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3-18::To Whom It May Concern: As a lifelong Springfield resident who has two children attending George May Elementary School, I have spent a lot of time at the Springfield Park both as a youth and as a mother. I have recognized the need for upgrades that would enhance the lives of residents. The current park has outdated BBQ facilities and tables as well as a patchy and uneven lawn area that at most times is not much more than a mud pit. The baseball field and spectator area is completely worn out as well. The renovation will ensure that the children of our community have a safe place to play and engage in sports to occupy their time. I ask that you take the time to seriously address this issue.::관계자 귀하, George May 초등학교에 다니는 두 아이를 가진 평생을 Springfield에서 지내온 거주자로, 저는 청소년이나 엄마로서 Springfield 공원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 왔습니다. 저는 거주자의 삶을 향상할 개선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해 왔습니다. 현재의 공원에는 주로 진흙 웅덩이와 다름없는 드문드문하고 고르지 않은 잔디 구역뿐 아니라 노후화된 바비큐 시설과 탁자가 있습니다. 야구장과 관중석 또한 완전히 낡았습니다. 재정비는 우리 지역 아이들이 놀고, 그들의 시간을 보낼 스포츠에 참여할 안전한 장소를 갖는 것을 보장해 줄 것입니다. 저는 귀하가 이 문제를 시간을 갖고 진지하게 다루어 주시기를 요청합니다.
1943-19::Suddenly, just a few minutes after Timothy dozed off, something woke him up. Something was crawling on his belly as he was lying there with nothing around his upper body. Two scorpions from the rocks above had fallen on his stomach. They were battling with each other. Timothy, not knowing what to do, stayed very still just watching them fight. His heart started pounding heavily; he was too scared to make a move. Sweat poured from his forehead. The two scorpions were violently attacking each other, and it seemed they were fighting to the death. Timothy nervously looked down at the ground. He saw another scorpion, and not far from that one was another one. This time Timothy started to sweat even more heavily.::Timothy가 꾸벅꾸벅 졸은 지 불과 몇 분 후에 갑자기 무언가가 그를 깨웠다. 그가 자신의 상체에 아무것도 걸치지 않고 누워 있을 때, 무언가가 그의 배 위를 기어가고 있었다. 위쪽의 바위에서 두 마리의 전갈이 그의 배 위로 떨어졌다. 그것들은 서로 싸우고 있었다. Timothy는 무엇을 해야 할지 몰라 그것들이 싸우는 것을 단지 바라만 보며 꼼짝 않고 있었다. 그의 심장이 심하게 쿵쾅거리기 시작했고, 그는 너무 무서워서 움직일 수 없었다. 그의 이마에서 땀이 쏟아졌다. 두 마리의 전갈은 서로 격렬하게 공격하고 있었고, 그것들이 서로 죽일 듯이 싸우는 것처럼 보였다. Timothy는 초조하게 땅을 내려다 보았다. 그는 또 다른 전갈을 보았고, 그것에서 멀지 않은 곳에 또 한 마리가 있었다. 이번에는 Timothy는 더욱 심하게 땀을 흘리기 시작했다.
1943-20::Interactions with people are the major source of emotional stress, but it doesn't have to be that way. The problem is that we are continually judging people, wishing they were something that they are not. We want to change them. We want them to think and act a certain way, most often the way we think and act. And because this is not possible, because everyone is different, we are continually frustrated and upset. Instead, see other people as phenomena, as neutral as comets or plants. They simply exist. They come in all varieties, making life rich and interesting. Work with what they give you, instead of resisting and trying to change them. Make understanding people a fun game, the solving of puzzles. It is all part of the human comedy. Yes, people are irrational, but so are you. Make your acceptance of human nature as radical as possible. This will calm you down and help you observe people more dispassionately, understanding them on a deeper level.::사람들과의 상호 작용은 감정적 스트레스의 주요 원인이지만 그런 식일 필요는 없다. 문제는 우리가 사람들을 그들이 아닌 무언가이기를 바라며 계속해서 판단하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그들을 변화시키기를 원한다. 우리는 그들이 특정 방식, 즉 주로 우리가 생각하고 행동하는 방식으로 생각하고 행동하기를 원한다. 그리고 모든 사람이 다르므로 이것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계속해서 좌절하고 화가 난다. 대신 다른 사람들을 혜성이나 식물과 같은 중립적인 현상으로 보아라. 그들은 단지 존재할 뿐이다. 그들은 각양각색으로 다가오며 삶을 풍부하고 흥미롭게 만든다. 그들을 거부하거나 변화시키려는 것 대신 그들이 여러분에게 주는 것을 가지고 일해라. 사람들을 이해하는 것을 재미있는 게임, 즉 퍼즐을 푸는 것으로 만들어라. 이 모든 것이 인간 희극의 일부이다. 그렇다, 사람들은 비이성적이지만 여러분 역시 마찬가지이다. 인간 본성을 가능한 한 급진적으로 받아들여라. 이것은 여러분을 진정시키고, 여러분이 사람들을 더욱 감정에 치우치지 않고 바라보아, 더 깊은 차원에서 그들을 이해하도록 도와줄 것이다.
