 어떤 것으로 생각한다. 대칭에 대한 수학은 이러한 반복이 어떻게 보일 수 있는지를 기술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어떤 모양이 왜 다른 것들에 비해 더 규칙적이고 더 잘 조직된 것처럼 보이는지도 기술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대칭은 패턴과 형태에 대한 기본적인 과학 '언어'이다. 대칭은 물체가 거울에 반사되거나 회전되거나 움직일 때 어떻게 변함없어 보일 수 있는지를 기술한다. 하지만 대칭에 대한 우리의 직관은 기만적일 수 있다. 보통 자연에서 모양과 형태는 대칭을 '형성하는 것'으로부터 생기지 않고, 완벽한 대칭을 깨뜨리는 것, 다시 말해 모든 것이 모든 곳에서 동일해 보이는 완벽하고 지루한 획일성을 해체하는 것으로부터 생겨난다. 그러므로 핵심 질문은 '왜 모든 것이 똑같지는 않은가? 어떻게 그리고 왜 대칭이 깨지는가'이다.
19영독 12-03::Traditional cultures tend to produce aesthetic objects that we associate with "craft" rather than "art," in part because they are typically functional objects clothing, baskets, water vessels, hunting weapons. These artifacts have often been collected in the West, but not always by art museums ― more typically they're found in "natural history" museums. We don't value these objects because they seem to be mostly imitative, and our conception of creativity is almost exclusively focused on originality. But imitation is a long-established, deep-rooted form of cultural transmission, even in European fine arts. For many centuries, and in many different societies, the ability to imitate and reproduce the acknowledged masters was highly valued; and developing this skill through practice was how one learned one's craft. Yet as Nicholas Delbanco, a distinguished American writer, noted, "We've grown so committed as a culture to the ideal of originality that the artist who admits to working in the manner of another artist will likely stand accused of being second-rate."::전통 문화는 우리가 '예술'보다는 '공예'와 연관 짓는 미적 물건을 만드는 경향이 있는데, 부분적으로 그것들이 보통 의류, 바구니, 물을 담는 용기, 사냥용 무기처럼 실용적인 물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물들은 흔히 서양에서 수집되었지만 항상 미술관에서 수집된 것은 아니며, 보다 일반적으로 '자연사' 박물관에서 발견된다. 이 물건들이 주로 모방적으로 보이고 창의성에 대한 우리의 개념이 거의 전적으로 독창성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이러한 물건들에 가치를 두지 않는다. 그러나 모방은 유럽의 순수 예술에서도 오랫동안 확립된 뿌리 깊은 문화 전달 형식이다. 수 세기 동안, 그리고 많은 다양한 사회에서, 인정된 거장들을 모방하고 재현하는 능력은 매우 높이 평가되었으며, 연습을 통해 이 기술을 발전시키는 것이 자신의 공예를 배우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저명한 미국 작가 Nicholas Delbanco가 말했듯이 "우리는 문화로서 독창성이라는 이상에 너무나 빠져 있어서, 다른 예술가의 방식으로 작업하는 것을 인정하는 예술가는 아마 이류라는 비난을 받을 것이다."
19영독 12-04::Each species occupies both a niche and a habitat. In biology, the "niche" of a species is broadly defined by what it eats and how it reproduces, somewhat similar to how a species makes a living. Some species have specialized diets (they eat just a few things), while others have a generalized diet and eat many things (such as humans, who will eat almost anything that does not kill them). Some species (e.g., most fish) have large numbers of offspring but provide no care, but the number of offspring is so large that enough survive. Others will have far fewer offspring but give them a great deal of care (e.g., humans). A niche can also be cultural in that different people make a living in different ways. For example, some people may hunt bison, others gather shellfish, and still others are farmers, each a different niche. Like ecosystems, niches are loosely bounded and rather arbitrarily defined and may be expected to change.::각각의 종은 생태적 지위와 서식지를 둘 다 차지한다. 생물학에서 한 종의 '생태적 지위'는 그것의 먹이와 번식하는 방식에 의해 넓게 정의되는데, 종의 생존 방식과 어느 정도 비슷하다. 어떤 종들은 전문화된 식단(그것들은 단지 몇 가지만 먹는다)을 가지고 있고 반면에 다른 종들은 일반적인 식단을 갖고 (자신들을 죽음에 이르게 하지 않는, 거의 모든 것을 먹는 인간처럼) 많은 것을 먹는다. 일부 종들(예를 들어 대부분의 어류)은 매우 많은 수의 새끼를[알을] 낳고서 전혀 돌보지 않지만, 새끼의 수가 아주 많아서 충분한 수가 살아 남는다. 다른 종들은 (예를 들어 인간처럼) 훨씬 적은 자손을 갖지만 그들에게 많은 보살핌을 준다. 생태적 지위는 또한 다양한 사람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살아간다는 점에서 문화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들은 들소를 사냥할 수 있고, 다른 사람들은 조개를 모으며, 또 다른 사람들은 농부인데, 각각이 다른 생태적 지위이다. 생태계와 마찬가지로 생태적 지위는 단단히 경계 지어져 있고 꽤 임의적으로 정의되며 변화될 것이 예상될 수 있다.
19영독 12-0507::On May 16, 2006, the day after mountaineer David Sharp died on Mt Everest, I met with a client in his Calgary office. "Frank" is a manager with an oil and gas transmission company. He is also a passionate mountaineer and cross-country skier. David Sharp's story was headline news that morning because while succumbing to high altitude sickness at Everest, he was passed by at least 40 trekkers on their way to the summit. No one stopped to bring him back down the mountain. As we took our seats for a pre-arranged meeting, I asked Frank what he would have done in circumstances like those faced the previous day by the Everest climbers. Would he have stopped to assist Sharp, maybe even turning back to get him to safety, or would he have continued on to the summit? Frank's perspective was important to me. The actions of the mountaineering community at Mt Everest were weighing heavily on my mind. Frank paused before answering. Then he told me this story. Frank has led a variety of backcountry trips, including trips to some of Canada's highest peaks. A handful of attempts at some of these peaks were defeated by bad weather or illness. Other mountaineering teams braved the weather, but as the leader for his trip, Frank didn't want to put other people's lives at risk so that he could summit. On one of these occasions while preparing for the final push to the top, a member of Frank's group began to exhibit signs of altitude sickness. Knowing the results could be life-threatening without immediate medical attention and descent to lower altitudes, Frank turned his team back. That same day, another expedition on the same mountain also had a sick member in tow. That team elected to leave their teammate behind for the time it would take them to reach the summit. When they returned 90 minutes later, he was dead. Having shared this story, Frank was silent for a while. Almost as an afterthought, he added: "It's about the journey, not the destination." Unwittingly, Frank had just convinced me of his courage, compassion and integrity. Integrity means that you are the same on the inside as the outside. Frank exemplifies this inner/outer continuity. He is the kind of manager most employees would love to work for.::산악인 David Sharp가 에베레스트 산에서 사망한 다음 날인 2006년 5월 16일에 나는 한 고객을 그의 Calgary에 있는 사무실에서 만났다. "Frank"는 석유 및 가스 수송 회사의 관리자이다. 그는 또한 열성적인 산악인이자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이기도 하다. David Sharp의 이야기는 그날 아침 헤드라인 뉴스였는데, (그가) 에베레스트에서 고산병으로 쓰러져 있는 동안, 정상으로 가고 있던 적어도 40명의 등산객들이 그를 지나쳤기 때문이다. 그를 산 아래로 다시 데리고 내려오기 위해 아무도 멈추지 않았다. 우리가 사전에 준비된 회의를 위해 자리에 앉았을 때, 나는 Frank에게 전날 에베레스트 등반가들이 직면한 것과 같은 상황에서 그는 어떻게 했을지를 물었다. 그는 Sharp를 도우려고 멈추었을 것인가, 혹시 그를 안전한 곳에 데리고 가려고 뒤로 돌아서기까지 했을까, 아니면 계속해서 정상을 향해 나아갔을까? Frank의 관점은 나에게 중요했다. 에베레스트산에서의 등반 공동체의 행동은 내 마음을 무겁게 짓누르고 있었다. Frank는 대답하기 전에 잠시 멈췄다. 그런 다음 그는 나에게 다음의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Frank는 캐나다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 중 몇 곳으로의 여행을 포함하여 다양한 오지로의 여행을 이끌었다. 이 봉우리 중 일부에 대한 몇 차례의 시도는 악천후나 질병으로 인해 좌절되었다. 다른 등반 팀들은 날씨에 용감하게 맞섰지만, Frank는 자신의 등반(여행)의 리더로서 자신이 정상에 오르기 위해 다른 사람들의 목숨을 위험에 빠뜨리기를 원하지 않았다. 이러한 경우 둘 중 한 번은, 정상에 이르는 마지막 밀어붙이기를 준비하는 동안 Frank의 대원들 중 한 명이 고산병 징후를 보이기 시작했다. 즉각적인 치료와 더 낮은 고도로의 하강이 없다면 결과는 생명을 위협하는 것일 수도 있다는 것을 알고, Frank는 팀을 돌려세웠다. (Frank가 팀을 돌려세운) 바로 그날 같은 산에 다른 한 원정대에도 몸이 아픈 한 대원이 뒤따르고 있었다. 그 팀은 그들이 정상에 오르는 데 걸릴 시간 동안 팀 동료를 뒤에 남겨 두는 선택을 했다. 그들이 90분 후에 돌아왔을 때, 그는 사망한 상태였다. 이 이야기를 나누고 나서, Frank는 잠시 침묵을 지켰다. 거의 나중에 생각이 나서, ''중요한 것은 목적지가 아니라, 여정입니다"라고 그는 덧붙여 말했다. 자신도 모르게 Frank는 나에게 그의 용기, 연민 그리고 진실성을 확신시켜준 것이었다. 진실성은 여러분의 내면과 외면이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Frank는 이 내면과 외면의 연속성을 예증해 주었다. 그는 대부분의 직원들이 함께 일하기를 좋아할 그런 유형의 관리자이다.
19영독 12-08::Rebecca Cox documents how student fear and misunderstanding can undermine learning. The goals of students often differ from the goals of teachers, and conflict and miscommunication can result, even when both the student and teacher are well intentioned. Students may fail to perceive the goals of an assignment and see it as "busywork" or a hoop to jump through in order to get a passing grade. They may see the teacher as an obstacle to their goal of obtaining a degree rather than a facilitator of learning. They may see critical feedback not as an opportunity to reflect and improve, but a personal attack on their competence. Students shift easily from a learning mindset to one in which they simply want to do whatever is necessary to pass the course, to give the teacher what he or she wants. Then learning becomes irrelevant. For optimal learning, the students must have trust in the teacher; they must believe that the teacher wants them to learn and all the assignments and activities are designed to help them learn. Then students will work harder and persevere longer for teachers they trust.::Rebecca Cox는 학생의 두려움과 오해가 어떻게 학습을 저해할 수 있는지 기록한다. 학생들의 목표는 흔히 교사들의 목표와 다르고 학생과 교사가 모두 선의를 가지고 있을 때조차 갈등과 잘못된 의사 소통이 생길 수 있다. 학생들은 과제의 목표를 인식하지 못하고, 그것을 '그저 시간을 보내기 위해 부과하는 학습 활동'이나 합격점을 따기 위해 해야 할 어렵거나 복잡한 일로 여길지도 모른다. 그들은 교사를 학습의 조력자라기보다는 오히려 학위를 얻고자 하는 목표의 장애물로 볼지도 모른다. 그들은 비판적인 피드백을 반성하고 개선할 기회가 아니라 자신들의 능력에 대한 인신공격으로 볼지도 모른다. 학생들은 배우고자 하는 사고방식에서 그저 그 과목을 통과하는 데 필요한 것을 무엇이든 하고 싶은, (즉) 교사에게 그 교사가 원하는 것을 주고 싶은 사고방식으로 쉽게 바뀐다. 그러면 학습은 의미 있게 된다. 최적의 학습을 위해 학생들은 교사를 신뢰해야 하는데, 그들은 교사가 자신들이 배우기를 원하며 모든 과제와 활동은 자신들이 배우는 것을 돕도록 고안되어 있다고 믿어야 한다. 그러면 학생들은 자신들이 신뢰하는 교사들을 위해 더 열심히 공부하고 더 오래 끈기 있게 노력할 것이다.
19영독 12-09::Compare the idea that "architecture applies only to buildings designed with a view to aesthetic appeal" with architecture defined as "the art of placemaking" and creation of "healing places." In the former, design changes with trends in fashionable forms and materials. It is often indifferent to place, people, and time. The goal is to make monumental, novel, and photogenic buildings and landscapes that express mostly the ego and power of the designer and owner. In contrast, the making of healing places signals a larger allegiance to place that means, in turn, a commitment to the health of other places. Placemaking is an art and science disciplined by locality, culture, and ecology requiring detailed knowledge of local materials, weather, topography, and the nature of particular places and a creative dialogue between past, present, and future possibilities. It is slow work in the same sense that caring and careful have a different clock speed than carelessness.::'건축은 미적 매력을 위해 설계된 건물에만 적용된다'는 개념을 '사람들의 행복과 건강을 증진시키는 공공장소 만들기의 기술'과 '치유하는 장소' 만들기라고 정의된 건축과 비교해보라. 전자에서 설계는 유행하는 형태와 재료의 경향에 따라 변한다. 그것은 흔히 장소, 사람, 그리고 시간에 대해 무관심하다. 목표는 설계자와 소유주의 자부심과 힘을 주로 표현하는 기념비적이고, 새로우며, 사진이 잘 받는 건물과 풍경을 만드는 것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치유하는 장소 만들기는 결국 여타 장소들의 건강에 전념하겠다는 것을 의미하는, 장소에 대한 더 큰 충실함을 나타낸다. 사람들의 행복과 건강을 증진시키는 공공장소 만들기는 현지 재료, 날씨, 지형 그리고 특정 장소의 성질에 대한 상세한 지식과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의 가능성 사이의 창조적인 대화를 필요로 하는 지방성, 문화, 그리고 생태에 의해 연마되는 기술과 과학이다. 그것은 '신경 쓰고 주의하는 것'이 '부주의함'과 시계의 속도가 다르다는 것과 같은 의미로 천천히 하는 작업이다.
19영독 12-10::Human intelligence has its own considerable strengths. The fundamental human limitation of having a relatively small brain, constrained by the energy and physical space available to it, has resulted in a lot of evolutionary "cleverness." Human intelligence makes use of very effective pruning techniques that prevent the brain from running in overdrive, attempting to process billions of potential situations of which only one or two might be useful. The expense of this brute computational approach is simply not suited to biological beings. However, what is clear is that the availability of practically infinite mathematical ability, and abundant calculating speed, do result in discoveries that our biological brains have not yet made. We are "blindsided" to some degree by the biological imperative to conserve energy and make the best use of our brains, given their physical limitations. In this way, machine thought, which can leverage incredible amounts of energy and space, is fundamentally different.::인간의 지능은 고유의 상당한 강점을 지니고 있다. 이용할 수 있는 에너지와 물리적인 공간에 의해 제약을 받는 비교적 작은 뇌를 지녔다는 근본적인 인간의 한계는 많은 진화적 '지략'을 낳았다. 인간의 지능은 유용한 것이 겨우 한두 개만 있을 수 있는 수십억의 잠재적 상황을 처리하려고 시도하면서 뇌가 과열 상태로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매우 효과적인 가지치기(불필요한 것을 잘라내기) 기법을 이용한다. 이런 무지막지한 계산적 접근으로 인한 손실은 생물학적 존재들에게 전혀 적합하지 않다. 그런데 분명한 것은 거의 무한한 수학적 능력을 이용할 수 있는 것과 넉넉한 계산 속도가 우리의 생물학적인 뇌가 아직까지 하지 못한 발견을 정말로 가져온다는 것이다. 물리적 제약이 있어서 에너지를 아껴 쓰고 우리의 뇌를 최대한 이용해야 한다는 생물학적 명령으로 인해 우리는 어느 정도 '불시에 공격을 당한다.' 이런 면에서 엄청난 양의 에너지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기계의 사고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19영독 12-11::The imperative of a moral life is such that even immoral people try to justify their acts to themselves to suppress the guilt inside. Even confirmed criminals do not admit their role, to themselves or to those whom they love. Despite being aware that one is a rascal, deep down in one's heart one says: 'Indeed, this is only a minor aspect of my life; otherwise I am a good fellow.' One knows that one is lying but one still feels obliged to take a false position against oneself. This, therefore, is the mystery of man's moral life: somehow, even the evildoer acknowledges integrity as a superior value. Why is evil obliged to constantly pay this compliment to the good? Because somewhere in the inner being of a man the flame of an enduring goodness is caged.::도덕적인 삶의 명령은 부도덕한 사람들조차 내면의 죄책감을 억누르기 위해 자신들의 행동을 자신에게 정당화하려고 하게 되는 그러한 것이다. 상습범들조차도 자신들의 역할을 자신이나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인정하지 않는다. 자신이 악당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자신의 마음속 깊은 곳에서는, '정말로 이것은 내 인생에서 사소한 측면일 뿐이고, 그 외에는 나는 좋은 사람이야'라고 말한다. 자신이 거짓말하고 있다는 것을 알지만 그래도 어쩔 수 없이 자신에게 거짓 태도를 보여야 한다고 느낀다. 그래서 이것이 인간의 도덕적인 삶의 수수께끼인데, 어찌된 일인지 악행을 저지르는 사람조차도 그 결함을 우월한 가치로 인정한다. 왜 악이 끊임없이 선에 대해 이런 찬사를 보내지 않을 수 없는가? 사람의 내면적 존재의 어딘가에 오랫동안 지속되는 선함의 불꽃이 가두어져 있기 때문이다.
19영독 12-1214::When Wang Yanzheng occupied Jianzhou and proclaimed himself king of Yin, in 943, he put one of his primary generals, a certain Zhang, in charge of defending the Jianzhou city. Zhang once ordered one of his lieutenants to reconnoiter the situation beyond the fortifications, but he was late in reporting back and faced execution. Zhang valued the lieutenant for his talent and had not yet decided how to handle the case. Returning home, he mentioned his dilemma to his wife. This woman, née Lian, was virtuous and wise. She secretly sent someone to tell the lieutenant, "According to military law you deserve to be put to death. If you quickly run away you may yet escape with your life." She gave him several dozen taels of silver, adding, "Leave right away, and don't think about your family." The lieutenant succeeded in escaping secretly and went over to Li Jing of Jiangnan [i.e., the Southern Tang], where he joined the staff of General Zha Wenhui. When Wenhui attacked Wang Yanzheng, this lieutenant was put in command of the campaign. When the city was about to fall, he let it be known that if anyone inside the city could protect the Lian clan and save it from harm, that person would be handsomely rewarded. Woman Lian, hearing of this, sent a messenger to tell him, "The people of Jian have done no wrong. I hope that you, general, will graciously agree to spare them. It is my husband and I whose misdeeds deserve death, and we dare not hope to survive. If, however, you cannot bring yourself to spare the people of Jian, I wish to be the first to die. I swear that I shall not be the only one saved." Her words were filled with noble sentiments, born of her absolute sincerity. Having no choice, the lieutenant called his troops back, stopping their attack, and went into the city with weapons sheathed. In this way, the entire city escaped harm. Even today, the Lian clan is an important clan of Jian'an, and one after another its members have risen to be ministers in the imperial court. They are all the descendants of Woman Lian.::943년에 왕연정(Wang Yanzheng)이 건주(Jianzhou)를 점령하고 자신을 은(殷)나라의 왕으로 선포했을 때 그는 자신의 주요 한 장군 중의 한 명인 Zhang이라는 장군에게 건주 방어를 책임지게 했다. 한번은 Zhang이 그의 부관 중 한 명에게 요새 너머의 상황을 정찰하라고 명령했으나 그는 복귀하는 데 늦어서 사형당할 처지에 놓였다. Zhang은 그 부관의 재능을 보아 그를 가치 있게 여겼고 그 사건을 어떻게 처리할지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 집으로 돌아와 그는 아내에게 자신의 딜레마에 대해 말했다. 결혼 전 성(姓)이 Lian인 이 여자는 덕망 있고 현명했다. 그녀는 몰래 그 부관에게 사람을 보내서 전했다, "군법에 따라 귀관은 사형 받아 마땅하다. 빨리 도망간다면 아직 목숨을 부지하여 탈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녀는 그에게 은화 몇 십 냥을 주면서 덧붙여 말했다, "지금 당장 떠나고 귀관의 가족에 대해 생각하지 말라." 그 부관은 몰래 탈출하는데 성공하여 강남(Jiangnan) [즉, 남당]의 이경(Li Jing)에게 전향했고 그곳에서 그는 사문휘(Zha Wenhui) 장군의 참모의 일원이 되었다. 사문휘가 왕연정을 공격했을 때, 이 부관은 군사 행동을 지휘하게 되었다. 그 도시가 함락되려고 할 때 그는 도시 안에 있는 누구든 Lian 가문을 보호하고 그 가문이 해를 입지 않도록 구해준다면 그 사람은 후하게 보답을 받을 것이라고 알렸다. 이것을 들은 여인 Lian은 전령을 보내 그에게 전했다, ''건주의 백성들은 잘못이 없습니다. 바라건대, 장군께서 자비롭게 그들을 살려주시는 데 뜻을 같이 해 주시길 바랍니다. 죽어 마땅한 죄를 지은 것은 저의 남편과 저이니, 저희는 감히 목숨을 부지하기를 원치 않습니다. 하지만 장군께서 건주의 백성들을 살려줄 의향이 없다면 제가 가장 먼저 죽기를 바랍니다. 맹세컨대, 목숨을 부지하는 유일한 사람이 되지 않을 것입니다." 그녀의 말은 절대적인 진심에서 나온 고귀한 정서로 가득했다. 선택의 여지가 없어 그 부관은 자신의 군대를 회군시켜 그들의 공격을 중지시켰고 무기를 빼 들지 않은 채로 그 도시로 들어갔다. 이리하여 그 도시 전체가 피해를 면했다. 오늘날까지도 Lian 가문은 건안(Jian'an)의 중요한 가문이고, 줄줄이 그 가문의 구성원들이 황실에서 대신의 지위에 올랐다. 그들 모두 여인 Lian의 후손이다.