1943-21::Many writers make the common mistake of being too vague when picturing a reader. When it comes to identifying a target audience, everyone is no one. You may worry about excluding other people if you write specifically for one individual. Relax ― that doesn't necessarily happen. A well-defined audience simplifies decisions about explanations and word choice. Your style may become more distinctive, in a way that attracts people beyond the target reader. For example, Andy Weir wrote The Martian for science fiction readers who want their stories firmly grounded in scientific fact, and perhaps rocket scientists who enjoy science fiction. I belong to neither audience, yet I enjoyed the book. Weir was so successful at pleasing his target audience that they shared it widely and enthusiastically. Because Weir didn't try to cater to everyone, he wrote something that delighted his core audience. Eventually, his work traveled far beyond that sphere. It may be counter-intuitive, but if you want to broaden your impact, tighten your focus on the reader.::많은 작가는 독자를 떠올릴 때 너무 모호해지는 흔한 실수를 한다. 대상 독자층을 판단하는 데 있어서 '모두'는 '아무도 아니다'. 만약 여러분이 특별히 한 사람을 위해 글을 쓰고 있다면 다른 사람들을 배제하는 것에 대하여 걱정할지도 모른다. 안심해라, 그것이 반드시 일어나지는 않는다. 잘 규정된 독자층은 설명과 단어 선택에 대한 결정을 단순화한다. 대상 독자층 이상의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방식으로 여러분의 문체는 좀 더 독특해질지도 모른다. 예를 들면, Andy Weir는 자기가 읽고 있는 이야기가 과학적 사실에 확고하게 기반을 두기를 원하는 공상 과학 소설 독자들과 아마도 공상 과학 소설을 즐기는 로켓 과학자들을 위해 The Martian을 썼다. 나는 두 독자층 어디에도 속하지 않지만 그 책을 즐겼다. Weir는 그의 대상 독자층을 기쁘게 하는 데 매우 성공적이어서 그들이 그것을 널리 그리고 열정적으로 공유했다. Weir가 모두의 구미를 맞추려 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는 자신의 핵심 독자층을 즐겁게 해 준 무언가를 썼다. 결국 그의 작품은 그 범위를 훨씬 넘어 전해졌다. 직관에 어긋날지도 모르지만 만약에 여러분의 영향력을 넓히고 싶다면 독자층에 대한 여러분의 초점을 좁혀라.
1943-22::The impact created by a change in your habits is similar to the effect of shifting the route of an airplane by just a few degrees. Imagine you are flying from Los Angeles to New York City. If a pilot leaving from LAX (Los Angeles International Airport) adjusts the heading just 3.5 degrees south, you will land in Washington, D.C., instead of New York. Such a small change is barely noticeable at takeoff ― the nose of the airplane moves just a few feet ― but when magnified across the entire United States, you end up hundreds of miles apart. Similarly, a slight change in your daily habits can guide your life to a very different destination. Making a choice that is 1 percent better or 1 percent worse seems insignificant in the moment, but over the span of moments that make up a lifetime these choices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who you are and who you could be. Success is the product of daily habits ― not once-in-a-lifetime transformations.::여러분의 습관 변화에 의해 만들어지는 영향은 비행기의 경로를 단지 몇 도 정도 바꾸는 것의 효과와 비슷하다. 여러분이 Los Angeles에서 New York City로 비행하고 있다고 상상해 봐라. 만약 LAX(Los Angeles 국제공항)를 떠나는 비행기 조종사가 비행 방향을 단지 3.5도 남쪽으로 조정한다면, 여러분은 New York 대신에 Washington D.C.에 도착할 것이다. 비행기의 앞부분이 단지 몇 피트 움직인 그러한 작은 변화는 이륙할 때 거의 눈에 띄지 않지만, 미국 전역으로 확대될 때 여러분은 결국 수 백 마일 멀어지게 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여러분의 일상 습관에서의 작은 변화는 여러분의 삶을 매우 다른 목적지로 이끌 수 있다. 1퍼센트 더 나은 혹은 1퍼센트 더 나쁜 선택을 하는 것은 그 순간에는 대수롭지 않아 보이지만 일생을 구성하는 순간들의 기간에 걸쳐 이러한 선택들은 여러분이 누구인지와 여러분이 어떤 사람이 될 수 있을지 사이의 차이를 결정한다. 성공은 일생의 단 한 번뿐인 변화가 아닌 일상 습관의 산물이다.
1943-23::Good architecture and good engineering are both arts requiring science ― but they are aimed at different purposes. Art is difficult to define but is an ability to make something of more than ordinary significance. Science is a branch of knowledge which is systematic, testable, and objective ― science is what we know. When architecture and engineering get artificially separated, the outcomes may not be as they should be. For example, a developer investing in a new building might appoint an architect to develop a scheme proposal to meet the needs of the client. If that is done without the involvement of properly qualified engineers then, later, when the project gets underway, there will inevitably be practical problems. In the worst building projects architects specify structural forms that may simply be unbuildable or unnecessarily expensive to build. It follows that in the best building projects architects and engineers work together right from the start. Good structural design can provide a huge amount of savings in the cost of construction.::좋은 건축과 좋은 공학은 둘 다 과학을 필요로 하는 예술이지만 그것들은 다른 목적을 대상으로 한다. 예술은 정의하기 어렵지만 평범한 중요성 이상의 무언가를 만드는 능력이다. 과학은 체계적이며 검증 가능하고 객관적인 지식의 분야로, 과학은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이다. 건축과 공학이 인위적으로 분리될 때, 그 결과물은 그것이 되어야 하는 대로 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새 건물에 투자하는 개발업자는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설계 제안을 만들어 내도록 건축가를 지명할지도 모른다. 만약 그때 그것이 적절하게 자격을 갖춘 공학자의 관여 없이 행해진다면, 나중에 그 프로젝트가 진행될 때, 실질적인 문제들이 필연적으로 있을 것이다. 최악의 건축 프로젝트의 경우 건축가들은 단순히 건축할 수 없거나 건축하기에 불필요하게 돈이 들 수 있는 구조적 형태들을 명시한다. 최고의 건축 프로젝트의 경우 건축가들과 공학자들은 시작부터 바로 함께 일한다. 좋은 구조의 디자인은 건축 비용에서 엄청난 절감을 가져올 수 있다.
1943-24::The human brain wants to stay where it is, in the comfort zone. If we stay in our comfort zone, we don't have to struggle to survive. We minimize the risk to our survival by staying where we know we are safe. I often explain to my MBA students that the reason they take the same seat in class every week is that we are, at our core, instinctual animals. Once we have chosen a seat and made it through class safely without being attacked, the part of our brain responsible for our survival tells us that our best option is to repeat that behavior, because in a way it is the most economical use of our energy. As part of its strategy for survival, our brain wants to conserve energy, so once we sit in a particular spot and know that it's safe, we will subconsciously want to sit there every time and avoid having to reevaluate the safety of a new spot.::인간의 뇌는 그것이 있는 곳, 안락 영역 안에 머물기를 원한다. 만약 우리가 우리의 안락 영역 안에 머무른다면, 우리는 생존하기 위해 고군분투할 필요가 없다. 우리는 우리가 안전하다는 것을 아는 장소에 머묾으로써 우리의 생존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한다. 나는 종종 나의 MBA 학생들에게 그들이 매주 수업에서 같은 자리에 앉는 이유는 우리가 본질적으로 본능적인 동물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일단 우리가 자리를 선택하고 공격당하지 않고 안전하게 수업을 끝내고 나면, 생존을 책임지는 우리의 뇌 일부가 우리에게 최고의 선택은 그 행동을 반복하는 것이라고 말해주는데, 왜냐하면 어떤 면에서는 그것이 우리 에너지의 가장 경제적인 사용이기 때문이다. 생존에 대한 뇌의 전략의 일부로 우리의 뇌는 에너지를 보존하길 원해서, 우리가 특정한 자리에 앉고 그곳이 안전하다는 것을 알면 우리는 잠재의식적으로 매번 거기에 앉기를 원할 것이고 새로운 자리의 안전성을 재평가해야 하는 것을 피할 것이다.
1943-26::Ivan Turgenev, the first Russian writer to be widely celebrated in the West, was born in Russia in 1818. He entered the University of Moscow in 1833, but before a year had passed he transferred to the University of St Petersburg because of a family move. Later, he traveled to Germany, where he enrolled at the University of Berlin and studied philosophy for three years. Upon returning to St Petersburg and failing to find an academic position, he began work as a public official there, but his interests turned more and more toward literature. After retiring from the service, he went to France. By the mid-1850s, he was spending as much time in Europe as in Russia. In August of 1860 in England, he conceived the idea for his Fathers and Sons; he finished the novel in July of 1861 in Russia. The book received a hostile reaction in Russia, but gained prominence in the Western world. He received an honorary degree from the University of Oxford in 1879.::서양에서 널리 칭송 받는 최초의 러시아 작가인 Ivan Turgenev는 1818년에 러시아에서 태어났다. 그는 1833년에 Moscow 대학에 입학하였으나, 일 년이 지나기도 전에 가족의 이사 때문에 St Petersburg 대학교로 옮겼다. 나중에 그는 독일로 여행을 갔고 그곳에서 Berlin 대학에 등록하여 3년 동안 철학을 공부했다. St Petersburg로 돌아와 교직을 구하는 데 실패하자 그곳에서 공무원으로서 일하기 시작했으나 그의 관심은 점점 더 문학으로 향했다. 공직에서 은퇴한 후, 그는 프랑스로 갔다. 1850년대 중반 무렵에 그는 러시아에 있었던 것만큼 많은 시간을 유럽에서 보내고 있었다. 1860년 8월에 영국에서 그는 자신의 Fathers and Sons에 대한 아이디어를 구상했고, 그 소설을 러시아에서 1861년 7월에 완성했다. 그 책은 러시아에서 적대적인 반응을 얻었지만 서구 세계에서는 명성을 얻었다. 그는 1879년에 Oxford 대학으로부터 명예 학위를 받았다.
1943-29::The present moment feels special. It is real. However much you may remember the past or anticipate the future, you live in the present. Of course, the moment during which you read that sentence is no longer happening. This one is. In other words, it feels as though time flows, in the sense that the present is constantly updating itself. We have a deep intuition that the future is open until it becomes present and that the past is fixed. As time flows, this structure of fixed past, immediate present and open future gets carried forward in time. Yet as natural as this way of thinking is, you will not find it reflected in science. The equations of physics do not tell us which events are occurring right now ― they are like a map without the "you are here" symbol. The present moment does not exist in them, and therefore neither does the flow of time.::현재 순간은 특별하게 느껴진다. 그것은 실재한다. 여러분이 얼마나 많이 과거를 기억하거나 미래를 예상할지라도, 여러분은 현재에 살고 있다. 물론, 여러분이 그 문장을 읽었던 그 순간은 더 이상 일어나지 않고 있다. 이 순간은 일어나고 있다. 다시 말해서, 현재가 지속적으로 그 자체를 갱신하고 있다는 의미에서 시간은 흐르는 것처럼 느껴진다. 우리는 미래가 그것이 현재가 될 때까지 열려 있고 과거는 고정되어 있다는 깊은 직관력을 가지고 있다. 시간이 흐르면서, 고정된 과거, 당면한 현재 그리고 열린 미래라는 이 구조가 시간 안에서 앞으로 흘러간다. 그러나 이러한 사고방식이 자연스러울지라도, 여러분은 이것이 과학에 반영된 것은 발견하지 못할 것이다. 물리학의 방정식들은 어떤 사건들이 바로 지금 발생하고 있는지 우리에게 말해 주지 않는데, 그것들은 '현재 위치' 표시가 없는 지도와 같다. 현재 순간은 그것들 안에 존재하지 않으며, 그러므로 시간의 흐름도 그렇지 않다.