19영독 T1-01::Dear Neighbor, We are asking for your help again this year with Trick-or-Treat for our son, Bryce. He is on a special diet due to his ongoing health issues. The diet is very strict and he can't have any chips, cookies, candy, etc. Of course, this makes Halloween a little challenging. Please give Bryce this particular candy we included in this note when we come around on Friday evening for Trick-or- Treat. It will really help him enjoy the holiday despite his restrictions. Bryce is 5 years old and will be wearing a purple dinosaur costume;. I've enclosed a picture to help you recognize him. If you are not planning on participating in Trick-or-Treat, please write your street address on this note and drop it in our mail slot so that we may give it to another address. Thank you in advance for your help!::이웃분께, 저희는 귀하께서 저희 아들 Bryce의 Trick-or-Treat 놀이를 도와 주시기를 올해에도 다시 부탁드립니다. 그는 계속되는 건강 문제로 인해서 특별한 식이요법을 하고 있습니다. 식이요법이 매우 엄격해서 그는 감자칩이나 쿠키, 사탕 등을 전혀 먹을 수 없습니다. 물론 이로 인해서 핼러윈이 좀 힘듭니다. 저희가 Trick-or-Treat을 하려고 금요일 저녁에 귀하의 집으로 가면 저희가 이 편지에 동봉한 이 특정한 사탕을 Bryce에게 주세요. 그렇게 해주시면 그가 자신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축제일을 즐기는 데 정말 도움이 될 것입니다. Bryce는 5세이고 보라색 공룡 의상을 입고 있을 것입니다. 귀하가 아이를 알아보시는 데 도움이 되도록 사진을 동봉했습니다. Trick-or-Treat에 참가하지 않을 계획이시라면 저희가 이 편지를 다른 주소에 보낼 수 있도록, 이 편지에 귀하의 주소를 써서 저희 우편물 투입구에 넣어 주십시오. 귀하의 도움에 미리 감사드립니다!
19영독 T1-02::At the Glasgow station, Jacob found that trains were delayed by equipment failures caused by the bad weather conditions to the south. Advising that things would soon straighten out, the clerk sold him a ticket for a first-class compartment on the next scheduled departure. Pacing the marble floors and window-shopping, Jacob worried about the delay and the possibility that Luis's men might catch up with him. Every casual passerby was a potential threat. He constantly changed his pattern of browsing to check whether he was being shadowed. His suspicions were exhausting him, so he found a seat and gave up his search. In spite of his lack of sleep, he tried not to doze off, each time catching himself. Finally, the announcement of his London train jolted him into alertness.::Glasgow 역에서 Jacob은 남쪽의 악천후로 야기된 장비 고장으로 열차가 연착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사정이 곧 나아질 거라고 알려주며 역무원은 바로 다음에 출발하기로 예정되어 있는 1등실 승차권을 그에게 판매했다. 대리석 바닥 위를 서성거리고 진열창 안을 들여다보며 다니면서도 Jacob은 연착과 Luis의 부하들이 그를 따라잡을 수도 있다는 가능성에 대해 걱정했다. 우연히 지나가는 모든 사람이 잠재적인 위협이었다. 자신이 미행당하고 있는지를 확인 하려고 그는 물건을 둘러보는 방식을 계속 바꿨다. 의심이 그를 기진맥진하게 했고, 그래서 그는 앉을 자리를 찾았고 탐색을 멈추었다. 잠이 부족했는데도 그는 잠이 들지 않으려고 노력했고, 매번 잠이 들려다가 갑자기 멈추었다. 마침내 런던행 열차 안내 방송이 갑자기 그의 정신을 초롱초롱하게 하였다.
19영독 T1-03::Generally, when prices go up, consumption goes down. This is true with meat and fresh produce, but it doesn't seem to be true with those indulging "C" foods — candy, cookies, cake, and ice cream. Within a reasonable range, when the price of these items goes up, we either buy them anyway or switch to another brand. Some studies have shown that increasing the price of selected vending-machine candy caused people to buy less of that candy. This works primarily in limited-choice environments such as schools, however. In most situations, if the price of a candy bar went up by 25 cents, people would either pay it or they would buy a different brand. They wouldn't stop eating candy. Similarly, if a fast-food restaurant raised its prices, people wouldn't stop eating fast food, they would simply eat it somewhere else. Raising prices doesn't make people eat healthier, it makes them go to a competitor and eat the same food. A "sin tax" isn't a "stopping tax," it's a "shopping tax."::보통 가격이 올라가면 소비가 줄어든다. 이것이 고기와 신선한 농산물에 있어서는 사실이지만, 캔디, 쿠키, 케이크와 아이스크림과 같은, 탐닉하게 되는 음식('C' foods: C로 시작하는 음식)의 경우에는 사실이 아닌 것 같다. 적당한 범위 내에서, 이 품목들의 가격이 올라가면, 우리는 그것들을 그래도 사거나 다른 브랜드로 돌아선다. 몇몇 연구는 선별된 자동판매기의 캔디 가격을 올리자 사람들이 그 캔디를 덜 사게 되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이것은 학교와 같이 선택이 제한된 환경에서 주로 효과가 있다. 대부분의 상황에서 캔디바의 가격이 25센트 오르면 사람들은 그것을 사거나 다른 브랜드를 살 것이다. 그들은 캔디를 먹는 것을 그만두지 않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패스트푸드 식당에서 가격을 올리면, 사람들은 패스트푸드 먹는 것을 그만두지 않을 것이고, 그저 그것을 다른 곳에서 먹을 것이다. 가격을 올린다고 사람들이 더 건강에 좋게 음식을 먹지는 않으며 그것은 그들이 경쟁사로 가서 같은 음식을 먹게 한다. '죄악세'는 '멈추게 하는 세금'이 아니며, '쇼핑에 대한 세금'이다.
19영독 T1-04::An early study that looked at stress in rats found that when a rat is given a wheel to turn that will stop it from receiving an electric shock, it happily turns the wheel and isn't very stressed. If the wheel is taken away, the rat experiences massive stress. If the wheel is then returned to the cage, the rat's stress levels are much lower, even if the wheel isn't actually attached to the shocking apparatus anymore. In humans, too, being able to push a button to reduce the likelihood of hearing a noxious sound will reduce their stress levels, even if the button has no real effect on the sound — and even if you don't push the button! It turns out that it's the sense of control that matters, even more so than what you actually do. If you have confidence that you can impact a situation, it will be less stressful. In contrast, a low sense of control may very well be the most stressful thing in the universe.::쥐의 스트레스를 살펴본 초기의 한 연구는 전기 충격을 받는 것을 멈추게 할 돌릴 바퀴가 쥐에게 주어지면 쥐는 그 바퀴를 행복하게 돌리고 스트레스를 별로 받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만약 그 바퀴를 치우면 쥐는 엄청난 스트레스를 겪는다. 그러고 나서 그 바퀴가 우리에 다시 돌아오면 쥐의 스트레스 수준은 훨씬 더 낮아지는데, 바퀴가 충격을 주는 장치에 더 이상 '실제로 부착이 되어 있지 않더라도' 그렇다. 인간에게 있어서도 유해한 소리를 들을 가능성을 줄여주는 버튼을 누를 수 있다는 것이 스트레스 수준을 낮출 것이고, 그 버튼이 소리에 실제로 영향을 주지 않더라도 그리고 버튼을 누르지 않더라도 그렇다! 중요한 것은 바로 통제를 한다는 '느낌'이며 여러분이 실제로 행하는 것보다 훨씬 더 그렇다는 것이 밝혀졌다. 여러분이 상황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자신감이 있으면, 스트레스를 덜 받을 것이다. 반대로, 낮은 통제감은 세상에서 가장 큰 스트레스를 받게 하는 것일 가능성이 높다.
19영독 T1-05::Jerome Singer, a legendary cognitive psychologist, was the first scientist to suggest that the mental state in which the mind is allowed to wander freely is, in fact, our "default" state. Singer further argued in his 1966 book, Daydreaming, that daydreaming, imagination, and fantasy are essential elements of a healthy mental life. These elements include self-awareness, creative incubation, autobiographical planning, consideration of the meaning of events and interactions, taking another person's perspective, reflecting on your own and others' emotions, and moral reasoning. All of this leads to what we think of as "aha!" moments. The musician, bestselling writer, and neuroscientist Daniel J. Levitin emphasizes that insights are far more likely to come when you are in the mind-wandering mode than in the task-focused mode. It is only when we let our minds wander that we make unexpected connections between things that we did not realize were connected. This can help you solve problems that previously seemed to be unsolvable.::전설적인 인지 심리학자인 Jerome Singer는 생각이 자유롭게 다른 데로 흘러갈 수 있게 허용되는 정신 상태가 사실은 우리의 '기본' 상태라고 말한 첫 번째 과학자였다. Singer는 나아가 1966년에 출간한 자신의 저서 'Daydreaming(백일몽)'에서 백일몽과 상상, 공상이 건강한 정신생활에 필수적인 요소라고 주장했다. 이 요소들은 자기 인식, 창의적인 숙고, 자전적 계획, 사건과 상호 작용의 의미에 대한 고찰, 다른 사람의 관점을 취하는 것, 자기 자신과 다른 사람의 감정에 대해 깊이 생각하는 것, 그리고 도덕적인 추론을 포함한다. 이 모든 것이 우리가 '아하!'하고 깨닫는 순간이라 생각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음악가이자 베스트셀러 작가이며 신경 과학자인 Daniel J. Levitin은 통찰이 업무에 집중하는 상태에 있을 때보다 이런저런 생각을 하는 상태에 있을 때 올 가능성이 훨씬 더 많다는 것을 강조한다. 우리가 관계 있을 것으로 생각하지 못했던 것들 사이에서 예상 밖의 관계를 발견하는 것은 바로 우리가 이런저런 생각을 할 때뿐이다. 이것은 여러분이 이전에 해결 불가한 것으로 보였던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
19영독 T1-06::Times have changed. The acceleration of information flow hasn't changed the average global consumer:. It has simply made them more efficient, more rapid, and more in touch with global brands. And, yes, it has made them more powerful. These global consumers exist today in every corner of the planet. Empowered with new tools to reach farther and faster, they are brand savvy, brand aware, and brand motivated. Each is aware of global brands, and each has created a brand image, complete with product values, pricing, and all of the trappings that come along with brand equity. They are — setting aside massive cultural variances — no different from Mom and Pop shopping on Main Street in the United States:. They know what they want and where to get it. This is the global consumer, the least restricted, most powerful brand adopter in history.::시대가 변하였다. 정보 흐름의 가속이 평균적인 세계 소비자들을 바꾸지는 않았다. 그것은 단지 그 소비자들을 더 효율적이며 더 빠르게, 그리고 글로벌 브랜드에 대한 최신 정보를 더 많이 갖게 하였다. 그리고 정말로, 그것은 그들을 더 강력하게 만들었다. 이 세계 소비자들은 오늘날 세계 방방곡곡에 존재한다. 더 멀리, 더 빠르게 도달할 수 있는 새로운 도구로 강력해진 그들은 브랜드를 잘 알고, 브랜드를 인식하고 있으며, 브랜드에 의해 자극을 받는다. 각각의 세계 소비자들은 글로벌 브랜드를 알고 있고, 각각이 제품의 가치, 가격 책정, 그리고 브랜드 가치가 수반하는 과시적 요소들 모두가 잘 갖춰진 브랜드 이미지를 만들어냈다. 엄청난 문화적 차이는 차치하고, 그들은(그들의 쇼핑은) 미국 중심가에 있는 소규모 가게에서의 쇼핑과 다르지 않다. 그들은 그들이 무엇을 원하고 어디에서 그것을 얻을 수 있는지를 안다. 이것이 역사상 최소한의 제약을 받는, 가장 강력한 브랜드 사용자인 세계 소비자이다.
19영독 T1-07::The graph above shows how many kilocalories men and women ages 2 and over consumed from sugar drinks from 2005 to 2008 in the United States. Overall, males consumed an average of 178 kcal from sugar drinks on any given day, while females consumed 103 kcal. Consumption of sugar drinks increased until ages 12-19 years and then decreased with age. Consumption of sugar drinks was the lowest among females ages 60 and over (42 kcal per day) and the highest among males ages 12-19 (273 kcal per day). Males ages 12-19 consumed over six times more kilocalories from sugar drinks than females ages 60 and over. The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the consumption of sugar drinks was the biggest in the 20-39 age group.::위 그래프는 미국에서 2005년부터 2008년까지 2세 이상의 남녀가 설탕이 함유된 음료수로부터 몇 킬로칼로리를 섭취했는가를 보여준다. 전반적으로 남성은 어느 날이든 설탕이 함유된 음료수로 평균 178킬로칼로리를 섭취했고, 여성은 103킬로칼로리를 섭취했다. 설탕이 함유된 음료수의 섭취는 1219세까지 증가하였고 그 다음에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감소했다. 설탕이 함유된 음료수의 섭취는 60세 이상 여성에게서 가장 낮았고(하루에 42킬로칼로리) 1219세의 남성에게서 가장 높았다(하루에 273킬로칼로리). 1219세의 남성은 60세 이상의 여성보다 6배보다 더 많은 킬로칼로리를 설탕이 함유된 음료수로부터 섭취했다. 설탕이 함유된 음료수의 섭취에 있어서 남성과 여성의 차이는 2039세 그룹에서 가장 컸다.
19영독 T1-08::Hugh John Lofting was born in England to an Irish father and an English mother. Hugh was an imaginative child and loved to create stories to tell his brothers and sisters. He also loved animals and had many pets as a child. Hugh's concern for animals led to the creation of Doctor Dolittle. Doctor Dolittle began as a cheerful, charming doctor who became more serious as his adventures continued. This was perhaps a parallel to Hugh's life. His adulthood was marked with several sorrows. His first wife died in 1927, only four years after his great success in winning the Newbery Medal. He got remarried, but his second wife died less than a year later. In the twenty-seven years that followed the publication of his first Doctor Dolittle book, Hugh wrote thirteen other books about the kindly doctor, as well as a number of other books for children. The Doctor Dolittle stories are still some of the best loved of all time.::Hugh John Lofting은 영국에서 아일랜드인 아버지와 영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Hugh는 상상력이 풍부한 아이였고 이야기를 지어내어 자신의 형제자매들에게 말해주는 것을 대단히 좋아했다. 또한 그는 동물을 사랑했고 어릴 때 여러 애완동물을 길렀다. 동물에 대한 Hugh의 관심은 닥터 두리틀의 창조로 이어졌다. 닥터 두리틀은 모험이 계속되면서 더욱 진지해진 쾌활하고 매력 있는 의사로 시작되었다. 이것은 어쩌면 Hugh의 생애와 아주 유사한 것이었다. 그의 성인기는 여러 번의 슬픔으로 특징지어졌다. 그의 첫 번째 아내는 그가 Newbery Medal을 수상하는 엄청난 성공을 거둔 뒤 고작 4년 후인 1927년에 죽었다. 그는 재혼했으나, 그의 두 번째 아내는 일 년도 되지 않아 죽었다. 그의 첫 번째 닥터 두리틀 책이 출판된 이후 27년 동안, Hugh는 그 친절한 의사에 관한 책을 13권 더 집필하였을 뿐 아니라 다수의 다른 아동용 도서도 집필하였다. 여전히 닥터 두리틀 이야기는 지금껏 가장 사랑받는 이야기 중 일부이다.
19영독 T1-09::Festival of Romance 2019 Celebrate Romantic Fiction! The Festival of Romance celebrates romantic fiction in all its forms and gives readers a chance to meet favourite and new authors as well as a chance to take part in lots of fun activities. • It is the ONLY convention dedicated to romantic fiction in the UK. • This year's festival takes place from 8th to 10th of November. • Tickets for all festival events are now being sold. • See which of your favourite authors are attending on our official website. Are you an author, publisher, or business that would like to join in the festival? Please contact us online using the form on the contact page. Can't wait for November? Don't forget that you can discuss and blog about romantic fiction all year round at our online community: www.romanticfiction.org.::2019년 연애 소설 축제 연애 소설을 기념하세요! 연애 소설 축제는 모든 형태의 연애 소설을 기념하며 독자들에게 많은 재미있는 활동에 참가할 기회뿐 아니라 좋아하는 작가와 신인 작가를 만날 기회도 제공합니다. • 영국에서 연애 소설만을 위해 열리는 '유일한' 대회입니다. • 올해의 축제는 11월 8일부터 10일까지 열립니다. • 모든 축제 행사를 위한 표가 현재 판매 중입니다. • 여러분이 좋아하는 작가 중 누가 참석하는지를 저희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하세요. 연락처 면에 있는 양식을 사용하여 온라인으로 연락해 주세요. 11월까지 못 기다리겠다고요? 저희 온라인 커뮤니티 www. romanticfiction.org에서 일년 내내 연애 소설에 관해 논하고 블로그에 글을 쓸 수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마세요.
19영독 T1-10::Lakota Elementary's Father-Daughter Dance Join us and celebrate an evening with your special little girl! • When: Saturday, Feb. 23 6:00 p.m. - 7:30 p.m. • Where: Lakota Auditoria • Who: Kindergarten - 4th Grade • Cost: $20 per couple and $5 for each additional daughter • Note: – Tickets include cotton candy, lemonade, and a 5×7 photo of the couple. – Daughters may be escorted by dad, grandpa, uncle, or any special person who fits that role. – Fill out the sign-up form and return it to school with payment by Feb. 21 to receive tickets before the day of the event. – Tickets can also be purchased that evening. For more information, contact us at www.lakotadance.com.::Lakota 초등학교의 아버지와 딸을 위한 무도회 저희와 함께하셔서 여러분의 특별한 어린 딸과 함께 하루 저녁을 기념하세요! •언제: 2월 23일 토요일 오후 6시 ~ 오후 7시 30분 •어디: Lakota 강당 • 누구: 유치원생~4학년 • 비용: 커플 당 20달러이며 추가 인원(딸) 한 명 당 5달러 • 유의 사항: – 입장권에는 솜사탕, 레모네이드, 그리고 5×7(인치) 크기의 커플 사진 한 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딸들은 아버지, 할아버지, 삼촌, 또는 그 역할에 적합한 어떠한 특별한 분과도 동행할 수 있습니다. – 행사 당일 전에 입장권을 수령하기 위해 신청 양식을 작성하셔서 지불할 금액과 함께 2월 21일까지 학교로 회송해 주세요. – 입장권은 당일 저녁에도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시면, www.lakotadance.com으로 연락주세요.
19영독 T1-11::Altering, changing or adding to jewellery is not a new or eco-friendly phenomenon. Until recently, it would probably not have been done in an attempt to save the environment, but it is an activity which has been around for centuries for other reasons. In her book Jewels and Jewellery, Clare Phillips devotes one section about antique jewellery to just this practice. From the 17th century onwards, it was not uncommon for the wealthy to change their jewellery by having stones reset and melting down the precious metal surrounds to fashion them differently. 'As a result of this practice it is only a very small proportion of jewellery from any period that has survived to the present day, although many pieces contain some elements from a succession of earlier jewels.'::보석을 개조하거나, 바꾸거나, 그것에 덧붙이는 것은 새롭거나 친환경적인 현상이 아니다. 최근에서야 그것은 어쩌면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시도로 이루어졌지만, 그것은 다른 이유로 수 세기 동안 있어 왔던 행위이다. Clare Phillips는 자신의 책 'Jewels and Jewellery'에서, 골동품 보석에 관한 한 섹션을 오로지 이런 관행에 관해서 다루는 데 할애한다. 17세기부터 계속해서, 부유한 사람들이 보석을 다르게 만들기 위해 보석을 고쳐 끼우고 귀금속의 가장자리 장식을 녹임으로써 자신의 보석에 변화를 주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었다. '이런 관행의 결과 비록 많은 보석이 일련의 예전 보석에서 가져 온 일부 요소를 포함하고는 있지만, 오늘날까지 남아있는 것은 어느 시기의 보석일지라도 극소수에 불과하다.'
19영독 T1-12::The strategies and responses of human populations to massive outbreaks of disease have been remarkably similar. Because illness was so often to divine providence, many societies developed ceremonies, sacrifices, and processions designed to appease the gods. In Christian communities one of the most common responses to the appearance of epidemic disease was the organization of religious processions during which clergy and laypeople removed the images of saints from their churches and carried them through the streets of the community, praying for divine mercy. During an epidemic in Paris in 1466, for example, thousands turned out to watch the remains of Saints Crepin and Crepinien being paraded through the streets. Ironically, bringing large numbers of people together for public gatherings actually facilitated the spread of contagious illnesses and may, in fact, have worsened epidemics in many cases.::질병의 대규모 발생에 대한 인간의 전략과 대응은 매우 유사한 모습을 보여 왔다. 질병을 신의 섭리 탓으로 돌리는 일이 매우 흔했기 때문에, 많은 사회가 신을 달래기 위해 만들어진 의식, 제물 바치기, 그리고 행진을 발전시켰다. 기독교 공동체에서 감염병의 출현에 대한 가장 흔한 대응 중 한 가지는, 성직자들과 평신도들이 신의 자비를 위해 기도하면서 자신들의 교회에서 성자의 그림을 떼어서 그것을 들고 그 지역 사회의 거리를 누비고 다니는 종교적 행진을 조직하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1466년에 파리에서 감염병의 발생 중에, 성인 (聖人) Crepin과 Crepinien의 유해를 들고 거리에서 줄지어 행진 하는 것을 보기 위해 수천 명이 모습을 드러냈다. 역설적이게도, 공공 집회를 위해 대규모의 사람들을 집합시키는 것이 실제로는 감염병의 확산을 촉진했으며 실은 여러 경우에서 감염병을 악화시켰을 수 있다.