1943-30::The conscious preference for apparent simplicity in the early-twentieth-century modernist movement in prose and poetry was echoed in what is known as the International Style of architecture. The new literature avoided old-fashioned words, elaborate images, grammatical inversions, and sometimes even meter and rhyme. In the same way, one of the basic principles of early modernist architecture was that every part of a building must be functional, without any unnecessary or fancy additions. Most International Style architecture aggressively banned moldings and sometimes even window and door frames. Like the prose of Hemingway or Samuel Beckett, it proclaimed, and sometimes proved, that less was more. But some modern architects, unfortunately, designed buildings that looked simple and elegant but didn't in fact function very well:. Their flat roofs leaked in wet climates and their metal railings and window frames rusted. Absolute simplicity, in most cases, remained an ideal rather than a reality, and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complex architectural decorations continued to be used in many private and public buildings.::산문과 시에서 20세기 초반 근대주의 운동에서의 명백한 단순성에 대한 의식적 선호는 건축의 국제양식으로 알려진 것에 투영되었다. 이 새로운 문학은 오래된 낱말, 정교한 비유, 문법적 도치, 그리고 때때로 운율과 각운조차 피했다. 같은 방식으로, 초기 근대주의 건축의 기본 원칙 중 하나는 건물의 모든 부분이 어떠한 불필요하거나 멋진 추가물이 없이 기능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국제양식 건축은 몰딩과 때때로 창과 문의 틀조차 적극적으로 금했다. Hemingway나 Samuel Beckett의 산문처럼, 그것은 더 적은 것이 더 낫다는 것을 주장했고 때때로 증명했다. 그러나 일부 근대 건축가들은 불행히도 단순하고 우아해 보이지만 사실은 잘 기능하지 않았던 건물을 설계했다. 그것들의 평평한 지붕은 비가 많은 지역에서는 물이 샜고 그것들의 금속 난간과 창틀은 녹이 슬었다. 대부분의 경우에서 절대적 단순성은 현실이라기보다 이상으로 남았고 20세기 초반에 복잡한 건축 장식이 많은 민간 그리고 공공건물에서 계속해서 사용되었다.
1943-31::The skeletons found in early farming villages in the Fertile Crescent are usually shorter than those of neighboring foragers, which suggests that their diets were less varied. Though farmers could produce more food, they were also more likely to starve, because, unlike foragers, they relied on a small number of crops, and if those crops failed, they were in serious trouble. The bones of early farmers show evidence of vitamin deficiencies, probably caused by regular periods of starvation between harvests. They also show signs of stress, associated, perhaps, with the intensive labor required for plowing, harvesting crops, felling trees, maintaining buildings and fences, and grinding grains. Villages also produced refuse, which attracted vermin, and their populations were large enough to spread diseases that could not have survived in smaller, more nomadic foraging communities. All this evidence of declining health suggests that the first farmers were pushed into the complex and increasingly interconnected farming lifeway rather than pulled by its advantages.::비옥한 초승달 지대의 초기 농경 마을들에서 발견된 유골은 이웃하고 있는 수렵채집인의 것들보다 대체로 작았는데, 이는 그들의 식단이 덜 다양했다는 것을 암시한다. 비록 농경인이 좀 더 많은 식량을 생산할 수 있었지만 그들은 굶주렸을 가능성 또한 더 높았는데, 왜냐하면 수렵채집인과는 달리 그들은 적은 수의 작물들에 의존했고, 그러한 작물들이 실패하면 심각한 곤경에 처했기 때문이다. 초기 농경인의 뼈들은 아마도 수확기 사이의 정기적인 기근의 시기에 의해 발생했을 비타민 결핍의 흔적을 보여준다. 그것들은 어쩌면 쟁기질, 작물 수확, 나무 베기, 건물과 울타리 유지 보수하기, 그리고 곡식 빻기를 하는 데 요구되는 강도 높은 노동과 관련이 있는 스트레스의 징후 또한 보여 준다. 마을은 또한 쓰레기를 만들었는데 이는 해충을 끌어들였고, 마을의 인구가 많아서 더 작고, 더 유목 생활을 하는 수렵채집 집단에서는 지속되지 못했을 병을 퍼뜨리기에 충분했다. 쇠약해지는 건강에 대한 이러한 모든 증거는 초기 농경인이 농경의 장점에 끌리기보다는 복잡하고 점차 서로 연결된 농경 생활 방식으로 떠밀렸음을 암시한다.
1943-32::One study showed that a certain word (e.g., boat) seemed more pleasant when presented after related words (e.g., sea, sail). That result occurred because of conceptual fluency, a type of processing fluency related to how easily information comes to our mind. Because "sea" primed the context, the heightened predictability caused the concept of "boat" to enter people's minds more easily, and that ease of processing produced a pleasant feeling that became misattributed to the word "boat." Marketers can take advantage of conceptual fluency and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ir advertisements by strategically positioning their ads in predictive contexts. For example, an experiment showed that consumers found a ketchup ad more favorable when the ad was presented after an ad for mayonnaise. The mayonnaise ad primed consumers' schema for condiments, and when the ad for ketchup was presented afterward, the idea of ketchup came to their minds more easily. As a result of that heightened conceptual fluency, consumers develope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ketchup advertisement.::한 연구는 특정 단어(예를 들면, 배)가 관련 단어(예를 들면, 바다, 항해하다) 이후에 제시되었을 때 더욱 호감이 느껴지는 것 같다는 점을 보여 주었다. 그 결과는 정보가 얼마나 쉽게 우리 머릿속에 떠오르는가와 관련된 일종의 처리 유창성의 유형인 개념적 유창성 때문에 발생했다. '바다'가 맥락을 준비시켰기 때문에 고조된 예측가능성이 '배'의 개념이 사람들의 머릿속에 좀 더 쉽게 들어올 수 있도록 야기했고, 그 처리의 용이함이 '배'라는 단어에 실수로 부여되는 호감을 만들어냈다. 전략적으로 마케터들은 예상케 하는 맥락들 속에 자신들의 광고들을 배치함으로써 개념적 유창성을 이용하여 자신들의 광고의 효과를 강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실험은 소비자들이 케첩 광고가 마요네즈 광고 후에 제시되었을 때 그 케첩 광고를 더 호의적이라고 느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마요네즈 광고는 소비자들의 양념에 대한 스키마를 준비시켰고, 케첩 광고가 그 뒤에 제시되면 케첩에 대한 개념이 그들의 머릿속에 더 쉽게 떠올랐다. 그러한 고조된 개념적 유창성의 결과로 소비자들은 그 케첩 광고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했다.
1943-33::Any discussion of coevolution quickly runs into what philosophers call a "causality dilemma," a problem we recognize from the question, "Which came first, the chicken or the egg?" For bees and flowers, we know that both sides arrived at the party well-prepared for dancing. Branched hairs apparently complemented a bee's taste for pollen from the earliest stage of their evolution. On the botanical side, plants had long been experimenting with insect pollination, attracting dance partners with nectar or edible blossoms. Lack of fossil evidence makes it impossible to run the movie backward and watch the first steps of the dance unfold, but modern studies suggest that plants are often the ones taking the lead. When researchers changed monkeyflowers from pink to orange, for example, pollinator visits shifted from bumblebees to hummingbirds. A similar experiment on South American petunias showed that the flower could trade in bees for hawk moths by altering the activity of a single gene. These findings confirm that relatively simple steps in floral evolution can have dramatic consequences for pollinators.::공진화(共進化)에 대한 어떠한 논의도 철학자들이 '인과관계 딜레마'라고 부르는 것, 즉 '어느 것이 먼저인가, 닭인가 아니면 달걀인가'라는 질문에서 우리가 인식하는 문제에 곧 부딪힌다. 벌들과 꽃들에 대해서, 우리는 양쪽 다 춤추기에 잘 준비된 채로 파티에 도착했다는 것을 안다. 갈라진 털들은 분명히 그들의 진화의 가장 이른 단계부터 벌의 꽃가루에 대한 선호를 보완했다. 식물의 측면에서는, 식물들은 화밀(花蜜)이나 먹을 수 있는 꽃들로 춤 파트너들을 유인하며 오랫동안 곤충에 의한 꽃가루 받이(수분)를 실험해 왔다. 화석 증거의 부족이 이 영화를 되감아 그 춤의 최초 스텝들이 전개되는 것을 살펴보기를 불가능하게 만들지만, 현대 연구들은 식물들이 종종 주도하는 존재들이라는 것을 보여 준다. 예를 들어 연구자들이 물꽈리아재비들을 분홍색에서 주황색으로 바꾸었을 때, 꽃가루 매개자 방문이 호박벌들에서 벌새들로 바뀌었다. 남아메리카 피튜니아들에 대한 유사한 실험은 단 하나의 유전자의 활동을 바꿈으로써 그 꽃이 벌들을 박각시나방들로 교체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발견들은 꽃의 진화에서의 비교적 단순한 스텝들이 꽃가루 매개자들에게는 극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해 준다.
1943-34::There is good evidence that the current obesity crisis is caused, in part, not by what we eat (though this is of course vital, too) but by the degree to which our food has been processed before we eat it. It is sometimes referred to as the "Calorie Delusion." In 2003, scientists at Kyushu University in Japan fed hard food pellets to one group of rats and softer pellets to another group. In every other respect the pellets were identical: same nutrients, same calories. After twenty-two weeks, the rats on the soft-food diet had become obese, showing that texture is an important factor in weight gain. Further studies involving pythons (eating ground cooked steak versus intact raw steak) confirmed these findings. When we eat chewier, less processed foods, it takes us more energy to digest them, so the number of calories our body receives is less. You will get more energy from a slow-cooked apple puree than a crunchy raw apple, even if the calories on paper are identical.::현재의 비만 위기가 부분적으로는 우리가 먹는 것(물론 이것도 중요하지만)이 아니라 우리의 음식이 우리가 그것을 먹기 전에 가공된 정도에 의해 유발된다는 유효한 증거가 있다. 이것은 때때로 '칼로리 착각'이라고 일컬어진다. 2003년 일본 Kyushu 대학의 과학자들이 한 무리의 쥐에게는 딱딱한 사료 알갱이를, 또 다른 무리에게는 더 부드러운 알갱이를 먹였다. 다른 모든 면에서 이 알갱이들은 같은 영양소, 같은 칼로리로 동일했다. 22주 후, 부드러운 사료를 식단으로 한 쥐는 이미 비만이 되었고, 질감이 체중 증가에서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보여 주었다. (갈아서 익힌 스테이크와 온전한 익히지 않은 스테이크를 먹은) 비단뱀과 관련한 이후의 연구들이 이러한 발견들을 확인해 주었다. 우리가 더 질기고 덜 가공된 음식을 먹을 때, 그것을 소화시키는 데 더 많은 열량을 필요로 하고, 따라서 우리 몸이 받아들이는 칼로리 수치가 더 낮다. 이론상 칼로리는 동일하더라도, 여러분은 아삭아삭한 생사과보다 천천히 익힌 사과 퓌레에서 더 많은 열량을 얻을 것이다.
1943-35::Some of the things we profess to value in the abstract may not, in fact, characterize our actual everyday experiences. For instance, we say that "honesty" and "open communication" are the foundational values of any strong relationship. But think of how many times you've lied to a potential romantic partner in order to make the person feel better about himself or herself. Likewise, every parent knows that lying to their kids about everything from the arrival of Santa Claus to the horrible things that will happen if they don't eat their peas is a key component of raising a child. As one author put it, "If you want to have love in your life, you'd better be prepared to tell some lies and to believe some lies."::우리가 관념적으로 가치 있다고 주장하는 것 중 어떤 것은 사실상 우리 일상 경험의 특성을 나타내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리는 '정직'과 '열린 의사소통'이 어떤 굳건한 관계에서도 기본적인 가치라고 말한다. 하지만 여러분이 잠재적 연인에게 그 사람이 자신에 대해 기분이 더 좋을 수 있도록 얼마나 여러 번 거짓말했는지에 대해 생각해 보라. 마찬가지로, 모든 부모는 산타클로스가 오는 것에서부터 만약에 아이들이 완두콩을 먹지 않는다면 발생할 수 있는 끔찍한 것들까지의 모든 것에 대해 아이들에게 거짓말하는 것이 아이 양육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알고 있다. 한 작가가 말했듯이 '만약 여러분의 삶에서 사랑을 원한다면, 여러분은 어느 정도의 거짓말을 하는 것과 어느 정도의 거짓말을 믿을 준비를 하는 편이 나을 것이다.'