19영독 T1-13::Liam's solid weight felt good in Tucker's arms. His son had grown a lot taller in two years. He had spindly arms and legs that promised a lot more length as the years passed, a few missing teeth and eyes like saucers beneath a shock of brown hair that never wanted to stay down. And growing a little older certainly hadn't made him any less inquisitive. Tucker couldn't help smiling as he remembered all the questions his son had bombarded him with over the past two days. "Where are we going, Daddy? What are we going to do now? What would happen if I could play basketball like Chris Webber? Am I ever going back to the Boyers'?" That was the only question that had given Tucker significant pause. He'd asked Liam if he wanted to go back, while trying not to give away how much the answer meant to him. Fortunately his son hadn't hesitated. "Nah, I want to stay with you," he'd said, his voice full of conviction.::Liam의 묵직한 체중이 Tucker의 팔 안에서 기분 좋게 느껴졌다. 그의 아들은 2년 사이에 키가 훨씬 더 컸다. 그는 세월이 흐르면서 훨씬 더 길어질 것 같은 가늘고 긴 팔과 다리, 몇 개의 빠진 이, 그리고 결코 가라앉아 있으려 하지 않는 부스스한 갈색 머리칼 아래에 접시같이 둥근 눈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나이가 조금 더 들었어도 그는 확실히 호기심이 조금도 줄지 않았다. Tucker는 지난 이틀 동안 그의 아들이 그에게 퍼부은 모든 질문들을 떠올리면서 미소 짓지 않을 수 없었다. "아빠, 우리 어디 가는 거예요? 우리 이제 뭐 할 거예요? 제가 Chris Webber처럼 농구를 할 수 있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저는 언젠가 Boyer 식구들에게로 다시 돌아가게 되나요?" 그것은 Tucker가 상당히 주저하게 만들었던 유일한 질문이었다. 그는 Liam에게 그가 돌아가기를 '원하는지' 물어보았었는데, 그러면서 그 대답이 그에게 얼마나 큰 의미를 갖는지 드러내지 않으려고 노력했다. 다행히 그의 아들은 주저하지 않았었다. "아니요, 아빠와 함께 있고 싶어요"라고 그는 확신에 찬 목소리로 말했다.
19영독 T1-14::Although modern medicine was founded in the 19th and 20th century as a science based on objective facts and experimental methods, one still doubts whether or not it is possible to describe health sufficiently in mere scientific categories. Obviously, our understanding of health and disease is not exclusively bound to the sphere of genes, molecules, proteins, cells, tissues and organs. There is no stamp on natural things which reveals them as "healthy" or "diseased." It is the human ability to judge on physical and psychical states bringing health and disease into being. We need scientific knowledge to develop efficient medical therapies — and we need reflection on the conceptual framework to clear the question, which of the physical and mental states are diseases. As a consequence of this peculiar relationship of descriptive and normative issues, our understanding of health is clearly influenced by philosophical, cultural and historical conceptions (and misconceptions).::비록 현대 의학이 객관적인 사실과 실험적인 방법에 근거한 과학으로 19세기와 20세기에 창시되었지만, 단순히 과학적인 범주 내에서 건강을 충분히 기술하는 것이 가능한지 아닌지에 관해 여전히 의혹이 있다. 분명히, 건강과 질병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오로지 유전자, 분자, 단백질, 세포, 조직, 그리고 (신체) 기관의 영역에만 얽매여 있지 않다. 자연적인 것에 '건강한' 혹은 '병든'이라고 드러내는 표지는 없다. 건강과 질병을 성립시키는 것은 신체적 상태와 정신적 상태로 판단하는 인간의 능력이다. 효율적인 의학적 치료법을 개발하기 위해 우리는 과학적 지식이 필요하며, 신체적이고 정신적인 상태 중 어떤 것들이 질병인지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념적인 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기술적 및 규범적 문제 간의 이러한 특이한 관계의 결과로, 건강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분명히 철학적, 문화적, 역사적 관념(그리고 오해)의 영향을 받는다.
19영독 T1-15::Self-defeating students are no laughing matter, but games are a little different from studying because games make it easy for us to redefine what we consider a success. When performing a stunt in the skateboarding game Skate 2, it is possible to fail in any number of ways (falling over, colliding with walls, finding program glitches, landing headfirst in a trashcan, etc.). Some players go as far as to share their most spectacular failures online. These players are nominally acting in self-defeating ways by not pursuing the official goal of Skate 2, but a more accurate description would be that they are repurposing the game by creating a new goal for themselves.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game does not enforce its goal too strongly and hence refrains from punishing players too harshly for failure.::자기 패배적 성향의 학생은 웃을 일이 아니지만, 게임은 우리가 무엇을 성공이라고 생각하는지를 다시 정의하는 것을 쉽게 만들어 주기 때문에 공부와는 약간 다르다. 스케이트보드 게임인 'Skate 2'에서 묘기를 부릴 때, (넘어지기, 벽에 부딪히기, 프로그램의 결함을 발견하기, 쓰레기통에 머리부터 떨어지기 등등) 여러 가지 방식으로 실패하는 것이 가능하다. 몇몇 플레이어들은 자신의 가장 극적인 실패를 온라인에서 공유하기까지 한다. 이런 플레이어들은 'Skate 2'의 공식 목표를 추구하지 않음으로써 겉보기에는 자기 패배적인 방식으로 행동하고 있지만, 그들이 스스로 새로운 목표를 창조해 냄으로써 그 게임을 용도 변경하고 있다는 것이 더 정확한 설명일 것이다. 이 게임이 그 목표를 너무 강하게 강요하지 않고 있고 이런 이유로 실패에 대해 플레이어들을 너무 가혹하게 처벌하는 것을 삼가기 때문에 이런 일이 가능하다.
19영독 T1-16::Not doing things in good time is one of the most common reasons that students fail in higher education. One of the common explanations given by students for not completing required coursework is "I did not feel like reading that chapter last night. I just did not have the energy." Students often perceive a textbook as a huge, insurmountable obstacle that sits on their desk softly whispering their name just to make them feel guilty every time they walk past it. The solution to this is to remember that that off-putting book is made up of smaller bits. You may even find some of those passages interesting! Just do a few pages at a time and read the introduction. Break the 'big, fat, terrible book' down into sections that you feel are more manageable and read through one at a time. Who knows, you may even like the stuff they talk about in there! You could become hooked and love it. You'll never know until you start, though.::미리 일을 하지 않는 것은 학생들이 고등교육에서 실패하는 가장 흔한 이유 중 하나이다. 필수 학습과제를 완수하지 못한 데 대해 학생들이 흔하게 대는 이유 중의 하나는 "어젯밤에 그 장을 읽고 싶지 않았어요. 제게는 단지 그럴 만한 에너지가 없었어요."이다. 학생들은 자주 교과서를 거대하고 극복할 수 없는 장애물로 보는데, (그 교과서는) 책상 위에 놓여 부드럽게 학생들의 이름을 속삭이며 그들이 책 옆을 지나갈 때마다 죄의식을 느끼게만 한다. 이것에 대한 해결책은 그 좋아하기 힘든 책이 더 작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다. 여러분은 그 구절 중 몇 개는 흥미롭다는 것을 알게 될지도 모른다! 한 번에 몇 페이지만 하고 도입부를 읽어보라. '크고 두껍고 끔찍한 책'을 여러분이 더 감당할 수 있다고 느끼는 부분으로 쪼개고 한 번에 한 부분을 꼼꼼히 읽어보라. 그것들(책의 일 부분)이 거기서 말하는 내용을 여러분이 좋아하기까지 할지 누가 알겠는가! 여러분은 (거기에) 빠져서 그것을 좋아하게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여러분이 시작할 때까지는 결코 알 수 없을 것이다.
19영독 T1-17::It is tempting to think that most writing problems would be solved if the writer could view the writing as if it were produced by another person. The discrepancy between the understanding of the writer and that of the audience is the single greatest impediment to accurate communication. To overcome this barrier, you must consider your audience's needs. By the time you begin drafting, most, if not all, of your ideas would be attaining coherent shape in your mind, so that virtually any words with which you try to express those ideas will reflect your thoughts accurately — to you. Your readers, however, do not already hold the conclusions that you have so painstakingly achieved. If you omit from your writing the material that is necessary to complete your readers' understanding of your argument, they may well be unable to supply that information themselves.::저자가 글을 다른 사람에 의해 작성된 것처럼 볼 수 있다면 대부분의 글쓰기 문제는 해결되리라 생각하는 것은 솔깃한 일이다. 저자의 이해와 독자의 이해 사이의 불일치는 정확한 소통에 유일한 가장 큰 장애이다. 이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 여러분은 자기 독자의 필요를 고려해야 한다. 여러분이 초고를 쓰기 시작할 때쯤, 여러분의 생각 중 전부는 아닐지라도 대부분이 여러분의 머릿속에서 일관성이 있는 형태를 이루고 있을 것이어서, 여러분이 그 생각을 표현하려고 하는 거의 어떤 단어들도 여러분에게는 여러분의 생각을 정확히 반영할 것이다. 하지만 여러분의 독자들은 여러분이 매우 공들여 얻은 그 결론을 이미 가지고 있지 않다. 여러분이 글에서 여러분의 주장에 대한 독자들의 이해를 완성하는 데 필요한 자료를 생략한다면, 그들은 아마도 그 정보를 스스로 제공할 수 없을 것이다.
19영독 T1-18::Convenience does not always refer to the store that is closest to home. In fact, the most convenient grocery store might not be the one closest to your house but the one on your route home from work. The most convenient dry cleaner could be the one beside your kids' school, and the most convenient restaurant might be the one next door to the movie theater. One-stop shopping can also be a convenient way to buy, even if you have to drive farther to get to the store. For example, for many people Walmart is not the closest discount clothing store, grocery store, hairdresser, or electronics retailer. But a single trip to Walmart allows a busy family to visit all of those "stores" at once, which is convenient.::편리가 항상 집에 가장 가까운 가게를 말하는 것은 아니다. 사실, 가장 편리한 식품점은 집에 가장 가까운 것이 아니라 직장에서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가장 편리한 세탁소는 아이의 학교 옆에 있는 것일 수 있고, 가장 편리한 식당은 극장 옆에 있는 것일 수도 있다. 원스톱 쇼핑도, 비록 그 가게에 가기 위해 더 멀리 운전을 해야 할지라도, 물건을 사는 편리한 방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많은 사람들에게 월마트는 가장 가까운 할인 의류점이나, (가장 가까운) 잡화점, (가장 가까운) 미용실, (가장 가까운) 전자제품 소매점이 아니다. 하지만 월마트에 한 번 가는 것은 바쁜 가족에게 그 모든 '가게들'을 한 번에 방문하도록 해주며, 그것이 편리한 것이다.
19영독 T1-19::It's a common misconception that someone who's good at math is someone who can compute quickly and accurately. But mathematics is a broad discipline, and there are many ways to be smart in math. Some students are good at seeing relationships among numbers, quantities, or objects. Others may be creative problem solvers, able to come up with non-routine ways to approach an unfamiliar problem. Still others may be good at visually representing relationships or problems or translating from one representation to another — from a graph to a table, or from an equation to a graph, for example. All of these students — and others — should have the opportunity to access mathematics from different entry points and become successful math students.::수학을 잘하는 사람은 계산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사람이라는 것은 흔한 오해이다. 하지만 수학은 광범위한 과목이고 수학을 잘하는 데는 많은 방법이 있다. 어떤 학생들은 숫자, 양, 또는 물체 사이의 관계를 보는 것을 잘한다. 다른 학생들은 친숙하지 않은 문제에 접근하는 통상적이지 않은 방법을 생각해 낼 수 있는,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일지도 모른다. 또 다른 학생들은 관계나 문제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나 예를 들어 그래프를 표로 또는 방정식을 그래프로 옮기는 것과 같이 하나의 표현을 다른 표현으로 옮기는 것을 잘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이러한 모든 학생들(그리고 다른 학생들)은 각기 다른 진입점으로부터 수학에 접근할 기회를 가지고 수학을 잘하는 학생이 될 것이다.
19영독 T1-20::Think of a large bucket of water with a tiny hole in the bottom. Water drips out, a tiny bit, with each drip. You know that the surface of the water in the bucket is going down, even though you can't see it moving. You know that because each of those tiny drops is taking away a tiny bit of water, a negligible amount on its own, but over time many drops will add up to something noticeable. Now picture an eight-year-old boy. Measure his height one day to the next and you won't notice a difference, but you know that over time he gets taller. Thinking of the water and the boy at the same time is comparing two parts of common sense most people don't think of at the same time. They share the idea of tiny, unnoticeable changes adding up to something significant over time.::바닥에 작은 구멍이 있는 큰 물통을 생각해보라. 물방울마다 아주 조금씩 물이 똑똑 떨어져 빠져나간다. 여러분은 물통의 수면이 움직이는 것을 볼 수는 없지만, 그것이 내려가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 작은 물방울 각각이 물의 조그만 일부분을 뺏어가고 있기에, 단독으로는 무시할만한 양이지만, 오랜 기간에 걸치면 많은 물방울이 되어 결국 눈에 띄는 무엇이 되리라는 것을 여러분은 알고 있다. 이제 여덟 살 난 남자아이를 상상해보라. 하루하루 그의 키를 측정해보면 차이를 알아챌 수 없겠지만 오랜 기간에 걸쳐 그가 더 커진다는 것을 여러분은 안다. 물과 남자아이를 동시에 생각하는 것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함께 생각하지 않는 상식의 두 부분을 비교하는 것이다. 그들은 작고 눈에 띄지 않는 변화가 오랜 기간에 걸쳐 결국 의미 있는 무언가가 된다는 개념을 공통으로 가지고 있다.
19영독 T1-21::Sally grabbed a pencil, pulled out her notes, found an interesting idea to use to prime the pump, and just started writing. She wrote down the first thing that popped into her mind related to her writing topic. The ideas that began to appear on the page were strange and disjoined at first; however, as she continued to write, she started to get a sense of where she wanted to go with the paper. And the more she wrote, the more the ideas seemed to flow onto the page. In about seven minutes, she had three pages of scribbled words, sentences, half sentences, and even diagrams. Much of what she wrote was garbage; however, in that pile of garbage, she found three very good ideas that she had not previously considered. Also, out of her pile of garbage, she began to see a structure for her paper that she had not previously considered. Her conscious mind could now see how the parts might be put together to create a logical whole.::Sally는 연필을 쥐고 메모지를 꺼내어 마중물을 붓기 위해(글쓰기의 시작에 도움을 주기 위해) 사용할 흥미로운 생각을 찾아, 그저 쓰기 시작했다. 그녀는 자신의 글쓰기 주제와 관련되어 제일 먼저 머릿속에 떠오르는 것을 적었다. 그 페이지에 드러나기 시작한 생각은 처음에는 이상했고 (주제와) 동떨어졌지만, 그녀가 계속 써 내려가자 그 논문으로 자신이 어디에 가려고 하는지 감을 잡기 시작했다. 그녀가 더 많이 쓸수록, 생각이 페이지 위에 더 많이 넘쳐흐르는 것처럼 보였다. 대략 7분 뒤에, 그녀는 휘갈겨 쓴 단어, 문장, 반쯤 만들어진 문장, 그리고 심지어 도표를 세 페이지 분량으로 가지고 있었다. 그녀가 쓴 것 중 많은 것이 쓰레기였지만, 그 쓰레기 더미 중에 서 그녀는 이전에 고려한 적이 없었던 매우 좋은 생각을 세 가지 발견했다. 또한, 그녀는 자신의 쓰레기 더미로부터, 이전에 고려한 적이 없었던 자기 논문의 구조가 보이기 시작했다. 그녀의 의식은 이제 그 일부분들이 어떻게 조립되어 논리적인 전체를 만들게 될지 볼 수 있게 되었다.
19영독 T1-22::Regression to the mean was defined by Francis Galton in 1886 as "each peculiarity in a man is shared by his relatives, but on the average to a lesser degree." His definition meant that a very tall man was likely to have shorter brothers and shorter sons and a very short man taller brothers and taller sons. The concept has been extended to describe the change in variables through time that results from selection at the start. Many examples of regression to the mean exist and a good example is provided when blood pressures are measured. Subjects with pressures initially higher than the mean tend to have lower pressures on the second occasion and those with starting lower blood pressures than the mean tend to be higher on the second occasion. Therefore, if you select a group of hypertensive patients on the basis of their high blood pressures, their measurements will certainly be lower on the second occasion owing simply to this regression-to-the-mean phenomenon. This fall in pressure and loss of repeatability should occur both in an actively treated and a control group and the provision of the control group will prevent the effect being ascribed to active treatment.::평균으로의 회귀란 '한 사람이 가지고 있는 각각의 특이성은 그의 일가에 의해 공유되지만, 평균적으로 정도가 덜하게 공유된다'라는 것으로 1886년 Francis Galton에 의해 정의되었다. 그의 정의는 매우 키가 큰 사람은 더 작은 형제들과 더 작은 아들들을, 키가 매우 작은 사람은 더 큰 형제들과 더 큰 아들들을 가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 그 개념은 확장되어서 처음 선별에서 비롯되는 시간 경과에 따른 변수의 변화를 설명해 왔다. 평균으로의 회귀의 많은 예가 존재하며, 한 가지 좋은 사례가 혈압이 측정될 때 제공된다. 처음에 평균보다 혈압이 높은 실험 대상자들은 2차 측정 시 혈압이 더 낮아지는 경향이 있고 평균보다 더 낮은 혈압으로 시작한 사람들은 2차 측정 시 더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그들의 높은 혈압에 근거하여 고혈압 환자 그룹을 선별하는 경우, 단순히 이 평균으로 회귀하는 현상 때문에 2차 측정 시 그들의 측정치가 분명 더 낮아질 것이다. 이렇게 혈압이 떨어지고 반복성이 상실되는 것은 적극적으로 치료를 받은 집단과 통제 집단 모두에서 발생할 것이고 통제 집단의 제공은 그 효과가 적극적인 치료 탓으로 돌려지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19영독 T1-23::Bruce Abernethy, working with a group from Brunel University London, used fMRI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to examine the brains of elite badminton players as they exercised their skills of anticipation. They scanned players of various skill levels as they watched occluded clips of shots being played (the video clips would cut off just before contact was made with the shuttlecock) and tried to predict in which area of the court the shots would land. The expert players showed more brain activity in areas of the brain associated with observing and understanding other people's actions. One theory is that this activity represents the brain filling in the gaps and creating an 'internal model' — a guess as to what's about to happen based on the movements of the opponent. The more experience an athlete has, the better they are at doing this. A few years later, the same group at Brunel did a similar study with footballers, who watched occluded clips of an opponent running towards them with the ball. In some clips, the players would start a feint just before the video cut off, and the footballer in the scanner would have to predict whether they would go left or right. The earlier the clips were cut off, the bigger the difference in neural activity between semipro and novice footballers on fMRI scans.::Brunel University London의 팀원들과 함께 연구하는 Bruce Abernethy는 엘리트 배드민턴 선수들이 예측 기술을 발휘할 때 그들의 뇌를 검사하기 위해 fMRI(기능 자기공명영상)를 사용했다. 그들은 다양한 기술 수준의 선수들이, 셔틀콕을 치는 장면이 담긴 차단 동영상이 상영되는 것을 시청하면서 (그 동영상들은 셔틀콕과 접촉이 이루어지기 직전에 저절로 멈추곤 했다) 친 셔틀콕이 코트의 어느 곳에 떨어질 것인지 예측하려고 애쓰는 동안 그들을 정밀 촬영했다. 숙련된 선수들은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관찰하고 이해하는 것과 관련된 뇌 영역에서 더 많은 뇌 활동을 보여주었다. 한 가지 이론은 이 활동이 두뇌가 공백을 메우고 '내적 모형'을 만드는 것, 즉 상대방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앞으로 일어날 일에 대한 추측을 하는 것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선수는 경험이 많을수록 이것을 더 잘 해낸다. 몇 년 후에, Brunel 대학에서 같은 연구팀이 축구선수들을 대상으로 유사한 연구를 했는데 그 선수들은 상대 선수가 공을 가지고 자신들을 향해 달려오는 차단 동영상을 시청했다. 일부 동영상에서, 선수들은 동영상이 저절로 멈추기 직전 상대방을 속이는 동작을 시작하곤 했고 진단 장치 속 축구선수는 그들이 왼쪽이나 오른쪽 중 어디로 갈지를 예측해야 하곤 했다. 동영상이 일찍 중단될수록, fMRI 정밀 촬영에서 준 프로 축구선수와 초보 축구선수 사이의 신경 활동의 차이가 더 컸다.
19영독 T1-25::Why do normally responsible adults like you and me check out of reality so completely when we're under the spell of a compelling story? That's something evolutionary biologists have been wondering about for a long time, and with good reason, because staying up all night to finish reading that novel was definitely counterproductive. But hey, at least you survived to see the dawn. Back in the Stone Age, making it through the night was a much riskier proposition, and putting reality on hold for even a moment left you vulnerable to all sorts of pouncing predators, human or otherwise. In other words, getting lost in a story could be deadly, which is why scientists figured there had to be a good reason for it, or else natural selection would have weeded out those of us prone to getting lost in a story faster than you can say, "Just one more chapter, I promise!" There is a good reason. Story was the world's first virtual reality. It allowed us to step out of the present and envision the future, so we could plan for the thing that has always scared us more than anything: he unknown, the unexpected. What better way to figure out how to outsmart those potential pouncing predators before they sneak up behind you? Sure, being in the "now" is a good idea sometimes, but if you were always in the now you wouldn't even know there was a tomorrow, let alone be able to speculate on the dangers and delights that might be lurking there. Stories let us indirectly try out difficult situations we haven't yet experienced to see what it would really feel like, and what we'd need to learn in order to survive. So it's no surprise that there's never been a society on earth that didn't have storytelling. It's a human universal, which probably should have clued us into the fact that there might be a little bit more to it than just a great way to spend a rainy Saturday afternoon or a long night before a big meeting.::왜 여러분과 나와 같은 정상적으로 책임감 있는 어른들이 흥미진진한 이야기에 매료되어 있을 때 '정말로' 그토록 완전히 현실에서 나가는 것일까? 그것은 진화 생물학자들이 오랫동안 궁금해해 온 것이며 그 이유가 지극히 타당한데 그 소설을 다 읽기 위해 꼬박 밤을 새우는 것은 분명히 역효과를 낳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그래도, 어쨌든 여러분은 살아남아서 새벽을 보긴 했다. 과거 석기 시대에는, 밤을 새워서 하는 것은 훨씬 더 위험한 일이었고, 심지어 단 한 순간 동안이라도 현실을 보류하는 것은 인간이든 혹은 그 밖의 다른 것들이 든 온갖 덮쳐오는 포식자에게 여러분을 공격받기 쉽게 만들었다. 다시 말하면, 이야기에 몰두하는 것은 목숨을 앗아갈 수 있고, 이로 인해 과학자들이 그것에 대한 타당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그렇지 않으면 자연 선택이 여러분이 "딱 한 장만 더 읽을게, 약속해"라고 말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빠르게 우리 중에서 이야기에 몰두하는 경향이 있는 사람들을 제거했을 것이다. 타당한 이유가 있다. 이야기는 세상 최초의 가상 현실이었다. 그것은 우리가 현재에서 벗어나 미래를 상상하게 해주었고, 그래서 우리는 항상 어떤 것보다 우리를 더 두렵게 했던 것, 즉 알지 못하는 것, 예상치 못한 것에 대해 계획을 세울 수 있었다. 덮칠 가능성이 있는 그 포식자들이 여러분 뒤로 몰래 다가가기 전에 그것들보다 한 수 앞설 방법을 알아내는 데 (이보다) 더 좋은 방법이 무엇이겠는가? 물론, '현재'에 있는 것이 '때로는' 좋은 생각이지만, 만약 여러분이 '항상' 현재에 있다면, 여러분은 내일에 숨어 있을지 모르는 위험과 즐거움에 대해 추측할 수 있기는커녕 내일이 있다는 것조차 알지 못할 것이다. 이야기는 우리가 아직 경험하지 못한 어려운 상황을 간접적으로 체험하도록 해주어 그것이 '정말로' 어떻게 느껴지는지 그리고 살아남기 위해 우리가 무엇을 배워야 할 것인지를 알게 해준다. 그러므로 지구상에 스토리텔링이 없던 사회가 결코 없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보편적 특성이며, 이것이 아마 단지 비 오는 토요일 오후나 큰 회의 전 긴 밤을 보내기 위한 좋은 방법 이상의 뭔가가 그것에 좀 더 있을 것이라는 사실에 대한 해결의 실마리를 우리에게 제공해주었을 것이다.
19영독 T1-28::William Beaumont, an army surgeon, was part of a peace-keeping force the United States Army stationed on Mackinac Island. The ambitious Dr. Beaumont felt that his talents were wasted on the calm little island. But then along came Alexis St Martin and the doctor's peaceful life changed forever. Alexis St Martin was a carefree, adventure-loving youth. He had been hired as a voyageur by the American Fur Trading Company. On June 6, 1822, St. Martin was relaxing in the company store. Nearby a drunken voyageur toyed with his newly purchased gun. Suddenly the gun went off. A full load of buckshot ripped into St. Martin's body just below his chest. Dr. Beaumont raced to the youth's side. A huge hole penetrated St. Martin's abdomen. Part of his stomach and part of one lung hung out of the hole. Beaumont fully expected him to die. But St. Martin did not. His wound healed in a peculiar way. Rather than settling back into the abdomen, his stomach attached itself to the chest wall. Scar tissue formed around his wound, but the hole remained open. A loose flap of stomach lining hung over it like a shade pulled over a window. By pushing aside the flap, Dr. Beaumont could see inside St. Martin's stomach. Beaumont recognized a rare opportunity that he couldn't pass. Curious about digestion and how the body processed food, he proposed a series of painless experiments to St. Martin. No longer having the strength to work as a voyageur, and dependent on the doctor for food and shelter, he agreed. In one experiment, Beaumont tied tiny bits of food to silk threads and lowered them through the hole into St. Martin's stomach. Now and then he lifted them out, observed the state of digestion, and then returned them to the stomach. In other tests, Beaumont extracted, analyzed, and experimented with stomach juices. For twelve years, Dr. Beaumont conducted experiment after experiment. He became a respected and admired authority across North America and Europe. His findings startled doctors and scientists, and led to the development of a new branch of science — nutrition, the study of food and how the body uses it. But what of St. Martin? For fifty-eight years after the accident, he continued to be a medical wonder. He received dozens of invitations to appear before interested groups and show his now famous hole. The fees that he collected helped support his growing family.::군의관인 William Beaumont는 미 육군이 Mackinac 섬에 주둔시킨 평화 유지군의 일원이었다. 야심 있는 의사 Beaumont는 자신의 재능이 그 조용하고 작은 섬에서 낭비된다고 느꼈다. 하지만 그때 Alexis St Martin이 나타났고 그 의사의 평화로운 삶이 영원히 바뀌었다. Alexis St Martin은 태평스럽고 모험을 좋아하는 청년이었다. 그는 미국 모피 무역 회사의 뱃사공으로 고용돼 있었다. 1822년 6월 6일, St Martin은 회사의 상점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었다. 근처에서 술 취한 뱃사공이 자신의 새로 산 총을 만지작거리고 있었다. 갑자기 총이 발사되었다. 산탄 한 발이 고스란히 다 St Martin의 가슴 바로 아래쪽 몸통을 찢고 들어갔다. 의사 Beaumont가 청년 곁으로 달려갔다. 커다란 구멍이 St Martin의 복부를 관통했다. 그의 위 일부와 한쪽 폐 일부가 구멍에서 빠져 나와 매달려 있었다. Beaumont는 전적으로 그가 죽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St Martin은 죽지 않았다. 그의 상처는 독특한 방식으로 아물었다. 배 속으로 돌아가 자리를 잡는 대신, 그의 위는 가슴 벽에 들러붙었다. 그의 상처 주위에 흉터 조직이 생겼지만, 구멍은 여전히 열려 있었다. 창문에 쳐진 차양처럼 위벽의 늘어진 피부 판이 구멍 위에 덮여 있었다. 피부 판을 밀어젖힘으로써 의사 Beaumont는 St Martin의 위 안쪽을 볼 수 있었다. Beaumont는 자신이 지나칠 수 없는 드문 기회를 인식했다. 소화 작용과 인체가 음식물을 처리하는 방식이 알고 싶던 그는 St Martin에게 일련의 고통 없는 실험을 제안했다. 그는 더는 뱃사공으로 일할 힘이 없고, 그 의사에게 음식과 거처를 의존하고 있어서 동의했다. 한 실험에서, Beaumont는 아주 작은 음식 조각들을 비단실로 묶고, 그것들을 구멍을 통해 St Martin의 위로 내려 보냈다. 때때로 그는 그것들을 들어 올리고, 소화 상태를 관찰한 다음, 위로 되돌려 보냈다. 다른 실험에서, Beaumont는 위액을 추출하여 분석하고 실험했다. 12년 동안, 의사 Beaumont는 실험에 실험을 거듭했다. 그는 북미와 유럽 전역에서 존경 받고 칭송 받는 권위자가 되었다. 그의 연구 결과는 의사와 과학자들을 깜짝 놀라게 했고 음식물과 인체가 그것을 사용하는 방식을 연구하는 학문인 영양학이라는 새로운 과학 분야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그런데 St Martin은 어떻게 되었는가? 사고 후 58년 동안 그는 의학계의 불가사의로 남아 있었다. 그는 관심 있는 그룹들 앞에 나와 자신의 이제는 유명해진 구멍을 보여 달라는 많은 초청을 받았다. 그가 모은 보수는 그의 늘어나는 가족을 부양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19영독 T2-01::I am writing this letter to you to express my regret and sorrow over what passed between us a few days ago. The frenzy created by the ugly incident has now passed. I hope we are now much saner. You would now agree with me that both of us were in the wrong. In fact, the whole thing was an outcome of a misunderstanding which was created between us by Glenna. Whatever be the reason, I feel that we should forget everything about the incident and start afresh. Let bygones be bygones. We should not allow our long friendship and relationship to be affected by a trifling incident. We are sensible persons and there is no misunderstanding which cannot be cleared when we both sit together. I hope you feel the same about it. How would you feel if you come to my place next Sunday at 5 p.m. and have a cup of tea with me? Looking forward to a positive reply.::며칠 전에 우리 사이에 있었던 일에 대해 후회와 슬픔을 표현하기 위해 너에게 이 편지를 써. 아주 불쾌한 그 사건 때문에 생긴 격앙된 감정은 이제 지나갔어. 나는 우리가 지금은 훨씬 더 분별이 있기를 바라. 우리 둘 다 잘못이 있었다는 것에 대해 이제 너도 나와 의견이 같을 거야. 사실, 이 모든 것은 Glenna에 의해 우리 사이에 빚어진 오해의 결과였어. 이유가 무엇이든 간에, 나는 우리가 그 사건에 대한 모든 것을 잊어버리고 새롭게 시작해야 한다고 생각해. 지난 일은 잊어버리기로 해. 우리의 오랜 우정과 관계가 사소한 사건에 의해 영향을 받게 해서는 안돼. 우리는 분별 있는 사람이고 우리가 둘 다 함께 앉아 있을 때 해소될 수 없는 오해란 없어. 너도 그것에 대해 똑같이 느꼈으면 좋겠어. 다음 일요일 오후 5시에 우리 집에 와서 나와 함께 차 한잔하는 게 어떻겠니? 긍정적인 답변 기대할게.
19영독 T2-02::As Truth sat in the Riverview Hospital waiting area, his palms were wet and his hands were trembling terribly. All his breathing techniques were barely working and Truth wasn't sure how long he could hold up. As the doctors worked on his mother, Truth tried his best to think good thoughts, happy thoughts about his childhood when things were a lot simpler for him. His world on the inside and the world he had collided with here on the outside were so different from one another... or was it that he had forgotten how it was out in this cold brutal world of self-centered strangers? As Truth got up from his seat, one of the doctors approached him. "Excuse me sir, but you are the grandson, yes?" he said. "I'm the son! Yes! Is my mother alright?" Truth asked inquisitively.::Truth가 Riverview 병원 대기실에 앉아 있을 때, 그의 손바닥은 젖어 있었고 그의 손은 심하게 떨리고 있었다. 그의 모든 호흡 기법은 거의 효과가 없었고, Truth는 자신이 얼마나 오래 버틸 수 있을지 확신하지 못했다. 의사들이 그의 어머니를 치료하고 있을 때에, Truth는 좋은 생각, 즉 상황이 자신에게 훨씬 더 단순했던 자신의 어린 시절에 관한 행복한 생각을 하려고 최선을 다했다. 그의 내면 세계와 그가 여기 바깥에서 맞닥뜨린 세계는 서로 너무나도 달랐다. 아니면 자기중심적인 낯선 사람들의 춥고 잔혹한 이 바깥세상이 어떤 세상인지를 그가 잊어버린 것이었을까? Truth가 자신의 자리에서 일어섰을 때, 의사 중 한 사람이 그에게 다가왔다. "선생님, 실례합니다만, 손자분이 맞으시지요"라고 그가 말했다. "저는 아들입니다! 예! 저의 어머님은 괜찮으신가요?" Truth가 캐물었다.
19영독 T2-03::A 3-ton mature whale is a large animal, but in normal contexts even a baby whale is a large animal when compared to most other animals. So, if we argued that Baby Shamu is a whale, and all whales are mammals, therefore, Baby Shamu is a mammal, there wouldn't be a problem. But if we argued that Baby Shamu is a baby, and all babies are small, therefore, Baby Shamu is small, we might cause confusion. A baby whale is far from being a small animal, at least in normal contexts. In the first version of the argument, the property of being a baby was not ambiguous, but in the second version, the property of being small is. The meanings of most words depend on their context; with relative terms, the meaning of the terms derives from their context. Without sufficient context, the reader or listener can misunderstand the intended meaning of the sentence.::중량이 3톤인 다 자란 고래는 거대한 동물이지만, 보통의 상황에서 대부분의 다른 동물들과 비교하면 새끼 고래조차도 거대한 동물이다. 따라서 우리가 Baby Shamu가 고래이고, 모든 고래는 포유동물이며, 그러므로 Baby Shamu가 포유동물이라고 주장한다면,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Baby Shamu가 새끼이고, 모든 새끼는 작으므로, Baby Shamu도 작다고 주장한다면, 우리는 혼란을 일으킬 수도 있다. 새끼 고래는, 최소한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결코 작은 동물이 아니다. 이 주장의 첫 번째 버전에서, 새끼라는 것의 속성은 모호하지 않았으나, 두 번째 버전에서 작다는 것의 속성은 모호하다. 대부분의 단어의 의미는 그 문맥에 의해 좌우되며, 상대적인 용어의 경우, 그 용어의 의미는 그 문맥으로부터 '도출된다'. 충분한 문맥이 없으면, 읽는 사람 혹은 듣는 사람이 그 문장의 의도된 의미를 오해할 수 있다.
19영독 T2-04::Politics cannot be suppressed, whichever policy process is employed and however sensitive and respectful of differences it might be. In other words, there is no end to politics. It is wrong to think that proper institutions, knowledge, methods of consultation, or participatory mechanisms can make disagreement go away. Theories of all sorts promote the view that there are ways by which disagreement can be processed or managed so as to make it disappear. The assumption behind those theories is that disagreement is wrong and consensus is the desirable state of things. In fact, consensus rarely comes without some forms of subtle coercion and the absence of fear in expressing a disagreement is a source of genuine freedom. Debates cause disagreements to evolve, often for the better, but a positively evolving debate does not have to equal a reduction in disagreement. The suppression of disagreement should never be made into a goal in political deliberation. A defense is required against any suggestion that political disagreement is not the normal state of things.::어떤 정책 과정이 사용되든, 그리고 그 정책 과정이 얼마나 민감하고 차이를 얼마나 존중하든, 정치적 견해가 억압될 수 없다. 다시 말해서, 정치적 견해에는 끝이 없다(다양성이 있을 수밖에 없다). 적절한 제도나 지식이나 협의 방법이나 참여 구조가 의견 차이를 사라지게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이다. 온갖 종류의 이론들은, 의견 차이가 사라지게 만들 수 있도록 의견 차이가 처리되거나 다뤄질 수 있는 방법들이 있다는 견해를 조장한다. 그런 이론들의 배경에 있는 전제는 의견 차이가 잘못된 것이고 의견 일치가 상황의 바람직한 상태라는 것이다. 사실, 몇몇 형태의 교묘한 강압이 없이 의견 일치가 이뤄지는 일은 드물고, 이견을 표현할 때에 두려움이 없는 것이 진정한 자유의 원천이다. 논쟁으로 인해 이견들은 자주 더 나은 쪽으로 전개되지만, 긍정적으로 전개되는 논쟁이 의견 차이의 감소를 반드시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의견 차이의 억압은 정치적 고려에서 목표로 삼아져서는 절대 안 된다. 정치적 의견 차이가 상황의 정상적인 상태가 아니라는 어떤 제안에도 맞서는 방어가 요구된다.
19영독 T2-05::A bad mood is like a bad smell. It can't be ignored and it can ruin a group's efforts. Facts don't change mood. Well, perhaps a fact such as winning the lottery will change your mood. But facts like that don't happen often enough to be reliable. When you don't have any facts to improve your mood or your group's mood you need a story. This is one reason why we see movies and read stories — to manage our own moods. I knew of one executive who — when her mood was dangerously close to negatively infecting others — would take off in the middle of the day (secretly, of course) and go see a funny movie. On her return, the facts were the same, but her perspective and attitude were greatly improved. After the investment of a two-hour mood shift she accomplished much more during the rest of the day than she would have accomplished if she had stayed at the office and grumbled and groused at everyone.::나쁜 기분은 나쁜 냄새와 같다. 그것은 무시될 수 없고 그것은 집단의 노력을 망칠 수 있다. 사실은 기분을 바꾸지 않는다. 음, 아마도 복권에 당첨되는 것과 같은 사실은 여러분의 기분을 바꿀 것이다. 하지만 그와 같은 사실은 신뢰할 수 있을 만큼 자주 일어나지 않는다. 여러분의 기분이나 여러분의 집단의 기분을 더 좋게 할 사실을 갖고 있지 않을 때에는 이야기가 필요하다. 이것이 우리가 우리 자신의 기분을 조절하기 위해서 영화를 보고 이야기를 읽는 한 가지 이유이다. 나는 자신의 기분이 다른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데에 위험할 정도로 근접할 때에, 대낮에 (물론, 은밀하게) 급히 빠져나가 재미있는 내용의 영화를 보러 가곤 했던 어느 중역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 알고 있었다. 그녀가 돌아왔을 때, 사실은 같았지만, 그녀의 관점과 태도는 크게 나아졌다. 두 시간 동안 기분 전환에 투자한 후에 그녀는 사무실에 머물러 있으면서 모든 사람들에게 툴툴거리고 불평했을 때 이루어 냈을 것보다 그날의 나머지 시간 동안에 훨씬 더 많은 것을 이루어 냈다.
19영독 T2-06::Think about all of the steps in washing dishes and the order of the steps. Help your child understand the order. First, you have to scrape the food off the plates, then you have to wash them with soap and water. Next, the dishes have to be rinsed. After that, dishes are dried. The last thing to do is to put away the dishes. These kinds of activities where children have to think about what comes first and then second and so on help children's thinking skills grow. Figuring out the order of the actions helps their minds grow. All of these things help your child get smarter! Both you and your toddler may get a little wet and need a sponge mop to clean a puddle on the floor, but think of how much your baby is learning! Think of how proud he feels that he is helping you do something important in your family.::설거지를 할 때의 모든 단계와 그 단계들의 순서에 대해 생각해 보라. 여러분의 아이가 그 순서를 이해하도록 도와주라. 우선, 접시에서 음식물을 긁어낸 다음에, 그것들을 비누와 물로 씻어야 한다. 그 다음에, 접시들을 물로 헹구어야 한다. 그런 후에, 접시들을 말린다. 마지막으로 해야 하는 일은 접시들을 제자리로 치우는 일이다. 가장 먼저 오는 일과 그 다음에 두 번째로 오는 일 그리고 기타 등등의 이어지는 일에 대해 아이들이 생각해야 하는 이러한 종류의 활동들은 아이들의 사고 능력이 발달하는 데 도움이 된다. 행동의 순서를 파악하는 것은 그들의 생각이 발달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 모든 것들이 여러분의 아이가 더 똑똑해지는 데 도움이 된다! 여러분과 여러분의 아이가 둘 다 약간 젖을 수도 있고 바닥에 고인 물을 청소하기 위해 스펀지 걸레가 필요할 수도 있지만, 여러분의 아기가 얼마나 많이 배우고 있는지에 대해 생각해 보라! 여러분의 가정에서 여러분이 중요한 어떤 일을 하는 것을 그가 도와주고 있는 것에 대해 그가 얼마나 자랑스럽게 느낄지에 대해 생각해 보라.
19영독 T2-07::The above graph shows the prevalence of sensory impairments among persons aged 70-79 years and aged 80 years and over from 1999 to 2006 in the United States. The prevalence of all four sensory impairments was higher in the 80 and over age group than in the 70-79 age group. The largest percentage gap between the two age groups was found in hearing impairment. In the 80 and over age group, the prevalence of balance impairment was more than three times greater than the prevalence of visual impairment. The percentage gap between the two age groups in the prevalence of visual impairment was 13.6 percentage points. In both age groups, the prevalence of balance impairment was the highest and the prevalence of visual impairment was the lowest.::위의 그래프는 1999년부터 2006년까지 미국에서의 70세~79세 사람들과 80세 이상의 사람들의 감각 장애 발생 비율을 보여준다. 모든 네 가지 감각 장애 발생 비율은 70세~79세의 연령 집단에서보다 80세 이상의 연령 집단에서 더 높았다. 두 연령 집단 사이의 가장 큰 퍼센트 격차는 청각 장애에서 나타났다. 80세 이상 연령 집단에서 균형 장애의 발생 비율은 시각 장애 발생 비율의 세 배보다 더 많았다. 시각 장애 발생 비율에 있어서 두 연령 집단 사이의 퍼센트 격차는 13.6 퍼센트 포인트였다. 두 연령 집단 모두에서, 균형 장애의 발생 비율이 가장 높았고 시각 장애 발생 비율이 가장 낮았다.