1943-36::People absorb iron best when it comes together with something else we readily absorb ― for example, vitamin_C. Vegetarians use this trick to boost their iron absorption. By combining sources of iron with sources of vitamin C, they can ensure that their bodies are better able to absorb both. A large dose of vitamin C can increase iron absorption sixfold. Unfortunately, the opposite is also true. A diet poor in vitamin C makes iron absorption difficult, often leading to the double bad luck of scurvy and anemia. Just imagine that combination. It's bad enough that you are pale and exhausted, but you could also lose muscle tone and begin bleeding internally. Vegetarians in developed countries avoid these fatal symptoms because they have access to many foods that are high in both iron and vitamin C, such as broccoli and spinach. Poor people in the developing world are usually less fortunate, however, as those key foods are often precious and strictly seasonal.::사람들은 철분을 예를 들어, 비타민 C와 같은 손쉽게 흡수할 수 있는 그 밖의 다른 것과 함께할 때 가장 잘 흡수한다. 채식주의자들은 그들의 철분 흡수를 증진시키기 위해 이 요령을 사용한다. 철분 공급원과 비타민 C 공급원을 결합함으로써, 그들은 자신의 신체가 둘 다를 더 잘 흡수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다량의 비타민 C 섭취는 철분 흡수를 여섯 배로 증진시킬 수 있다. 불행하게도 그 반대 역시 사실이다. 비타민 C가 부족한 식단은 철분 흡수를 어렵게 하여, 종종 괴혈병과 빈혈증이라는 두 배의 불운을 야기한다. 한번 그 조합을 상상해 보자. 여러분이 창백하고 무기력한 것만으로도 충분히 심각한데, 여러분은 또한 근육의 탄력을 잃을 수 있고 몸 안의 출혈이 시작될 수 있다. 선진국의 채식주의자들은 브로콜리나 시금치와 같은 철분과 비타민 C 모두가 풍부한 많은 음식을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치명적인 증상들을 피한다. 하지만, 개발도상국의 가난한 사람들은 그러한 주요 음식들이 종종 귀하고 엄격하게 계절적이기에 대개 불운하다.
1943-37::A change in motivation can be effected by targeting the physical consequences of various actions. This method is not at all automatic for most people. In general, people accept and deal with the set consequences of their actions prescribed by their surroundings. It is, however, possible for a person to personally manipulate and create consequences for his actions. This will inevitably have an effect on his future motivation and behavior. Most often this is achieved through the imposition of monetary consequences. A bet is a typical example of this. A person striving to reach a difficult goal or complete a task ― building a rocking chair or losing weight, for instance ― will be wise to supplement his motivation to do so by making a bet on it with a friend. He would of course bet in favor of himself. In doing so, he will receive both a positive incentive to complete the task (his desire to collect the reward for winning the bet) and a negative disincentive to quit the task (his desire to avoid having to pay out if he loses).::동기 부여의 변화는 다양한 행동의 물질적 결과를 목표로 하는 것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이 방법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결코 자동적이지 않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신의 환경에 의해 규정된 자기 행동의 정해진 결과를 받아들이고 처리한다. 그러나 사람이 자신의 행동에 대한 결과를 직접 조종하고 만들어 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필연적으로 자신의 미래 동기 부여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주로 이것은 금전적 결과물의 부여를 통해 이루어진다. 내기는 이것의 전형적인 예이다. 예를 들어, 흔들의자를 만들거나 체중을 감량하는 것과 같은 어려운 목표에 도달하거나 과제를 완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은 친구와 그것에 대해 내기를 함으로써 그렇게 하고자 하는 자신의 동기 부여를 보완하는 것이 현명할 것이다. 그는 물론 자신에게 이익이 되도록 내기를 할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과제를 완성하는 데 있어 긍정적인 유인책(내기에 이겼을 때의 보상금을 받고자 하는 그의 욕망)과 과제를 중단하는 데 있어 부정적인 억제책(만약 그가 진다면 지불해야 하는 것을 피하고자 하는 그의 욕망) 모두를 받을 것이다.
1943-38::You don't worry because you care; you worry because that is what you have learned to do. Worry is a very creative mental process. The questions you ask in your mind create your worries. If you ask 'what if' questions, you set your mind up to worry. You may consistently ask, "What if I lose my job? What if I crash my car? What if criminals attack me?" All these 'what if' phrases create 'movies' in your mind that constantly repeat different scenarios, which creates a state of worry. Rather, say to yourself, "What would I do if I lost my job? What would I do if I crashed my car?" The movies that are created by these questions don't trap you into worry. They give you action steps that direct your mind. Create a procedure for different scenarios and make peace with your thinking.::여러분이 신경 쓰기 때문에 걱정하는 것이 아니고, 여러분은 여러분이 그렇게 하도록 학습해 온 것이기 때문에 걱정한다. 걱정은 매우 창조적인 정신적 과정이다. 여러분이 머릿속으로 묻는 질문이 여러분의 걱정을 만들어 낸다. 여러분이 '~라면 어쩌지' 질문을 한다면, 여러분은 여러분의 머리를 걱정하도록 설정한다. 여러분은 '내가 직업을 잃는다면 어쩌지? 내가 교통사고가 나면 어쩌지? 범죄자가 나를 공격하면 어쩌지' 하고 반복적으로 물을 것이다. 이 모든 '~라면 어쩌지'라는 구절들은 끊임없이 다양한 시나리오들을 반복하는 '영화'를 여러분의 머릿속에 만들어 내어, 걱정의 상태를 창조해 낸다. 그것보다는 '만약 내가 직업을 잃는다면 나는 무엇을 할까? 만약 교통사고가 난다면 나는 무엇을 할까' 하고 스스로에게 말해 보아라. 이러한 질문들에 의해 만들어진 영화들은 여러분을 걱정 속으로 빠뜨리지 않는다. 그것들은 여러분의 머리를 이끄는 행동 단계들을 여러분에게 제공한다. 다양한 시나리오들에 대한 절차를 만들고 여러분의 사고에 평정을 찾아라.