19영독 T2-08::Born in the German-Jewish ghetto of Breslau, Silesia (now Wroclaw, Poland), Ferdinand Cohn was a child prodigy, able to read before the age of two and attending university at age fourteen. However, his first degree was withheld due to his Jewish ancestry and he was unable to obtain a teaching position in Berlin — probably also because of his Jewish roots. Cohn's interest in the microscopic world developed after his father, a successful merchant, gave him an expensive, high-quality microscope. Cohn was nineteen by this time, with a doctorate in botany and a position at the University of Breslau. His new microscope became one of his treasured research tools. He was appointed associate professor of botany in 1859 and by the 1870s was the foremost bacteriologist of his day, attracting many students and young scientists to his lectures. He is now considered to be a founder of the science of bacteriology.::(현재 폴란드의 Wroclaw인) Silesia의 Breslau에 있는 독일계 유대인 집단 거주지에서 태어난 Ferdinand Cohn은 신동으로서, 두 살 이전에 글을 읽을 수 있었고 14세에 대학교에 다녔다. 그러나 그의 학사학위는 그의 유대인 혈통 때문에 수여되지 않았으며 베를린에서 교직을 얻을 수 없었는데, 아마도 (이것도) 또한 그의 유대인 뿌리 때문이었을 것이다. 성공한 상인인 그의 아버지가 값비싼 고품질의 현미경을 준 후 미시 세계에 대한 Cohn의 관심이 생겨났다. Cohn은 이 무렵 열아홉 살이었고, 식물학 박사학위를 가지고 Breslau 대학교에서 근무하고 있었다. 그의 새로운 현미경은 그의 소중한 연구 도구 중 하나가 되었다. 그는 1859년 식물학 부교수로 임명되었으며, 1870년대에 이르러서는 그의 시대에 가장 앞선 세균 학자로서 많은 학생들과 젊은 과학자들을 자신의 강의에 끌어들였다. 그는 지금 세균학이라는 학문의 창시자로 간주되고 있다.
19영독 T2-09::Coffee Packaging Design 2019 Deadline: June 20, 2019 • The registration form is available online. Who may enter: • The competition is open to designers from all over the world. Details: • The Coffee Packaging Design is an annual international competition. • The theme of the Coffee Packaging Design 2019 is Coffee Mania. • You must register with originals of packaging connected with coffee or with coffee culture in any way. – packages for ground coffee, coffee bean, takeaway coffee cups – packaging for coffee sets and coffee ceramics, packaging for coffee desserts and any other packaging related to the subject • The material used for the artwork must be smooth cardboard. Entry fee: free Prizes: 1st place — €3,000 / 2nd place — €1,500 / 3rd place — €1,000 Please visit www.coffeepackage.com to learn more about the competition.::커피 포장 디자인 2019 마감 일자: 2019년 6월 20일 • 등록 양식은 인터넷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참가 자격: • 대회는 전 세계의 디자이너가 참여할 수 있습니다. 세부 사항: • 커피 포장 디자인은 매년 개최되는 국제 대회입니다. • 커피 포장 디자인 2019의 주제는 커피에 대한 열광입니다. • 어떤 방식으로든 커피 또는 커피 문화와 관련된 포장 원본 작품으로 등록해야 합니다. – 가루 커피, 커피 원두, 테이크아웃 커피 컵 포장 – 커피 세트 및 커피 도자기 포장, 커피 디저트 포장 및 그 주제와 관련된 기타 모든 포장 • 예술품에 사용되는 재료는 부드러운 판지이어야 합니다. 참가비: 무료 상금: 1위 — 3,000유로 / 2위 — 1,500유로 / 3위 — 1,000유로 대회에 대해 더 많이 알아보려면 www.coffeepackage.com을 방문하세요.
19영독 T2-11::As with present-day hunter-gatherers, ancient nomadic societies were severely limited to only those objects that they could take with them;. Thus, they tended to develop simple portable technologies for hunting, gathering, cooking, transportation, and defense. Perhaps surprisingly, life does not seem to have been especially hard for hunter-gatherers. The secrets of their success seem to have been populations that did not exceed the food supply, simple and limited material needs, and the ability to move to another area when the local food supply ran out. Nomadic hunter-gatherer societies have persisted into the twentieth century in such diverse environments as the African desert, the tropical rain forest, and the Arctic tundra. Remoteness might be the key to avoiding conversion to more technologically intensive ways of life. For the rest of us, our lives now deeply depend on widespread and complex technological systems.::현대의 수렵 · 채집인과 마찬가지로, 고대 유목민 사회는 몸에 지니고 다닐 수 있는 물건만으로 심하게 제약을 받았다. 따라서 그들은 수렵, 채집, 요리, 운송 및 방어를 위해 간단한 휴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경향이 있었다. 아마도 놀랍게도, 수렵 · 채집인들의 삶이 특히 어려웠던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그들의 성공 비결은 식량 공급을 초과하지 않는 인구, 단순하고 제한된 물질적 욕구, 그리고 현지의 식량 공급이 소진되었을 때 다른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는 능력이었던 것 같다. 유목 생활을 하는 수렵 · 채집인 사회는 아프리카 사막, 열대 우림 및 북극 툰드라와 같은 다양한 환경에서 20세기까지 지속되어 왔다. 외진 곳에 있다는 것이 더욱 기술 집약적인 삶의 방식으로의 전환을 피하는 비결일지도 모른다. 나머지 우리에게 있어서, 우리의 삶은 이제 널리 퍼진 복잡한 기술 시스템에 깊이 의존하고 있다.
19영독 T2-12::It is helpful to think of sports as an art form — as a performing art. Sports share with other cultural expressions an appeal to the emotions, aesthetics, drama, entertainment, and inspiration. The athlete can be considered an artist with a certain amount of self-expression and spontaneity. The athlete must play within rules, of course, but so must a musician or actor. Compared to other arts the sports venues are different, an athlete's use of prohibited drugs may be a factor, and the outcome of a sporting event is always uncertain. An unsure outcome is not the case with plays or musical compositions in which the musician or actor must follow what is written. The athlete may be closer to a jazz player or a writer where the opportunity to improvise is greater. Sports constitute a different sort of art form to be sure, but an art form nonetheless.::스포츠를 예술 형식, 즉, 공연 예술이라고 생각하면 도움이 된다. 스포츠는 감정에 대한 호소, 미학, 드라마, 오락 및 영감을 다른 문화적 표현과 공유한다. 운동선수는 어느 정도 자기표현과 자발성을 가진 예술가로 간주될 수 있다. 물론 운동선수는 규칙 안에서 경기를 해야 하지만, 음악가나 배우도 마찬가지로 그렇게 해야만 한다. 다른 예술에 비해 스포츠가 이루어지는 장소는 다르며, 운동선수가 금지 약물을 사용하는 것은 하나의 요인일 수 있으며, 스포츠 경기의 결과는 항상 불확실하다. 불확실한 결과는, 음악가나 배우가 쓰여진 것을 따라야만 하는 희곡이나 음악 작품에 해당되지 않는다. 운동선수는 즉흥적으로 할 기회가 더 많은 재즈 연주자나 작가에 더 가까울지도 모른다. 스포츠는 확실히 다른 종류의 예술 형식으로 여겨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예술 형식이다.
19영독 T2-13::Samuel Goldwyn, an American film producer, boasted that the greatest living writers were on his team of authors and he would spare no expense to get them, even if his ideas about their output were rather vague. One of the literary celebrities he lured to Hollywood was the Belgian writer Maurice Maeterlinck, winner of the 1911 Nobel Prize for Literature and author of the enormously successful La Vie des Abeilles (The Life of the Bee). When Maeterlinck arrived, fearful of his ignorance of motion-picture technique, Goldwyn reassured him: "I know you don't understand picture technique. That doesn't matter. All I want you to do is just go away and write your greatest book in the form of a scenario." A few weeks later Maeterlinck returned with a manuscript. Goldwyn was delighted and retired smiling happily into his office, taking the manuscript with him to read. A couple of minutes later he rushed out again screaming. "My God," he yelled, "the hero is a bee!"::미국의 영화 제작자인 Samuel Goldwyn은 현존하는 가장 위대한 작가들이 자신의 작가 팀에 속해 있으며, 그들의 작품에 대한 자신의 생각이 다소 불분명할지라도 자신은 그들을 영입하기 위해 비용을 전혀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자랑했다. 그가 할리우드로 유인한 문학의 유명 인사 중 한 명은 1911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이자 엄청난 성공을 거둔 'La Vie des Abeilles'(벌의 생애)의 저자이기도 한 벨기에 작가 Maurice Maeterlinck였다. Maeterlinck가 도착했을 때, 영화 기술에 대한 자신의 무지를 염려하자, Goldwyn은 "당신이 영화 기법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것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제가 당신이 했으면 하고 바라는 것의 전부는 그저 가셔서 시나리오의 형태로 당신의 가장 훌륭한 책을 쓰는 것입니다"라고 그를 안심시켰다. 몇 주 후 Maeterlinck는 원고를 가지고 돌아왔다. Goldwyn은 기뻐서 행복하게 미소를 지으며 자신이 읽어 볼 원고를 가지고서 사무실로 물러났다. 몇 분 후에 소리를 지르면서 그는 다시 밖으로 급히 나왔다. "맙소사, 주인공이 벌이야"라고 그는 외쳤다.
19영독 T2-14::Risk-sharing is a widespread practice in human societies and it represents a potent source of synergy. Our highly institutionalized insurance industry provides a prime example. As Winston Churchill put it, insurance brings "the magic of averages to the rescue of millions." It is a concept that dates back to the so-called "funeral societies" of ancient Greece. Since it is obviously not possible to predict exactly when a person will die, the people of Periclean Athens conceived the idea of banding together and making small annual contributions to cover the funeral expenses for whoever happened to die during the succeeding year, rather than requiring each person to be "self-insured" for the entire amount. Today, we use the same basic principle to insure ourselves at relatively low cost against every conceivable risk, from earthquakes to dental cavities. Indeed, the "futures" markets were developed to insure investors against such diverse economic risks as weather, commodity prices, monetary exchange rates, and a host of other things.::위험 분담은 인간 사회에서 널리 퍼져 있는 관행이며 강력한 시너지 효과의 근원을 나타낸다. 우리의 고도로 제도화된 보험 산업이 아주 좋은 예를 제공한다. Winston Churchill이 표현했듯이 보험은 '수백만 명을 구제하는 평균의 마법'을 가져온다. 그것은 고대 그리스의 소위 '장례 협회'로 거슬러 올라가는 개념이다. 사람이 정확히 언제 죽을지 예측하는 것은 명백히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페리클레스 시대의 아테네 사람들은 각자가 전체 (장례) 비용에 '자가 보험'을 들도록 요구하기보다 다음 해 동안에 사망하는 사람이 누구든 (그의) 장례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단결하여 적은 액수의 연례 개인 분담금을 내도록 하는 아이디어를 생각해냈다. 오늘날 우리는 비교적 낮은 비용으로 지진에서부터 충치에 이르기까지 모든 상상할 수 있는 위험 요소로부터 우리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동일한 기본 원칙을 사용한다. 실제로 날씨, 상품 가격, 화폐 환율 및 기타 여러 가지의 다양한 경제적 위험으로부터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해 '선물' 시장이 개발되었다.
19영독 T2-15::The use of landscape locations to form a memory space is far from uniquely Australian. Indigenous cultures all over the world have experienced their homelands this way. Anthropologist Keith Basso described the way Native American trails served to link every event in the past to a specific location. The associated knowledge was performed and dramatised in ceremonies; the storytelling became a form of theatre. Basso described listening for over ten minutes to an Apache quietly reciting a list of placenames. One well-documented path is a pilgrimage trail covering hundreds of kilometres that connects one of the Pueblo language groups, the Zuni, with a location in the Bandelier National Monument in New Mexico. The names of the shrines along the trail are still recited in narratives restricted to the initiated, which describe the ancient migration routes.::기억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자연 경치의 장소를 사용하는 것은 호주만의 독특한 방식이 절대 아니다. 전 세계의 토착 문화들은 이런 방식으로 자신들의 고향을 경험해 왔다. 인류학자 Keith Basso는 북미 원주민의 길들이 과거의 모든 사건을 특정한 장소와 관련시키는 역할을 하는 방식을 묘사했다. 관련된 지식이 의식에서 공연되고 극화되었는데, 그 구연이 극의 한 형태가 되었다. Basso는 한 아파치족 사람이 조용히 장소 이름의 목록을 암송하는 것을 10분 넘게 들은 것을 묘사했다. 문서에 잘 기록되어 있는 길 하나는, Pueblo 언어 집단의 하나인 Zuni 족을 New Mexico 주의 Bandelier 국립 천연 기념물 내의 어느 장소와 연결하는 수백 킬로미터에 이르는 순례 여행길이다. 길을 따라 있는 성지의 이름들은 비전을 전수받은 사람들에게만 한정된 (사람들만 아는) 이야기에서 여전히 암송되고 있는데, 이것은 고대 이주 경로를 묘사한다.
19영독 T2-16::One way you can show children a little special attention is by putting them into your stories. I have done this with a Bob Hartman story called "The Big Soft Fluffy Bed." I tell the children I'd like to 'borrow' a name for the story and ask for a volunteer. Then I tell the story inserting the child's name at the appropriate points. When I asked a group of children I had worked with periodically over a year what they had enjoyed most about the story work we had done, many of them chose the time I had used Ethan's name to tell a story. Not only Ethan, but many of the other children, too, found that occasion meaningful and exciting. You might pick a child who you feel could do with feeling special that day and use their name. Alternatively, if you are struggling to buil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 particular child, choose them. It will help to assure the child that you notice and think about them.::여러분이 아이들에게 약간 특별한 관심을 보일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은 그들을 여러분의 이야기 속에 넣는 것이다. 나는 'The Big Soft Fluffy Bed'라 불리는 Bob Hartman이 쓴 이야기를 가지고 이것을 해 본 적이 있다. 나는 아이들에게 그 이야기를 위한 이름을 '빌리고' 싶다고 말하고 지원자를 요청한다. 그런 다음 나는 이야기를 하다가 적절한 시점에 그 아이의 이름을 끼워 넣는다. 내가 일 년 동안 주기적으로 함께 수업했던 집단의 아이들에게 우리가 했던 이야기 수업에 관해 그들이 무엇을 가장 즐겼냐고 물었을 때, 그들 중 많은 아이가 내가 이야기를 하기 위해 Ethan의 이름을 사용했던 때를 선택했다. Ethan뿐만 아니라 다른 많은 아이도 그 경우가 의미 있고 흥미진진하다고 생각했다. 여러분은 그날 특별하게 느낄 필요가 있다고 여러분이 생각하는 아이를 고르고 그의 이름을 사용할 수 있다. 혹은 특정한 어린이와 긍정적인 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면 그 아이를 선택하라. 그것은 여러분이 특정한 한 아이를 인지하고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그 아이에게 확신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19영독 T2-17::In school, students rarely learn to view disagreements among scientists as a natural part of the progress of science; most textbooks are written as if science is a set of truths to be memorized. Teachers, especially in America, are under enormous pressure to cover a large number of unrelated science topics each year to prepare their students for accountability tests, which generally measure students' ability to recall facts. When breadth is emphasized over depth, there simply is not time to discuss how the scientific ideas came to be. There is barely time to help students grasp the meaning of the ideas themselves. On the rare occasions when students are exposed to historical ideas about science, those ideas tend to be dismissed with minimal discussion of why they were replaced, or why scientists held them in the first place. Students are left with the impression that scientists held some silly ideas in the past, but now they have them all figured out, and today's scientific theories are true.::학교에서, 학생들은 과학자들 사이의 의견 차이를 과학 발전의 자연스러운 일부로 보는 것을 거의 배우지 않는데, 대부분의 교과서가 마치 과학이 암기되어야 할 일련의 사실인 것처럼 쓰여 있기 때문이다. 특히 미국에서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일반적으로 사실들을 기억해 내는 학생들의 능력을 측정하는 책무성 평가를 준비시키기 위해 매년 많은 수의 관계없는 과학 주제를 다루어야 한다는 엄청난 압박을 받고 있다. 폭이 깊이보다 강조될 때, 과학적 개념들이 어떻게 생기게 되었는지를 토론할 시간이 전혀 없다. 학생들이 그 개념들 자체의 의미를 스스로 파악하도록 도울 시간이 거의 없다. 학생들이 과학에 관한 역사적인 개념들을 접하는 드문 경우에도, 그런 개념들은 그것들이 대체되었던 이유나 과학자들이 처음에 그것들을 수용했던 이유에 대한 최소한의 토론만 이루어지고 나서 묵살되는 경향이 있다. 학생들은 과학자들이 과거에 몇 가지 어리석은 개념들을 수용했지만, 이제는 그것이 모두 이해되어 오늘날의 과학 이론은 사실이라는 인상을 계속 지닌다.
19영독 T2-18::The fight-or-flight response is intended to be beneficial for survival when one is faced with a threat. The body gears up to act as needed, and in doing so, turns on some areas of the body while shutting down others that are not immediately needed. When confronted with an acute stress (e.g., being startled by a loud sound when walking on a darkened sidewalk), the body prepares to deal with the potential danger or to escape. The responses that prepare the body for action include these:. The heart beats faster, blood pressure increases, breathing becomes heavy, pupils dilate, and muscles tense. At the same time the body increases the availability of glucose and fats to burn for fuel while shutting down areas not vital in the moment such as immune function, reproductive capacity, and digestion.::싸움 혹은 도주 반응은 사람이 위협에 직면할 때 생존에 이롭도록 의도된 것이다. 신체는 필요에 따라 행동을 하기 위해 준비하고, 그렇게 할 때, 당장 필요하지 않은 다른 신체 영역은 차단하면서 신체의 일부 영역을 작동시킨다. 격심한 스트레스(예를 들어, 어두워진 보도 위를 걸을 때 큰 소리에 깜짝 놀라는 것)에 직면할 때, 신체는 잠재적인 위험에 대처하거나 달아날 준비를 한다. 신체가 행동하도록 준비시키는 반응에는 다음의 것들이 포함된다. 즉, 심장 박동이 더 빨라지고, 혈압이 올라가며, 호흡이 거칠어지고, 동공이 넓어지고, 근육이 긴장한다. 동시에 신체는 그 순간에 면역 기능, 생식 능력, 소화와 같은 생명 유지와 관련되지 않은 영역을 차단하면서, 에너지원을 얻기 위해 태워야 하는 포도당과 지방의 가용성을 증가시킨다.
19영독 T2-19::The yolk and white in an uncooked egg are liquid and free to slosh around slightly inside the shell. When you twist the egg fast in an attempt to spin it, the contents resist moving. That is, the contents have inertia, a desire to stay motionless until pushed by some force or other. That's Newton's First Law of Motion: an egg yolk at rest will remain at rest until shoved by something harder than raw egg white. (Those weren't his exact words.) When you apply twisting force to the outside of the egg, the force isn't transmitted effectively through the egg white; it's like trying to play pool with a liquid cue. The egg's contents try to stay motionless and lag behind. In effect, some of your twisting force is wasted and the egg won't spin as much as you might expect from how hard you twisted it. In a hard egg, on the other hand, the solid contents transmit your force to the whole egg mass, and the egg spins with the full amount of momentum you expect.::요리되지 않은 달걀 속의 노른자와 흰자는 액체이고 껍질 안에서 약간 자유롭게 출렁거린다. 달걀을 회전시키려는 시도로 빨리 돌리면, 내용물은 움직임에 저항한다. 즉, 내용물은 이런저런 어떤 힘에 의해 밀릴 때까지 움직이지 않고 싶은 욕구인 '관성'을 가지고 있다. 그것이 뉴턴의 운동 제1법칙인데, 정지 상태의 달걀노른자가 날달걀 흰자보다 더 단단한 무언가에 의해 떠밀릴 때까지 정지해 있을 것이다. (그가 정확히 그렇게 말한 것은 아니었다.) 달걀의 바깥쪽에 돌리는 힘을 가하면, 그 힘은 달걀흰자에 두루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않는데, 그것은 마치 액체의 큐로 당구 경기를 하려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달걀의 내용물은 움직이지 않고 뒤처지려 한다. 사실상, 여러분의 돌리는 힘 중 일부는 허비되고 달걀은 여러분이 그것을 얼마나 세게 돌렸는지로부터 예상한 만큼 많이 회전하지 않는다. 반면에 삶은 달걀에서는 고체의 내용물이 여러분의 힘을 전체 달걀 덩어리로 전달하여, 달걀은 예상하는 온전한 운동량을 가지고 회전한다.
19영독 T2-20::The calorie argument claims that, based on weight, age, and several other variables, we each need a specific number of calories per day. To lose, gain, or maintain weight in this model, you have two variables: calories consumed and calories expended. According to this theory, to lose weight we simply eat less and move more. To gain weight, we move less and eat more. If we followed this simplified formula, we could eat Twinkies all day and run those calories off on a treadmill. However, common sense tells us this is not health. Sure, counting calories can help some people move in the right direction by eliminating the most egregious diet offenders, but for those who are serious about being healthy, simply counting calories doesn't make the cut. Counting calories does not help manage appetite or eliminate cravings, and these can be serious impediments to weight loss. It also doesn't help manage or reverse diseases. We need a more holistic model.::열량론은 우리가 몸무게, 나이, 그리고 다른 몇몇 변수에 기초하여 각자 하루에 특정한 수의 열량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 모델에서 몸무게를 줄이거나 늘리거나 유지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변수, 즉 섭취된 열량과 소비된 열량이 있다. 이 이론에 따라, 체중을 줄이기 위해서 우리는 단순히 더 적게 먹고 더 많이 움직인다. 체중을 늘리기 위해서 우리는 더 적게 움직이고 더 많이 먹는다. 만약 우리가 이런 단순화된 공식을 따른다면, 우리는 온종일 트윙키를 먹고도 트레드밀 위에서 달려서 열량을 뺄 수 있다. 하지만 일반 상식으로 우리는 이것이 건강이 아니라는 것을 안다. 확실히 열량을 계산하는 것은 가장 나쁜 다이어트 방해꾼을 제거함으로써 일부 사람들을 옳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도울 수 있지만, 건강해지는 데 진지한 사람들에게 단순히 열량을 계산하는 것만으로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다. 열량을 계산하는 것은 식욕을 관리하거나 욕구를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으며, 이런 것들은 체중 감량에 심각한 방해가 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질병을 관리하거나 질병의 과정을 완전히 바꾸어 놓는 데(질병이 악화되는 것을 막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우리는 더 전체적인 모델이 필요하다.
19영독 T2-21::Better energy management leads us into people's homes and to the topic of connected homes. Individual homes can become not only energy consumers, but also energy producers by providing for their own energy and potentially selling the excess energy back to the grid. This way, homes are going to become more environment and energy aware. But smart, connected homes are about much more than just efficient energy management; they are also about comfort and convenience for their inhabitants. By better managing the lighting, temperature, smart appliances, security, and entertainment systems, homes are going to be adapting to people. For example, by sensing whether people are in the house or which rooms they are in, a smart thermostat can either switch off heating or cooling completely or concentrate on the rooms where the people are — both improving the energy consumption and making people more comfortable. Lights can be dimmed automatically, depending on the time of day, who's in the room, and what that person is doing.::더 나은 에너지 관리는 우리를 사람들의 가정 안으로 들어가게 하여 커넥티드 홈이라는 주제로 이끈다. 개개의 가정은 에너지 소비자뿐만 아니라, 자체적으로 쓸 에너지를 마련하고 어쩌면 잉여 에너지를 배전망에 다시 판매함으로써 에너지 생산자가 될 수도 있다. 이런 방식으로 가정은 환경과 에너지에 대하여 더 많이 의식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스마트한 커넥티드 홈이란 단지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보다 훨씬 더 많은 것과 관련이 있으며 그것들은 또한 거주자의 안락과 편리함과도 관련이 있다. 조명, 온도, 스마트 가전, 보안, 그리고 오락 시스템을 더 잘 관리함으로써, 가정은 사람들에게 적응해 갈 것이다. 예를 들어 사람들이 집 안에 있는지 혹은 그들이 어느 방에 있는지 감지함으로써, 스마트 온도 조절 장치는 냉난방을 완전히 끄거나 그 사람들이 있는 방에 집중할 수 있는데, 에너지 소비 방식을 향상하면서 사람들을 더 편안하게 해 주기도 한다. 전등은 하루의 시간대, 방에 누가 있는지, 그리고 그 사람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에 따라 자동으로 흐려질 수 있다.
19영독 T2-22::The evolution of energy-hungry bigger brains, like yours, depended on building longer feeding tubes in order to optimize the extraction of more energy from whatever entered the front end of the feeding tube. It is not surprising then that the length of the gut, when compared across many different species, correlates with the size of the brain. As brains became larger, however, the forces of evolution shifted strategies (after all, the length of the gut can be increased only until there is insufficient room in the body to contain it). Animals developed a more efficient and shorter feeding tube that relied on a high-quality, nutrient-rich diet. Therefore, today we have a gastrointestinal system that is efficient at extracting energy for itself and its two principal customers, your reproductive system and brain. Due to the high energy demands of the brain and reproductive system, however, a surprising compromise occurred during evolution: as brains became bigger, human reproductive success failed. Now you can appreciate why humans do not give birth to many babies at one time.::여러분의 뇌와 같이 에너지를 많이 필요로 하는 더 큰 뇌의 진화는, 공급관의 입구[앞쪽 끝]로 들어오는 어떤 것으로부터든 더 많은 에너지를 가장 효과적으로 추출하도록, 더 긴 공급관을 만드는 데 달려 있었다. 그러면 많은 다양한 종들 사이에서 비교할 때, 소화관의 길이가 뇌의 크기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뇌가 더 커짐에 따라 진화의 원동력은 전략을 바꾸었다(결국 소화관의 길이는 그것을 담고 있는 신체에 공간이 불충분해질 때 까지만 늘어날 수 있다). 동물들은 고품질의 영양분이 풍부한 음식에 의존하는 더 효율적이고 더 짧은 공급관을 발달시켰다. 그러므로 오늘날 우리는 그 자체와 그것의 두 주요 고객인 여러분의 생식계와 뇌를 위하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추출하는 위장 기관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뇌와 생식계의 많은 에너지 수요 때문에 진화 중에 놀라운 절충이 일어났는데, 뇌가 더 커짐에 따라 인간의 번식 성공도는 약해졌다. 이제 여러분은 왜 인간이 한 번에 여러 아기들을 낳지 않는지 이해할 수 있다.
19영독 T2-23::By devaluing and avoiding our negative experiences we leave ourselves with only one pathway to finding happiness — the pursuit of pleasure. We seek out feel-good experiences, always on the lookout for the next holiday, purchase or culinary experience. This approach to happiness is relatively recent; it depends on our capacity both to pad our lives with material pleasures and to feel that we can control our suffering. Painkillers, as we know them today, are a relatively recent invention and access to material comfort is now within reach of a much larger proportion of the world's population. These technological and economic advances have had significant cultural implications, leading us to see our negative experiences as a problem and maximizing our positive experiences as the answer. Yet, through this we have forgotten that being happy in life is not just about pleasure. Comfort, contentment and satisfaction have never been the elixir of happiness. Rather, happiness is often found in those moments we are most vulnerable, alone or in pain. Happiness is there, on the edges of these experiences, and when we get a glimpse of that kind of happiness it is powerful, transcendent and compelling.::부정적인 경험을 낮게 평가하고 피함으로써, 우리에겐 행복을 찾아가는 단 하나의 길, 즉 즐거움의 추구만 남게 된다. 우리는 항상 다음 휴일, 물건 사기, 또는 요리 체험이 있는지 살피면서 기분을 좋게 해 주는 경험을 찾아낸다. 행복에 대한 이런 접근은 비교적 최근의 것인데, 그것은 우리의 삶을 물질적으로 즐거움을 주는 것으로 채워 넣기도 하고 우리의 고통을 우리가 제어할 수 있다고 느끼기도 하는 우리의 능력에 좌우된다.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진통제는 비교적 최근의 발명품이고, 물질적 안락에 대한 접근은 이제 훨씬 더 큰 비율의 전 세계 사람들의 손이 닿는 곳에 있다. 이런 과학 기술 발전과 경제 발전은 상당한 문화적 영향을 미쳐서 우리가 우리의 부정적인 경험을 문제로 간주하게 하고 그 해결책으로 우리의 긍정적인 경험을 극대화하였다. 하지만 이를 통해 우리는 인생에서 행복한 것이 단지 즐거움에 관한 것만은 아니라는 것을 잊게 되었다. 안락감, 만족감 그리고 충족감이 결코 행복의 묘약이었던 적이 없다. 오히려, 행복은 우리가 가장 상처받기 쉽거나 혼자이거나 고통을 겪는 그런 순간에 자주 발견된다. 행복은 거기, 이런 경험의 가장자리에 있고, 우리가 '그런' 종류의 행복을 언뜻 보게 될 때, 그것은 강력하고 초월적이며 강렬하다.
19영독 T2-25::One of the things people noticed about light was that it could bend when it moved through water. Consider the appearance of an object protruding through the surface of clear water. The object seems to be displaced. That is, the position where the object, such as a stick, appears to enter the air seems to be different from where it exits the water; and thus it seems to be broken. This occurs because light passing through liquid bends. The part of the object in the water is actually in a different position than where it appears to be to the human eye. This property of light (called refraction) had very practical implications even for primitive peoples. For example, archers hunting for fish with a bow and arrow knew that if they aimed directly at the fish in the water they would always miss. Rather, if they aimed slightly below the fish, that fish would be dinner. The same thing did not work for prey in the air. Shooting arrows under birds did nothing but scare them. Likewise, refraction is responsible for the magnification produced by droplets of water on leaves or other surfaces. Following the discovery of clear glass, the magnification of water droplets could be simulated (and made permanent) by using droplets of glass. Through forming the clear glass droplets into different shapes, their magnification properties could be altered at will, and a variety of these droplets (i.e., lenses) could be made and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to produce telescopes and other visual instruments.::사람들이 빛에 관해 인지했던 것들 중 하나는 빛이 물을 통과할 때 굴절될 수 있다는 것이었다. 투명한 물 표면을 뚫고 돌출한 물체의 모습을 생각해 보라. 그 물체는 위치가 옮겨진 것처럼 보인다. 다시 말해서, 막대기와 같은 물체가 공기 중으로 들어가는 것처럼 보이는 위치는 그것이 물을 벗어나는 곳과 다른 것처럼 보이고, 이리하여 그것은 꺾인 것처럼 보인다. 이것은 액체를 통과하는 빛이 굴절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물체의 물속 부분은 그것이 인간의 눈으로 보아 있는 것처럼 보이는 곳과는 실제로 다른 위치에 있다. ('굴절'이라 불리는) 빛의 이런 특성은 원시 부족들에게 조차도 매우 실용적인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어 활과 화살로 물고기를 사냥하는 궁수들은 수중의 물고기를 직접 겨냥하면 항상 못 맞힐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오히려, 그들이 물고기의 약간 아래를 겨냥했다면, 그 물고기는 저녁 식사가 되었을 것이다. 동일한 것이 공중의 사냥감에는 효과가 없었다. 새의 아래쪽에 화살을 쏘는 것은 새를 겁줄 뿐이었다. 마찬가지로, 굴절은 잎이나 다른 표면의 작은 물방울에 의해 만들어지는 확대의 원인이 된다. 투명한 유리의 발견 후에, 작은 물방울이 만드는 확대는 작은 유리 방울을 사용하여 모방될 (그리고 오래 지속되게 만들어질) 수 있었다. 투명한 작은 유리 방울을 여러 모양으로 만듦으로써, 그 방울의 확대 특성은 뜻대로 바뀔 수 있었고, 여러 가지의 이러한 작은 방울(즉, 렌즈)이 만들어지고 망원경과 다른 광학 기구를 제작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또는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었다.
19영독 T2-28::In 1954, Englishman Roger Bannister became the first person to run a mile in under four minutes. Forty-six days later, Australian John Landy became the second. He also recorded a world record time of 3:57.9. So in August 1954, the world's two fastest milers faced off against each other. The competition was billed as "The Miracle Mile." More than 100 million people listened to the race over the radio. Many millions watched it on television. On the final turn of the last lap, Bannister passed Landy to win. Still, Landy was an Australian sports hero. And in 1956, he also emerged as a hero of a different kind. At the 1956 Australian National Championships, Landy was aiming to set another world record. The race was held at Olympic Park Stadium in the city of Melbourne. Landy was also trying to qualify for the Olympic Games that were to be held in Australia that summer. One of his fellow racers was 19-year-old Ron Clarke. Clarke was a world junior champion and would go on to set many records himself. As the third of four laps began, a runner clipped Clarke's heel. Clarke tripped and fell onto the track. Landy, trailing close behind, tried to leap over him. In the process, his shoe's spikes scraped Clarke's arm. Landy had a choice. He could chase down a world record or stop to check on an injured friend. He chose to stop. With other runners streaming past him, Landy ran back to Clarke. He helped him to his feet, checked his bloodied arm, and apologized. "Keep going!" Clarke shouted. "I'm all right. Run!" "For a moment I thought, I've been disqualified. Then I thought, No, I'm still in the race," Landy later recalled. "It looked impossible, with the rest of the field some 30 yards ahead, but I thought I'd better have a go." Although he was far behind the rest of the field, he sprinted nearly the last half-mile. Every stride brought him closer to the leaders. To the delight of 22,000 spectators, Landy passed the two front runners in the last 10 yards. He won the race in a time of 4 minutes, 4.2 seconds. If he hadn't stopped to check on Clarke, he likely would have set a new world record. Still, he felt delighted and honored.::1954년에 잉글랜드 사람인 Roger Bannister는 4분 미만으로 1마일을 달린 첫 번째 사람이 되었다. 46일 후에, 호주인 John Landy는 두 번째가 되었다. 그는 또한 3분 57.9초의 세계 기록을 수립했다. 그래서 1954년 8월에 세계에서 가장 빠른 두 명의 1마일 경주 선수들이 서로 대결하였다. 그 시합은 '기적의 마일'로 묘사되었다. 1억 명이 넘는 사람들이 라디오로 그 경주에 귀를 기울였다. 수백만 명이 텔레비전으로 그것을 지켜보았다. 마지막 바퀴의 마지막 곡선 주로에서, Bannister가 Landy를 앞질러서 승리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Landy는 호주의 스포츠 영웅이었다. 그리고 1956년에 그는 또한 다른 종류의 영웅으로 부상하였다. 1956년 호주 전국 선수권 대회에서 Landy는 또 다른 세계 기록 수립을 목표로 했다. 그 경주는 멜버른시의 올림픽 공원 경기장에서 열렸다. Landy는 또한 그 해 여름 호주에서 열릴 예정인 올림픽 경기에 출전할 자격을 얻으려고 노력하고 있었다. 그의 동료 경주 선수 중 한 명은 19살의 Ron Clarke였다. Clarke는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우승자였는데, 그 자신이 계속해서 많은 기록을 세우고자 했다. 네 바퀴 중 세 번째 바퀴가 시작되자, 한 주자가 Clarke의 발뒤꿈치를 뒤에서 부딪쳤다. Clarke는 곱드러져 트랙 위로 넘어졌다. 바짝 뒤따르던 Landy는 그를 뛰어넘으려고 했다. 그 과정에서, 그의 신발 스파이크가 Clarke의 팔을 긁었다. Landy는 선택할 수 있었다. 그는 세계 기록을 추구하거나 다친 동료를 살펴보기 위해 멈출 수 있었다. 그는 멈추는 것을 택했다. 다른 주자들이 그를 속속 지나쳐 가는 가운데, Landy는 달려서 Clarke에게 되돌아갔다. 그는 그가 일어서도록 도와주었고, 그의 피투성이의 팔을 살폈고, 사과했다. "계속 가세요!"라고 Clarke가 소리쳤다. "전 괜찮아요. 달려요!" "저는 잠깐 '난 실격되었어'라고 생각했어요. 그러고 나서 저는 '아니야, 난 아직 경주 중이야' 라고 생각했지요"라고 Landy는 나중에 회고했다. "나머지 모든 경기자들이 약 30야드 앞서있는 상황에서 불가능해 보였지만, 저는 해보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비록 나머지 모든 경기자들보다 훨씬 뒤처져 있었지만, 그는 거의 후반 0.5마일을 전력 질주했다. 성큼성큼 달릴 때마다 그는 선두 주자들에게 더 가까이 다가갔다. Landy는 마지막 10야드에서 선두를 달리던 두 명의 주자를 추월하며 2만2천 명의 관중에게 기쁨을 주었다. 그는 4분 4.2초의 시간으로 그 경주에서 우승했다. 만약 그가 Clarke를 살펴보기 위해 멈추지 않았다면, 그는 아마 세계 신기록을 세웠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기쁘고 영예롭게 느꼈다.
19영독 T3-01::I offer my heartiest congratulations on your second term as president of The First National Bank of Chicago. I'm writing because I need your help. Mr. George Williams of your city has called to interest me in the purchase of a large tract of timber and mining lands in Northern Wisconsin. Mr. Williams impresses me favorably, and his propositions appear quite reasonable on their face. I have, however, postponed giving him a final answer till I hear from you regarding his standing in business circles in Chicago. He speaks of you as an acquaintance, and since I claim you as a friend, your advice will be as welcome as it must be valuable.::저는 The First National Bank of Chicago의 은행장으로서의 귀하의 두 번째 임기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저는 귀하의 도움이 필요하기 때문에 편지를 쓰고 있습니다. 귀하 도시의 George Williams 씨가 Northern Wisconsin에 있는 수목 및 광업 지대의 넓은 지역을 구매하는 데에 저의 관심을 끌려고 전화를 했습니다. Williams 씨는 저에게 좋은 인상을 주고 있고, 그의 제안들은 표면 상으로 상당히 합리적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저는 시카고 재계에서의 그의 평판에 관하여 귀하로부터 말씀을 들을 때까지 그에게 최종 답변을 하는 것을 미루었습니다. 그는 귀하를 지인으로 이야기하는데, 저는 귀하를 친구라고 단언하기 때문에 귀하의 조언은 소중할 것임이 틀림없는 만큼 반갑기도 할 것입니다.
19영독 T3-02::It is strangely still on the harbor and in the markets. And for several days already, the theater and cinemas have been empty. The noise levels, however, have increased in front of the offices of the major newspapers, where masses of people have come together already at the crack of dawn to hear the latest news. When sirens sound to announce important news off the wire, orators spontaneously stand up to either condemn the war or take sides with one of the two parties. Streetcars are no longer able to pass through the streets. Huddling together before the closed gates of banks, frustrated customers curse loudly. How could you pay the exploding prices if you couldn't get to your money, or if your job was all of a sudden at risk like never before? All over, the unemployed from lower classes flock together, with more coming each day from the countryside. There, large foreign mining and plantation companies dismissed thousands overnight.::항구와 시장은 이상하게도 고요하다. 그리고 이미 며칠 동안 극장과 영화관이 텅 비어 있었다. 하지만 주요 신문사의 사무실 앞에서는 소음 수준이 높아졌는데, 거기에는 최근 소식을 들으려고 많은 사람들이 동이 트기 무섭게 벌써 모여들었다. 전신에서 나온 중요한 소식을 알리기 위해 사이렌이 울리면, 연사들은 자발적으로 일어서서 전쟁을 비난하거나 양 당사국 중 한쪽 편을 든다. 시내 전차는 더 이상 도로를 지나갈 수 없다. 닫힌 은행 문 앞에 함께 옹기종기 모여서, 좌절한 고객들이 큰 소리로 악담을 퍼붓는다. 만약 자기 돈에 접근하지 못하거나 일자리가 전과는 완전히 다르게 갑자기 위험에 처한다면, 급등하는 물건 값을 어찌 지불할 수 있겠는가? 곳곳에 하층 출신의 실직자들이 많이 모여 있고, 더 많은 사람들이 매일 시골에서 올라온다. 거기에서, 광업 및 플랜테이션 외국계 대기업들이 하룻밤 사이에 수천 명을 해고했던 것이다.
19영독 T3-03::If the arts inherently expressed or even resembled each other, we wouldn't need but one. Still, oftener than they are differentiated they are likened. The most frequent comparison is of music with architecture, though these are the farthest apart. Architecture is no more "frozen music" than music is "melted architecture." Music serves no purpose beyond itself, and the identifying property of that self is motion. Architecture does serve a purpose beyond itself, and its identifying property is static. Architecture would thus seem closest to painting or sculpture, while music — as flow — obviously resembles dance, or even prose. Yet unlike prose, or even dance, music has no innate content, no symbolic sense. An architect cannot improvise, thinking up a plan and the plan's execution as he goes along the way artists can. An architect who omits a beam will see his structure collapse; if he overlooks a bathroom the tenants collapse. When an artist fails, no one but himself really gets hurt; his work is not useful.::만약 여러 예술이 본질적으로 서로를 표현하거나 심지어 닮았다면, 우리는 하나의 예술을 제외하고는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들은 구별되는 것보다 더 자주 비유된다. 가장 빈번한 비유는 음악을 건축에 비유하는 것인데 이것들이 가장 멀리 떨어져 있음에도 그렇다. 음악이 '녹아 흐르는 건축'이 아니듯이, 건축도 또한 '움직이지 않는 음악'이 아니다. 음악은 그 자체 외에는 쓸모가 없으며, 그 자체의 정체성을 확인시키는 속성은 움직임이다. 건축은 그 자체 외에도 진정 쓸모가 있으며 그것의 정체성을 확인시키는 속성은 정적이다. 그러므로 건축은 그림이나 조각에 가장 가까워 보일 것이고, 반면 흐름으로서의 음악은 분명 춤 혹은 심지어 산문과 비슷하다. 하지만 산문이나 심지어 춤과 달리, 음악은 어떤 본질적인 내용도, 상징적인 의미도 없다. 건축가는 음악가들이 할 수 있는 방식으로 아무런 준비없이 계획과 계획의 실행을 생각해 내며 즉흥적으로 할 수 없다. 대들보 하나를 빠뜨리는 건축가는 자신의 구조물이 무너지는 것을 보게 될 것이고 만약 그가 욕실을 간과한다면 임차인이 털썩 주저앉는다. 음악가가 실패하면, 그 자신 이외에는 아무도 정말로 다치지 않고 그의 작품은 쓸모없게 된다.