1943-39::Children are born theorizers. Their minds are never idle and, once they start talking, their mouths aren't, either. When their use of a word strikes us as odd, we correct them. They learn the meanings of words by trial and error, by hypothesizing a fit between word and object and using the feedback they get from others to refine the abstract category for which the word stands. But of course, those others were once children themselves, and they learned language in the same way. It is obvious then that there is no authority external to the community of language speakers against whose prescriptions all usage could be checked. Rather, words acquire objective meanings because of the "pull" exerted by social pressures to conform to publicly approved usage. Therefore every category, every concept of ours is a work in progress. No two of us learn our language alike, and nobody finishes learning it while he lives.::어린이들은 타고난 이론가들이다. 그들의 정신은 절대 게으르지 않고, 일단 그들이 말하기 시작하면 입도 그러하다. 그들의 어떤 단어 사용이 우리에게 이상하다는 인상을 줄 때, 우리는 그들을 고쳐준다. 그들은 시행착오, 즉 단어와 대상 사이의 대응성을 가정하고 단어가 상징하는 추상적인 범주를 다듬기 위하여 다른 사람들로부터 받은 피드백을 사용함으로써 단어들의 의미를 배운다. 하지만 물론 그러한 다른 사람들도 한때는 어린이였고, 그들은 동일한 방식으로 언어를 배웠다. 그렇다면 모든 언어 사용이 점검될 수 있는 규정을 지닌 권위라는 것이 언어 사용자의 공동체 외부에는 없다는 것은 분명하다. 오히려 단어들은 대중적으로 인정되는 사용을 따르도록 하는 사회적 압력에 의해 행사되는 '영향력' 때문에 객관적인 의미를 얻는다. 그러므로 우리의 모든 범주, 모든 개념은 진행 중인 작업이다. 우리 중 어느 누구도 우리의 언어를 다른 사람과 똑같이 배우지 않고, 살아있는 동안 누구도 그것을 배우는 것을 끝내지 않는다.
1943-40::It is widely believed that verbal rehearsal improves our memory. However, an experiment by Schooler and Engstler-Schooler suggests that is not the case. Participants in the study watched a film of a robbery where they saw a bank robber's face. The experimental group of participants then gave as detailed a description of the face as they could for 5 minutes while the control group did something unrelated. Each participant then had to identify the robber from a line up of eight similar looking people. The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who performed an unrelated task for 5 minutes, picked the correct person from the line up 64% of the time. But the participants who had been recalling all they could of the suspect's face picked the correct person just 38% of the time. Somehow, putting the details of the face into words interfered with the natural facial recognition at which we all usually excel. This effect is called verbal overshadowing.::언어로 표현하는 연습이 우리의 기억을 향상 시킨다고 널리 받아들여진다. 그러나 Schooler와 Engstler-Schooler의 실험은 그것이 옳지 않다는 것을 보여 준다. 그 연구의 참가자들은 은행 강도의 얼굴을 목격하게 되는 강도 영화를 보았다. 그러고 나서 대조군이 관련 없는 무언가를 하는 동안 실험군의 참가자들은 5분 동안 그들이 할 수 있는 만큼 그 얼굴에 대한 상세한 묘사를 했다. 그 다음에 각각의 참가자는 정렬해 있는 비슷한 외모의 여덟 명 중에서 강도를 찾아야 했다. 5분 동안 관련 없는 일을 했던 대조군의 참가자들은 그 시도에서 64%만큼, 정확한 사람을 정렬에서 골랐다. 하지만 용의자의 얼굴에 대해 그들이 할 수 있는 한 모든 것을 기억해 내고 있었던 참가자들은 그 시도에서 단지 38%만큼, 정확한 사람을 골랐다. 어쨌든 얼굴의 세부 사항을 말로 표현하는 것은 우리 모두가 대개 잘하는 자연스러운 얼굴 인식을 방해했다. 이 효과는 언어적 뒤덮기라고 불린다.