19영독 T3-04::Peripheral vision provides low-resolution cues to lead our eye movements so that our fovea visits all the interesting and crucial parts of our visual field. Our eyes don't scan our environment randomly. They move so as to focus our fovea on important things, the most important ones (usually) first. The fuzzy cues on the outskirts of our visual field provide the data that helps our brain plan where to move our eyes, and in what order. For example, when we scan a medicine label for a "use by" date, a fuzzy blob in the periphery with the vague form of a date is enough to cause an eye movement that lands the fovea there to allow us to check it. If we are browsing a produce market looking for strawberries, a blurry reddish patch at the edge of our visual field draws our eyes and our attention, even though sometimes it may turn out to be radishes instead of strawberries. If we hear an animal growl nearby, a fuzzy animal-like shape in the corner of our eye will be enough to move our eyes very quickly in that direction, especially if the shape is moving toward us.::주변시는 중심와가 시야의 모든 흥미롭고 중요한 부분을 찾아가도록 눈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저해상도의 신호를 제공한다. 눈은 우리의 주변을 무작위로 훑어보지 않는다. 눈은 중심와의 초점을 중요한 것, (보통은) 가장 중요한 것들에 먼저 맞추도록 움직인다. 시야의 외곽에 있는 흐릿한 신호는 뇌가 눈을 어디로, 어떤 순서로 움직일 것인지를 계획하는 데 도움을 주는 자료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 기한' 날짜를 찾으려고 약품 라벨을 훑어볼 때, (시야의) 주변부에 들어오는, 어렴풋한 날짜 형태가 있는 윤곽이 뚜렷하지 않은 흐릿한 부분은 우리가 그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중심와를 거기로 데려가는 눈의 움직임을 유발하기에 충분하다. 만약 우리가 딸기를 찾아 농산물 시장을 둘러보고 있다면, 비록 때로는 딸기가 아닌 무로 판명될 수도 있지만, 우리의 시야 가장자리에 있는 흐릿한 불그스름한 부분이 우리의 시선과 주의를 끈다. 근처에서 동물이 으르렁거리는 소리를 들을 경우, 눈의 구석에 맺히는 흐릿한 동물 같은 형체는, 특히 그 형체가 우리 쪽으로 다가오고 있다면, 우리의 눈을 그 방향으로 매우 빠르게 움직이게 하기에 충분할 것이다.
19영독 T3-05::I have seen many leaders use the power of a story of a personal flaw to great effect. The psychologists call it self-disclosure. One theory about why this works is that if I trust you enough to show you my flaws, you can trust me enough to show me yours. The experience of vulnerability without exploitation helps us conclude that we can trust each other in other ways as well. For example, a new manager meeting his staff for the first time might choose to tell about his first management job when he spent all of his time telling people what to do and ended up getting reprimanded for driving them crazy with his controlling ways. It is a bit of a shock to hear your new boss talk about having been reprimanded. At a deep level we know that true strength is found not in perfection, but in understanding our own limitations. A leader who demonstrates this self-knowledge demonstrates strength.::나는 많은 지도자들이 개인적인 결점에 관한 이야기의 힘을 아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보아 왔다. 심리학자들은 그것을 자기 노출이라고 부른다. 이것이 효과가 있는 이유에 대한 한 가지 이론은 만약 내가 여러분에게 나의 결점을 보여줄 만큼 충분히 여러분을 신뢰한다면, 여러분이 나에게 여러분의 결점을 보여줄 정도로 나를 신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부당한 이용이 없는 취약성의 경험은 우리가 다른 방식으로도 서로를 신뢰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처음으로 직원을 만나는 새로운 관리자는 자신의 모든 시간을 사람들에게 해야 할 일을 지시하는 데 썼고 결국에는 통제적인 방식으로 사람들을 화나게 만들었기 때문에 질책을 받았던 자신의 첫 번째 관리 업무에 관해 말하기로 결정할 수도 있다. 새로운 상사가 질책을 받은 이야기를 하는 것을 듣는 것은 약간 충격적인 일이다. 깊은 수준에서 우리는 진정한 힘이란 완벽함이 아니라 자신의 한계를 이해하는 데서 찾아진다는 것을 안다. 이러한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를 보여주는 지도자는 강점을 보인다.
19영독 T3-06::There is obviously a wide gap between the promises of the 1948 Declaration and the real world of human-rights violations. In so far as we sympathize with the victims, we may criticize the UN and its member governments for failing to keep their promises. However, we cannot understand the gap between human-rights ideals and the real world of human-rights violations by sympathy or by legal analysis. Rather, it requires investigation by the various social sciences of the causes of social conflict and political oppression, and of the interaction between national and international politics. The UN introduced the concept of human rights into international law and politics. The field of international politics is, however, dominated by states and other powerful actors (such as multinational corporations) that have priorities other than human rights. It is a leading feature of the human-rights field that the governments of the world proclaim human rights but have a highly variable record of implementing them. We must understand why this is so.::1948년 세계 인권 선언의 약속과 인권 침해의 현실 세계 사이에는 분명히 큰 격차가 있다. 우리가 피해자들과 공감하는 한, 우리는 유엔과 그 회원국 정부가 자신들의 약속을 지키지 못한 것에 대해 비난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공감이나 법률적 분석을 통해 인권의 이상과 인권 침해의 현실 세계 사이의 격차를 이해할 수는 없다. 오히려 그것은 사회 갈등과 정치 억압의 원인과 국내 정치와 국제 정치 사이의 상호 작용에 대한 다양한 사회과학에 의한 연구를 필요로 한다. 유엔은 국제법과 국제 정치에 인권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그러나 국제 정치 분야는 인권 이외의 다른 우선적인 것을 가진 국가 및 (다국적 기업과 같은) 기타 강력한 행위자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세계 각국 정부가 인권을 선포하고 있지만 그것을 실행에 옮기는 데는 매우 가변적인 기록을 갖고 있다는 것이 인권 분야의 주된 특징이다. 이것이 왜 그런가를 우리는 이해해야 한다.
19영독 T3-07::The graph above shows the percentage of U.S. adults who say that private citizens should or should not be allowed to pilot drones in certain locations. When it comes to what rules should apply to drone use, 54% of survey respondents think drones should not be allowed to fly near people's homes. Just 11% think this should be allowed, while 34% think it is OK in certain circumstances but not in others. More than half the respondents say private citizens should not be allowed to pilot drones near crime scenes or traffic accidents, while 45% say this practice should not be allowed at events like concerts or rallies. By comparison, U.S. adults are more broadly accepting of drone use by private citizens in locations such as beaches or public parks; more people say the practice should be allowed than not allowed. For each of the possible locations for drone use asked about in the survey, more than one-quarter of U.S. adults say it depends on the circumstances as to whether private citizens should be allowed to pilot drones in that location or not.::위의 그래프는 민간인에게 특정 장소에서 드론을 조종하는 것을 허용하거나 허용해서는 안 된다고 말하는 미국 성인의 비율을 보여준다. 드론 사용에 어떤 규정을 적용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54%의 조사 응답자들이 드론이 사람들의 집 근처에서 날지 못하게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11%만이 이것이 허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반면, 34%는 어떤 상황에서는 괜찮다고 생각하지만 다른 상황에서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 절반을 넘는 응답자들이 범죄 현장이나 교통 사고 현장 근처에서는 드론 조종이 민간인들에게 허용되어서는 안 된다고 말하는 반면, 45%는 콘서트나 집회와 같은 행사에서는 이러한 관행이 허용되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이에 비해, 미국 성인들은 해변이나 공원 같은 장소에서 민간인의 드론 사용을 보다 폭넓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더 많은 사람들이 그 관행이 허용되면 안 된다기보다는 허용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조사에서 물어본 각각의 드론 사용 가능 장소에 대해, 미국 성인의 4분의 1이상이 민간인들에게 그 장소에서 드론을 조종하는 것을 허용해야 하는지 여부에 관해서는 상황에 따라 다르다고 말한다.
19영독 T3-08::Alexander Lucius Twilight was born in 1795 in Vermont, the son of a farmer. In 1823, he made history by becoming the first black American to graduate from college. He began teaching in school and was licensed as a preacher to preach in Peru, New York, and Vergennes, Vermont. In 1829, he moved to Brownington, Vermont, becoming minister of the Congregational Church and principal of Brownington Academy, a county secondary school. To ensure that the state of Vermont continued to fund his school, he ran and was elected to the Vermont state legislature and became the first black American to be elected to such a position. When Twilight accepted the principalship of Brownington Academy, the school consisted of a two-story wooden building. It had no dormitory, so students stayed with families in the neighborhood. Twilight was determined to change that. He managed to raise enough money to finance the construction of a large, sturdy building made of stone called Athenian Hall. The stone building now is the home of Orleans County (Vermont) Historical Society.::Alexander Lucius Twilight은 버몬트주(州)에서 1795년에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1823년에 그는 대학을 졸업한 최초의 미국 흑인이 됨으로써 역사에 남았다. 그는 학교에서 가르치기 시작했으며 뉴욕주의 Peru와 버몬트주의 Vergennes에서 설교할 수 있는 설교자로서의 면허를 가지고 있었다. 1829년에, 그는 버몬트주의 Brownington으로 이주하여, 회중 교회의 목사이자 카운티 중등학교인 Brownington Academy의 교장이 되었다. 버몬트주가 그의 학교에 계속해서 자금을 제공할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해, 그는 버몬트주 의회 선거에 출마하여 선출되었으며 그런 지위에 선출된 최초의 미국 흑인이 되었다. Twilight이 Brownington Academy의 교장직을 수락했을 때, 그 학교는 2층짜리 목조 건물로 이루어져 있었다. 기숙사가 없어서, 학생들은 인근 지역에 있는 가정에서 함께 지냈다. Twilight은 그런 상황을 바꾸기로 결심했다. 그는 Athenian Hall이라 불리는 크고 견고한 석조 건물의 건축 자금을 제공할 충분한 돈을 간신히 마련했다. 그 석조 건물은 현재 버몬트주의 Orleans 카운티 역사 협회 본부이다.
19영독 T3-10::Electronic Music Workshop Goethe-Institute and Border Movement, in association with Jambutek, will hold the fourth electronic music workshop. Please join us! – Date: 16/02/2019 – Time: 16:00 –19:00 – Venue: Goethe-Institute Hall – Participants: 10-15 The workshop is aimed at intermediate/advanced level producers. This will be the most educational and advanced workshop done so far with three highly experienced and knowledgeable guest instructors from India, Morocco and Germany. Each featured producer/lecturer will give a 45-minute presentation on their own unique production style, favourite techniques, useful tips, etc. Each presentation will be followed by a few minutes of Q&A from the audience. Email jambutekrecordings@gmail.com for more information and to register.::전자 음악 워크숍 Goethe-Institute와 Border Movement는 Jambutek와 공동으로 제4회 전자 음악 워크숍을 개최할 예정입니다. 우리와 함께 하십시오! – 날짜: 2019년 2월 16일 – 시간: 16시~19시 – 장소: Goethe-Institute 홀 – 참가자: 10명~15명 워크숍은 중급/고급 수준의 제작자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워크숍은 인도, 모로코, 그리고 독일 출신으로 경험이 아주 풍부하고 지식이 많은 세 명의 초대 강사와 함께 행해지는 지금까지 있었던 가장 교육적인 고급 워크숍이 될 것입니다. 각각의 주요 제작자/강연자는 자신의 독특한 제작 스타일, 좋아하는 기술, 유용한 정보 등으로 45분간의 발표를 할 것입니다. 각각의 발표 후에는 몇 분간의 청중의 질의응답 시간이 뒤따를 것입니다. 더 많은 정보를 원하고 등록하시려면 jambutekrecordings@gmail.com으로 이메일을 보내십시오.
19영독 T3-11::One of the most significant changes in form and identity in schools has been the relatively recent transformation of the role of the school librarian. This was first brought to our attention several years ago at a seminar we were conducting, when a participant stopped by at a break to share her struggles with this issue. As the head librarian for a medium-sized school district, she described all of the professional changes she had experienced since completing her master's degree in library science in the early 1970s. As a supervisor, she supported several librarians who were also struggling with similar changes. She noted that as librarians they were taught to be quality filters and to stock the shelves with reliable and authoritative reference materials. When students and teachers asked for resources, the librarians were able to supply the best sources available and took professional pride in knowing and having these materials on hand. As students and teachers became increasingly computer savvy, however, the librarians began feeling devalued.::학교에서 형태와 정체성에서의 가장 중요한 변화 중 하나는 비교적 최근에 일어난, 학교 사서의 역할 변화였다. 이것은 몇 년 전 우리가 수행하고 있던 한 세미나에서 처음 우리의 관심에 들어왔는데, 그때 한 참가자가 휴식 시간에 이 문제와 관련한 자신의 힘든 싸움을 말하려고 들렀다. 중간 규모의 학군에서 일하는 수석 사서로서 그녀는 자신이 1970년대 초반에 도서관학 석사 학위를 마친 이후 경험 했던 직업상의 모든 변화를 설명했다. 관리자로서 그녀는 비슷한 변화와 역시 싸우고 있는 몇몇 사서들에게 힘을 북돋아 주었다. 그녀는 사서로서 그들이 (도서) 품질의 필터 역할을 하며 신뢰할 만하고 권위 있는 참고 자료로 서가를 채우도록 교육받았다고 말했다. 학생들과 교사들이 자료를 요청할 때 사서들은 이용 가능한 최고의 자료를 제공할 수 있었고 이러한 자료를 알고 있고 수중에 가지고 있다는 것에 전문적인 자부심을 가졌다. 하지만 학생들과 교사들이 점점 더 컴퓨터에 정통해지면서 사서들은 평가 절하되는 느낌을 받기 시작했다.
19영독 T3-12::Jillian, aged nine, wanted her backpack, which was across the street in the car. She wanted to show her friend a new book that was in the backpack. Jillian's mother was busy talking to another person in front of the school. Jillian decided to retrieve the backpack herself, rather than asking her mother. "Watch this!" she said to her friend. She looked quickly up the road, crossed it, and pulled the spare key from behind the car license plate. She was delighted that it was where she watched her parents hide it. She got her backpack, flashed a smile of success to her waiting friend, and ran back across the street. A car horn blared as she scooted between the parked cars and crossed the road. Goal accomplished! Jillian's mother was at first too scared to speak. She had seen Jillian run across the street in front of a car. It was awful. She calmed herself, and then coached Jillian to think through the risks in the sequence.::아홉 살인 Jillian은 자기 배낭을 원했는데, 그것은 길 건너 차 안에 있었다. 그녀는 배낭에 있는 새 책을 친구에게 보여주고 싶었다. Jillian의 엄마는 학교 앞에서 다른 사람과 이야기하느라 바빴다. Jillian은 엄마에게 요청하기보다는 스스로 배낭을 가져오기로 결정했다. "이것 봐!"라고 그녀는 자기 친구에게 말했다. 그녀는 재빨리 길을 살펴보고, 길을 건너, 자동차 번호판 뒤에서 여분의 열쇠를 꺼냈다. 그녀는 부모님이 그 열쇠를 숨기는 것을 자신이 보았던 곳에 그 열쇠가 있어서 즐거웠다. 그녀는 자기 배낭을 꺼내어 기다리는 친구에게 성공의 미소를 잠깐 지어 보이고는 거리를 가로질러 뛰어 되돌아갔다. 그녀가 주차된 자동차 사이를 서둘러 가며 길을 건널 때 자동차 경적이 요란하게 울렸다. 목표를 달성했다! Jillian의 엄마는 처음에는 너무 놀라 말을 할 수 없었다. 그녀는 Jillian이 차 앞에서 거리를 가로질러 달리는 것을 보았다. 그것은 끔찍했다. 그녀는 마음을 가라앉히고 Jillian에게 그 연속된 행동에 있는 위험을 충분히 생각해보라고 지도했다.
19영독 T3-13::A well-established home environment is critical to success of home lessons. Tell parents about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 routine and list some basic study skills. The place used for working with children must be well-lit and well-heated or cooled, depending on the season. Keep distractions to an absolute minimum — no televisions, telephones, stereos or video games within earshot. Keep brothers or sisters out of the way for the duration of the lesson. It is hard enough to get children to sit down and read without the added burden of unnecessary interruptions. Do not prolong the experience. Home lessons should not exceed 30 minutes, in fact 20 minutes is about enough. Encourage parents to conduct reading sessions in a warm and positive atmosphere. If their child has done something during the day that requires immediate punishment, delay it until the lesson is over. It is almost impossible to work constructively with a child who suffers from bruised feelings.::안정된 가정 환경은 가정 학습의 성공에 매우 중요하다. 부모에게 (가정 학습) 일과를 설정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알려주고 몇 가지 기본적인 학습 기술을 목록으로 만들어주라. 아이와 함께 학습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소는 조명이 잘 되어 있고 계절에 따라 난방이나 냉방이 잘 되어 있어야 한다. 주의 집중을 방해하는 것은 완전히 최소한으로 줄여야 한다 - 텔레비전, 전화, 스테레오 또는 비디오 게임의 소리가 들리는 곳이 아니어야 한다. 학습이 진행되는 시간 동안에 형제나 자매가 방해가 되지 않게 하라. 불필요한 방해의 추가적인 부담 없이 아이들을 앉아서 책을 읽게 하는 것만도 충분히 어려운 일이다. 그 경험 시간을 늘리지 말라. 가정 학습 시간은 30분을 넘지 말아야 하는데, 사실은 20분이면 대략 충분하다. 부모에게 따뜻하고 긍정적인 분위기에서 읽기 시간을 수행하도록 권장하라. 그들의 아이가 그날 동안 즉각적인 벌을 받아야 하는 어떤 일을 저질렀다면, 공부가 끝날 때까지 그것을 미루라. 상처를 입은 감정으로 괴로워하는 아이와 유익하게 학습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19영독 T3-14::Parents and teachers working together can accomplish more than educators can alone. Yet it is easy for schools and parents to become adversaries. As school staff, we may believe that parents are responsible for their child's behavior because of their parenting style or their denial of the problem. It is sometimes difficult for parents to work with schools. Many parents do not trust school staff. They may have had negative experiences in school themselves or struggles with other authority figures in their lives. Parents may be unsatisfied with the school's attempts to protect their children. They may believe that we do not like their children or that we fail to see their child's point of view. Parents may wish that school staff would protect or help their children more. It is easy to initiate a cycle of mutual blaming.::협력하는 부모와 교사는 교육자 혼자서 성취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성취할 수 있다. 하지만 학교와 부모는 적이 되기 쉽다. 학교 직원으로서 우리는 부모의 양육 방식이나 부모가 문제를 부인하는 것 때문에 아이의 행동에 대한 책임이 부모에게 있다고 믿을 수도 있다. 때로 부모가 학교와 함께 일하는 것이 어렵다. 많은 부모들이 학교 직원들을 믿지 않는다. 그들은 자신이 학창 시절에 부정적인 경험을 했거나 자신들의 삶에서 다른 권위 있는 인물과 갈등을 겪었을지도 모른다. 부모는 아이들을 보호하려는 학교의 노력에 대해 불만이 있을 수 있다. 그들은 우리가 그들의 아이들을 좋아하지 않는다거나 그들의 아이의 관점을 보지 못한다고 믿을지도 모른다. 부모는 교직원들이 아이들을 더 많이 보호하거나 도와주었으면 하고 바랄 수도 있다. 상호 비난의 순환이 쉽게 시작된다.
19영독 T3-15::Even the exact same question can elicit very different responses depending on the context in which the question occurs. For example, all individuals contacted in one telephone survey were asked how important the issue of skin cancer was in their lives, but this question was asked either before or after a series of questions about other health concerns. Even though the wording of the question was identical, respondents rated skin cancer as significantly more important if the question was asked first than if it came after the other health questions. In another example of the impact of previous questions, Kimberly Morrison and Adrienne Chung found that white university students indicated significantly less support for multiculturalism if they had earlier marked their race/ethnicity as 'White' on a questionnaire than if the questionnaire used the term 'European American' instead.::아주 똑같은 질문조차 질문이 발생하는 상황에 따라 매우 다른 응답을 끌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전화 조사에서 연락한 모든 개인은 피부암이라는 문제가 자신들의 삶에서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질문을 받았지만, 이 질문을 다른 건강상의 염려에 관한 일련의 질문 이전이나 이후에 했다. 그 질문에 사용된 어구는 같았을지라도, 응답자들은 다른 건강상의 질문 이후에 그 질문을 한 경우보다 그 질문을 먼저 한 경우에 피부암을 상당히 더 중요한 것으로 여겼다. 이전 질문들이 미친 영향에 대한 또 다른 사례로, Kimberly Morrison과 Adrienne Chung은 백인 대학생들이 설문지에 '백인'이라고 자신들의 인종이나 민족을 앞서 표시한 경우에 그 대신 설문지에 '유럽계 미국인'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경우보다 다문화주의에 대한 상당히 더 적은 지지를 보인다는 것을 발견했다.
19영독 T3-16::Social life, even for nonhuman animals, requires constraints on behavior. No group can stay together if its members make frequent, unrestrained attacks on each other. With some exceptions, social animals generally either refrain altogether from attacking other members of the social group or, if an attack does take place, do not make the ensuing struggle a fight to the death — it is over when the weaker animal shows submissive behavior. It is not difficult to see analogies here with human moral codes. The parallels, however, go much further than this. Like humans, social animals may behave in ways that benefit other members of the group at some cost or risk to themselves. Male baboons threaten predators and cover the rear as the troop retreats. Wolves and wild dogs take meat back to members of the pack not present at the kill. Gibbons and chimpanzees with food will, in response to a gesture, share their food with other members of the group. Dolphins support other sick or injured dolphins, swimming under them for hours at a time and pushing them to the surface so they can breathe.::사회생활은 인간이 아닌 동물들에게도 행동에 대한 제약을 요구한다. 어떠한 집단도 그 구성원들이 서로에게 빈번한, 억제되지 않은 공격을 가한다면 함께 있을 수 없다. 일부 예외는 있으나, 사회적 동물들은 일반적으로 사회 집단의 다른 구성원들을 공격하는 것을 일체 자제하거나, 공격이 정말 발생할 경우에는 뒤이어 일어나는 싸움을 죽음에 이르는 싸움으로 만들지 않는데, 더 약한 동물이 복종하는 행동을 보일 때 싸움은 끝난다. 여기서 인간의 도덕률과의 유사점을 보는 것은 어렵지 않다. 하지만 유사점은 이것보다 훨씬 더 나아간다. 인간처럼 사회적 동물들도 자신에 대한 약간의 손실이나 위험을 감수하고 집단의 다른 구성원들에게 이익을 주는 방식으로 행동할 수도 있다. 수컷 개코원숭이는 무리가 퇴각할 때 포식자를 위협하며 후방을 엄호한다. 늑대와 들개는 사냥에 참가하지 않은 무리의 구성원에게 고기를 가져다준다. 먹이를 가진 긴팔원숭이와 침팬지는 몸짓에 반응하여 그들의 먹이를 집단의 다른 구성원들과 나누곤 한다. 돌고래들은 아프거나 다친 다른 돌고래들을 도와주는데, 중단 없이 여러 시간 동안 그들 아래쪽에서 헤엄치면서 그들이 숨을 쉴 수 있도록 그들을 수면으로 밀어 올려준다.
19영독 T3-17::Although commonsense knowledge may have merit, it also has drawbacks, not the least of which is that it often contradicts itself. For example, we hear that people who are similar will like one another ("Birds of a feather flock together") but also that persons who are dissimilar will like each other ("Opposites attract"). We are told that groups are wiser and smarter than individuals ("Two heads are better than one") but also that group work inevitably produces poor results ("Too many cooks spoil the broth"). Each of these contradictory statements may hold true under particular conditions, but without a clear statement of when they apply and when they do not, aphorisms provide little insight into relations among people. They provide even less guidance in situations where we must make decisions. For example, when facing a choice that entails risk, which guideline should we use — "Nothing ventured, nothing gained" or "Better safe than sorry"?::상식적인 지식에 장점이 있을 수 있지만, 그것에는 결점도 있는데, 그 중에서 중요한 것은 그것이 모순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우리는 비슷한 사람들이 서로 좋아하기 마련이라는 말('유유상종')을 듣지만, 닮지 않은 사람들이 서로 좋아하기 마련이라는 말('정반대되는 사람들은 서로에게 끌린다')도 듣는다. 우리는 집단이 개인보다 더 현명하고 더 똑똑하다는 말('두 사람의 지혜가 한 사람의 지혜보다 낫다')을 듣지만, 집단 작업이 불가피하게 좋지 않은 결과를 만든다는 말('요리사가 너무 많으면 수프를 망친다')도 듣는다. 이런 모순된 말들 각각은 특정한 상황에서는 사실일 수 있지만, 그것이 언제 적용되는지와 언제 적용되지 않는지에 관한 명확한 진술이 없으면 경구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통찰력을 거의 제공하지 못 한다. 그것들은 우리가 결정을 내려야 하는 상황에서는 그야말로 거의 아무런 지침도 제공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위험을 수반하는 선택에 직면할 때, '모험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얻을 수 없다' 또는 '나중에 후회하는 것보다 조심하는 것이 낫다' 중에 우리는 어느 지침을 이용해야 하는가?
19영독 T3-18::The stories that circulate in the media can shape a society's perceptions and attitudes. Throughout the twentieth century and during the recent wars in Afghanistan and Iraq, for instance, courageous professional journalists covered armed conflicts, telling stories that helped the public comprehend the magnitude and tragedy of such events. In the 1950s and 1960s, network television news stories on the Civil Rights movement led to crucial legislation that transformed the way many white people viewed the agony and aspirations of African Americans. In the late 1960s to early 1970s, the persistent media coverage of the Vietnam War ultimately led to a loss of public support for the war. In each of these instances, the stories told through a variety of media outlets played a key role in changing individual awareness, cultural attitudes, and public perception.::대중 매체에서 유포되는 기사는 사회의 인식과 태도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세기 전반에 걸쳐 그리고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에서 벌어진 최근의 전쟁 중에, 용기 있는 전문 언론인들은 무력 분쟁을 취재하여 그런 사건들의 규모와 비극을 대중들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 이야기들을 전했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민권 운동에 관한 네트워크 텔레비전 보도 기사들은 많은 백인이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고뇌와 열망을 바라보는 방식을 바꾼 중요한 법률 제정으로 이어졌다. 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 초반까지 베트남 전쟁에 대한 끈질긴 매스컴의 보도는 결국 그 전쟁에 대한 대중적 지지를 상실하게 했다. 이러한 각각의 경우에서 다양한 매스컴을 통해 전달된 이야기들이 개인의 인식, 문화적 태도, 그리고 대중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영독 T3-19::Sellers often have information about the quality of a good or service that they do not make available to consumers. Sellers of used cars have information about the car's quality that they are unlikely to reveal to potential buyers if the car has a defect. In a free and unregulated market, sellers of food could sell products that are unsafe for human consumption, possibly leading to illness and even death. Sellers of medicines could sell unsafe medications that could be ineffective or dangerous to human health. Individuals claiming to be doctors, some of whom have little or no training, could practice medicine and even surgery, resulting in huge costs in terms of human health and safety.::판매자는 많은 경우 소비자들에게는 알리지 않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중고차 판매원들은 그 차에 결함이 있다면 잠재적인 구매자들에게 알릴 것 같지 않은 그 차의 품질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자유롭고 규제받지 않는 시장에서는 음식 판매자들이 사람이 먹기에 안전하지 않아 어쩌면 질병과 죽음에까지 이르게 할 수 있는 상품을 판매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의약품 판매자들은 인간의 건강에 효과가 없거나 위험할 수도 있는 안전하지 않은 약을 팔 수도 있을 것이다. 의사라고 주장하는 개인들이, 그 중 일부는 교육을 거의 받지 않거나 전혀 받지 않고서, 의료 행위를 하고 심지어 수술까지도 하여, 인간의 건강과 안전 측면에서 막대한 비용을 초래할 수도 있을 것이다.
19영독 T3-20::Some people predict that, in the information age, reliance on expert intuition will gradually be replaced — or at least complemented — by computer programs processing the relevant data using rules known as algorithms. Indeed, this is already happening in arears as varied as medicine, crime detection and sports. There are, for example, computer programs which, when they are fed patients' medical histories, can predict health issues such as heart attacks more reliably than doctors. Similarly, the value of a sports star can often be more accurately assessed by analyzing statistical data on their performance than by relying on the experience and intuitions of coaches. However, if we are not to become 'slaves to the machine', we should keep in mind that since computer programs are designed by people, they, too, are fallible. In practice, if your intuitions conflicted with a computer program, you might still be inclined to follow them.::일부 사람들은 정보화 시대에는 전문가의 직관에 대한 의존이 알고리즘이라고 알려진 규칙을 사용하여 관련 데이터를 처리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점차 대체되거나 적어도 보완될 것으로 예측한다. 사실, 이런 일은 의학, 범죄 적발, 그리고 스포츠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이미 일어나고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병력이 입력되면 심장 마비와 같은 건강 문제를 의사보다 더 믿을 수 있게 예측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있다. 마찬가지로, 스포츠 스타의 가치는 코치의 경험과 직관에 의존함으로써 보다 그들의 기량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흔히 더 정확하게 평가될 수 있다. 하지만 '기계의 노예'가 되지 않으려면, 우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사람에 의해 설계되기 때문에, 그것들 역시 틀릴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실제로 여러분의 직관이 컴퓨터 프로그램과 충돌한다면, 여러분은 여전히 직관을 따르고 싶은 생각이 들 것이다.
19영독 T3-21::Most students put off their studying to the last minute. As a result they must rush through their notes, generally in a state of confusion. How can they even begin to enjoy such a task? They are trying to absorb large numbers of facts under pressure. If the material is not enjoyable, the task of storing enough data to pass an exam is immense. Consider the alternative: If the course material is studied regularly, the amount that has to be learned at any one time is much less and the chance of retaining material is much greater. The exam results of such an approach will be much better than for the last-minute crammer. Thus the student who studies regularly will reap a reward in the form of increased grades. That student is now on the road to enjoying the once-disliked course because of his or her success.::대부분의 학생이 공부를 마지막 순간까지 미룬다. 그 결과 그들은 보통 혼란스러운 상태에서 자신들의 노트를 급히 훑어보아야 한다. 어떻게 그들이 그런 일을 즐기는 것을 시작이라도 할 수 있을까? 그들은 압박감을 느끼면서 아주 많은 사실들을 배워 이해하려고 애쓰고 있다. 자료가 재미없는 경우 시험에 합격할 만큼 충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일은 엄청나게 크다. 대안을 고려해보라, 즉 강의 자료를 규칙적으로 학습할 경우, 어느 때든 한 번에 학습해야 하는 양이 훨씬 적고 자료를 기억할 가능성도 훨씬 크다. 그런 방법의 시험 결과는 마지막 순간에 벼락치기 공부를 하는 학생보다 훨씬 더 좋을 것이다. 그래서 규칙적으로 공부하는 학생은 성적 향상이라는 형태로 보상받게 될 것이다. 그 학생은 이제 자신의 성공 때문에 예전에는 싫어했던 강의를 즐기는 과정에 있다.
19영독 T3-22::Research on cultural styles of communication helps explain some differences in the ways we approach a public speech. In general, many white males, for example, are comfortable with the direct, competitive style of interaction found in public presentations. Because white males have held more public offices and positions of power in the United States historically, it makes sense that their preferred style of communication has become the norm for public speaking. However, there are many other communication styles. African American men, for example, tend to be more comfortable with a complex style of speaking that may be competitive but is more subtle, indirect or exaggerated, intense, poetic, rhythmic, and lyrical. Hispanic or Latino males usually reject the competitive style, favoring a more elegant, expressive, or intense narrative form of public communication. Similarly, Arab American males tend to use an emotional and poetic style (poets often respond to and interpret political events in Middle Eastern countries and rely on rhythm and the sounds of words to express their ideas).::의사소통의 문화적 방식에 대한 연구는 우리가 공개 연설에 접근하는 방식에 있어서 몇 가지 차이점을 설명하는 데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많은 백인 남성은 공개 발표에서 발견되는 직접적이고 경쟁적인 상호 작용 방식에 편안함을 느낀다. 역사적으로 백인 남성들이 미국에서 더 많은 공직과 권력의 자리를 장악해 왔기 때문에, 그들이 선호하는 의사소통 방식이 공개 연설에 일반적인 것이 된 것은 이치에 맞다. 하지만, 다른 많은 의사소통 방식이 있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계 미국인 남성은 경쟁적일 수도 있지만, 더 미묘하고, 간접적이거나 과장되며, 강렬하고, 시적이며, 리듬감이 있고, 서정적인 복합적인 말하기 방식에 더 편안함을 느끼는 경향이 있다. 히스패닉 또는 라틴계 남성들은 보통 경쟁적인 방식을 거부하고 더 우아하거나, 표현력이 풍부한, 혹은 강렬한 이야기 형태의 공개적인 의사 소통을 선호한다. 마찬가지로, 아랍계 미국 남성들은 감정적이고 시적인 방식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시인들은 흔히 중동 국가들의 정치적 사건에 반응하고 해석하며, 그들의 생각을 표현하기 위해 리듬과 단어의 소리에 의존한다).
19영독 T3-23::Douglas McGregor identified two distinct management views of workers and how they are motivated. He called these Theory X and Theory Y. Theory X managers, according to McGregor, view their workers as lazy, disliking work and unprepared to accept responsibility, needing to be controlled and made to work. Clearly, managers with this view will be likely to adopt an autocratic style of leadership and will focus on extrinsic rewards. On the other hand, McGregor believed that the managers who held Theory Y views believed that workers did enjoy work and that they found it as natural as rest or play. They would be prepared to accept responsibility, were creative and they would take an active part in contributing ideas and solutions to work-related problems — meeting their intrinsic needs in the process. A very important point to note about McGregor's work is this —. He did not suggest that there were two types of workers, X and Y, but that the attitudes of management to workers could, in extreme cases, be described by these two theories.::Douglas McGregor는 노동자들과 그들이 어떻게 동기를 가지게 되는지에 관한 두 가지 전혀 다른 경영관을 확인했다. 그는 이것을 X이론과 Y이론이라고 불렀다. McGregor에 따르면, X이론 관리자들은 자신들의 노동자들을 게으르고, 일을 싫어하며, 책임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아서 통제하고 일을 하도록 시킬 필요가 있다고 본다. 분명히, 이 관점을 가진 관리자들은 독재적인 방식의 리더십을 채택할 가능성이 있고 외적인 보상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반면에, Y이론의 관점을 가진 관리자들은 노동자들이 일을 정말 즐기고 일을 휴식이나 놀이만큼 자연스럽게 여기고 있다고 믿는다고 McGregor는 생각했다. 그들은 책임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을 것이고, 창의적이었으며, 업무와 관련된 문제들에 대한 생각과 해결책을 제공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그 과정에서 자신들의 내적인 욕구를 충족시킬 것이다. McGregor의 연구에 대해 주목해야 할 아주 중요한 점은 다음과 같다. 즉, 그는 X와 Y라는 두 가지 유형의 노동자가 있다고 말한 것이 아니라, 극단적인 경우에, 노동자에 대한 경영진의 태도가 이 두 가지 이론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고 했던 것이다.
19영독 T3-25::The basics of brain biology are often not what we think they are. In fact, for much of the twentieth century, it was believed that the number of neurons in the brain increased as we aged. It was thought that connections must expand in number in much the same way that we grow taller or gain more knowledge over time. That's a logical assumption, but a false one. The way the brain actually works, then, is counterintuitive: An infant has more neurons, not fewer, than anyone old enough to be reading this page. Our little Baby Andrew has an excess of neurons. If his development unfolds as it should, he will lose 40 percent of his extra neurons before he grows up. If he does not, he will not be able to function independently in society and will be considered mentally handicapped or disabled. On a structural level, the process by which neurons are shed is remarkably similar to, and in fact is prompted by, the processes of selecting what to pay attention to; an infant's brain matures by selection. As the infant selects from all the world's stimuli those that matter — that deserve attention — he is also "editing" neurons. As he begins to select, concentrate, and focus on some things and not others, his brain is shearing unused neural pathways. When the brain is not making connections, the unused linkages wither away. The excess is eliminated so only the relevant data and relevant neural pathways remain.::뇌 생물학의 기초 원리는 우리가 그렇다고 생각하는 것과 흔히 다르다. 사실 20세기의 상당 기간 동안 사람들은 뇌의 뉴런의 개수가 나이가 들수록 증가한다고 믿었다. 오랜 기간에 걸쳐 서서히 키가 더 크거나 더 많은 지식을 얻는 것과 거의 동일하게 (뉴런의) 연결이 수적으로 분명히 늘어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것은 논리적인 가정이지만 틀린 가정이다. 그렇다면 뇌가 실제로 작동하는 방식은 직관과 반대된다. 유아는 이 페이지를 읽고 있을 만큼 나이가 든 그 누구보다 적지 않은, '더 많은' 뉴런을 갖고 있다. 우리의 어린 아기 Andrew는 지나치게 많은 뉴런을 갖고 있다. 당연히 그렇듯이 그의 발달이 전개되면 그는 성장하기 전에 초과된 뉴런의 40퍼센트를 잃을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그는 사회에서 독립적으로 기능할 수 없을 것이며 정신적으로 장애가 있다고 여겨질 것이다. 구조적인 수준에서 뉴런이 없어지는 과정은 무엇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지를 선택하는 과정과 놀라울 정도로 유사하고, 사실 그 과정에 의해 촉발되며, 유아의 뇌는 선택에 의해 발달한다. 유아는 세상의 모든 자극들 중에서 중요한 것들, 즉 주의를 기울일 만한 것들을 선택하며, 뉴런을 '편집하기'도 한다. 그가 다른 것들이 아니라 어느 특정한 것들을 선택하고, 그것들에 집중하고 초점을 맞추기 시작하면서, 그의 뇌는 사용되지 않는 신경 연결 통로를 잘라낸다. 뇌가 연결을 하지 '않을' 때, 사용되지 않는 연결은 약해진다. 초과된 것이 제거되고 그래서 오직 관련된 데이터와 관련된 신경 연결 통로만 남는다.
19영독 T3-28::A few years back Mariana and her four-year-old son, Ernesto, went out for lunch at a local park. As they sat down at a picnic table and she began laying out some sandwiches and fruit, she noticed an old woman seated at another table not far from theirs. Her clothing looked shabby, and her bag was a bit dirty, so Mariana made the quick assumption that the woman was unstable. Before she could stop him, her son jumped off the bench and ran to the woman. "Hi, I'm Ernesto!" he said. "Well, hello, Ernesto," the woman said. "My name is Kate. It's a beautiful day, isn't it?" Mariana stood up to chase down her son, thinking this woman could be dangerous. But now she wasn't so sure what to do. The woman sounded so healthy and well spoken. Mariana slowly sat back down, but kept watching closely. "How old are you, Ernesto?" said Kate. "Guess!" Ernesto shot back with a big smile. He was fascinated by Kate, staring at her long, wild gray hair. Kate smiled back at Ernesto and said, "You look big enough to be five. Are you five years old?" "Nope," he said, "I'm four. How old are you?" "Guess!" she said. That surprised him, so the two of them started laughing. Now Mariana was relaxing. "This woman isn't dangerous," she thought. "She's fun." Ernesto had been challenged with a difficult question. He looked over to his mom for help, but she made it clear that he was on his own. He walked all around his new friend, looking her over very carefully. Finally, he cautiously touched the skin on her arm, and that seemed to inform his answer. He looked Kate right in the eyes and gave it his best shot: "A thousand?" Mariana was mortified. But before she could apologize, the old woman threw her head back and burst out laughing. And once she started laughing hard, Ernesto started laughing too. Soon, Mariana had joined the club. Kate ended up joining them for lunch, and has since become a treasured friend of the family.::몇 년 전에 Mariana와 그녀의 네 살짜리 아들 Ernesto는 동네 공원에 점심을 먹으러 나갔다. 그들이 피크닉 테이블에 앉고 그녀가 약간의 샌드위치와 과일을 놓기 시작했을 때, 그녀는 그들의 테이블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있는 다른 테이블에 한 나이 든 여인이 앉아 있는 것을 알아챘다. 그녀의 옷이 허름해 보였고 가방이 좀 더러워서 Mariana는 그 여인이 불안정한 사람일 거라고 빠르게 추정했다. 그녀가 말리기 전에 그녀의 아들은 벤치에서 뛰어나가 그 여인에게 달려갔다. "안녕하세요, 저는 Ernesto예요!"라고 그가 말했다. "그래, 안녕, Ernesto"라고 그 여인이 말했다. "내 이름은 Kate란다. 날씨가 아주 좋아, 그렇지?" Mariana는 이 여인이 위험할 수도 있다고 생각해서 자신의 아들을 쫓아가려고 일어났다. 하지만 이제 그녀는 무엇을 해야 할지 그렇게 확신할 수 없었다. 그 여인의 목소리는 매우 건강하게 들렸고, 점잖게 말을 했다. Mariana는 천천히 자리에 다시 앉았지만 면밀히 계속 지켜보았다. "Ernesto야, 너는 나이가 몇 살이니"라고 Kate가 말했다. "맞혀 보세요!" Ernesto는 큰 미소를 지으며 되받아쳤다. 그는 Kate에게 마음이 끌려, 그녀의 긴 흐트러진 흰머리를 빤히 쳐다보았다. Kate는 Ernesto에게 미소로 답하며, "다섯 살은 될 만큼 커 보이는구나. 다섯 살이니"라고 말했다. "아뇨." 그가 말했다. "저는 네 살이에요. 할머니는 몇 살이에요?" "맞혀 보렴!" 그녀가 말했다. 그 말은 그를 놀라게 했고, 그 둘은 웃기 시작했다. 이제 Mariana는 마음이 편안해졌다. "이 여인은 위험하지 않아"라고 그녀는 생각했다. "그녀는 재밌어." Ernesto는 어려운 질문에 대한 답을 요구받았다. 그는 도움을 요청하려고 엄마 쪽을 보았으나 엄마는 그가 혼자 힘으로 해야 한다는 것을 분명히 하였다. 그는 자신의 새로운 친구 주변을 걸어 다니며 그녀를 매우 주의 깊게 살펴보았다. 마침내 그는 조심스럽게 그녀의 팔의 피부를 만졌고, 그렇게 하는 것이 그의 답을 알려주는 것 같았다. 그는 Kate의 눈을 바로 보고 최선의 노력을 다했다. "천 살이에요?" Mariana는 몹시 당황했다. 하지만 그녀가 사과하기 전에 그 나이 든 여인은 고개를 뒤로 젖히고 웃음을 터트렸다. 그리고 일단 그녀가 크게 웃기 시작하자 Ernesto도 웃기 시작했다. 곧 Mariana는 그들과 함께 했다. Kate는 결국 그들과 점심을 함께했고, 이후로 그 가족의 소중한 친구가 되었다.​

728x90
반응형

'본문 한줄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딩파워 유형완성  (0) 2019.04.28
리딩파워 기본  (0) 2019.04.28
20수특1  (0) 2019.04.28
파사쥬유  (1) 2019.04.28
파사쥬구  (0) 2019.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