1943-4142::At around 1.5kg, the human brain is thought to be around five to seven times larger than expected for a mammal of our body size. Why do humans have such big brains? Although they only account for 2 percent of typical body weight, they use up 20 percent of metabolic energy. What could justify such a biologically expensive organ? An obvious answer is that we need big brains to reason. After all, a big brain equals more intelligence. But evolutionary psychologist Robin Dunbar has been pushing another answer ― one that has to do with being sociable. He makes the point that big brains seem to be specialized for dealing with problems that must arise out of large groups in which an individual needs to interact with others. This is true for many species. For example, birds of species that flock together have comparatively larger brains than those that are isolated. A change in brain size can even occur within the lifespan of an individual animal such as the locust. Locusts are normally solitary and avoid each other but become 'gregarious' when they enter the swarm phase. This swarm phase of the locust is triggered by the build up of locusts as their numbers multiply, threatening food supply, which is why they swarm to move to a new location all together. In the process, they rub against each other, and this stimulation sets off a trigger in their brain to start paying attention to each other. As they swarm and become more tuned in to other locusts around them, their brain size increases by some degrees.::대략 1.5킬로그램인 인간의 뇌는 우리 신체 크기의 포유동물에게 예상되는 것보다 약 다섯 배에서 일곱 배 크다고 여겨진다. 왜 인간은 그렇게 큰 뇌를 가질까? 뇌는 일반적인 체중의 2퍼센트만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신진 대사 에너지의 20퍼센트를 써 버린다. 무엇이 그렇게 생물학적으로 비싼 장기를 정당화할 수 있을까? 분명한 대답은 사고하기 위하여 우리가 큰 뇌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결국, 큰 뇌는 더 높은 지적 능력과 동일하다. 그러나 진화 심리학자인 Robin Dunbar는 사교적인 것과 관계가 있다는 다른 대답을 주장해 오고 있다. 그는 큰 뇌가 한 개인이 다른 사람들과 상호 작용을 할 필요가 있는 큰 집단에서 틀림없이 발생하는 문제들을 다루는 데 전문화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는 점을 주장한다. 이것은 많은 종들에게 사실이다. 예를 들면, 무리 짓는 종의 새들은 고립되어 있는 새들보다 비교적 더 큰 뇌를 가진다. 뇌 크기의 변화는 메뚜기와 같은 개별 동물의 생애 내에서도 심지어 일어날 수 있다. 메뚜기는 보통 무리를 짓지 않고 서로를 피하지만 무리 단계로 들어갈 때 '군생'하게 된다. 이러한 메뚜기의 무리 단계는 그 개체 수가 증가함에 따른 메뚜기들의 집단화에 의해 유발되며 식량 공급을 위협하게 되는데, 이것이 메뚜기들이 모두 함께 새로운 장소로 무리지어 이동하는 이유이다. 그 과정에서 메뚜기들이 서로 비비며, 이러한 자극이 서로에게 주목하는 것을 시작하도록 뇌의 방아쇠를 가동시킨다. 메뚜기들이 무리 짓고 주변의 다른 메뚜기들과 더 잘 맞춰가게 되면서 그들의 뇌 크기가 어느 정도 커진다.
1943-4345::One day, a mother and her little girl went to a cottage for their vacation. Through the kitchen window, she saw her little girl swimming in the lake behind the house. Suddenly, the mother screamed in terror because something was swimming towards her girl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lake. It was an alligator! She ran out of the kitchen and shouted to her at the top of her lungs, "Get out of the lake! There's an alligator!" The little girl saw the oncoming alligator. She turned around and started swimming back as fast as she could. Just as she was about to get out of the lake, two things happened at the same time. The mother grabbed her arms, doing her best to pull the little girl out of the water, and the alligator bit into her legs. What happened next was a struggle between the mother and the beast. The alligator was very strong, but so was her love. She simply wouldn't let go. Just then, a man who was driving by saw what was happening. He quickly got out of his truck, grabbed his hunting gun, and shot the alligator. The little girl was rushed to the hospital to receive treatment for her injuries. Some time later, a journalist came to her hospital room to interview her. After a few questions, she asked, "Would you mind if I take a picture of your wounds?" "Sure," the little girl said. "Which ones do you want to photograph?" The journalist didn't understand. "What do you mean?" The little girl removed her blanket and exposed her legs. "These are the wounds from the alligator's teeth." Her legs were covered with them. She then said, "But my other wounds ― they're what I'm proud of." She exposed her arms and showed off the marks from her mother's fingernails that had dug deep into her skin. "I love these wounds because they represent my mother's love. She would not let go of me. That's why I have them."::하루는 어머니와 그녀의 어린 딸이 휴가차 별장으로 갔다. 부엌 창문을 통해서 그녀는 집 뒤에 있는 호수에서 자신의 어린 딸이 수영하는 것을 보았다. 갑자기, 어머니는 호수의 맞은편으로부터 자신의 딸을 향해 무언가가 헤엄쳐 오고 있어서 공포에 질려 비명을 질렀다. 그것은 악어였다! 그녀는 부엌에서 달려 나와 "호수에서 나와! 악어가 있어"라고 딸에게 있는 힘껏 소리쳤다. 어린 소녀는 다가오는 악어를 보았다. 그녀는 몸을 돌려 할 수 있는 한 빠르게 헤엄쳐 돌아오기 시작했다. 그녀가 호수 밖으로 나오려는 순간 두 가지 일이 동시에 일어났다. 어머니는 그녀의 팔을 붙잡고 어린 소녀를 물 밖으로 끌어내기 위해 자신의 최선을 다하고 있었고, 악어는 그녀의 다리를 물었다. 그 다음 일어난 일은 어머니와 그 짐승 사이의 싸움이었다. 악어는 매우 강했지만, 그녀의 사랑 또한 그러했다. 그녀는 순순히 놓아주려고 하지 않았다. 바로 그때, 차를 몰고 지나가던 남자가 일어나고 있는 일을 목격했다. 그는 재빨리 자신의 트럭에서 내려 사냥총을 잡아 악어를 쏘았다. 어린 소녀는 그녀의 상처에 대한 치료를 받기 위해 병원으로 급히 옮겨졌다. 어느 정도 지난 후에, 한 기자가 그녀를 인터뷰하기 위해 그녀의 병실에 왔다. 몇 가지 질문 후에, 그녀는 "내가 상처 사진을 찍어도 되겠니"라고 물어봤다. "네"라고 어린 소녀가 말했다. "어떤 것을 사진 찍고 싶으신가요?" 기자는 이해하지 못했다. "무슨 뜻이니?" 어린 소녀가 자신의 담요를 젖히고 자기 다리를 보여 주었다. "이것들은 악어의 이빨로 생긴 상처예요." 그녀의 다리는 상처들로 뒤덮여 있었다. 그러고 나서 그녀는 "하지만, 다른 상처, 그것은 제가 자랑스러워하는 것이에요"라고 말했다. 그녀는 자기 팔을 보여 주며 자신의 피부 깊이 박혔던 어머니의 손톱으로 생긴 자국을 자랑했다. "저는 이 상처들이 제 어머니의 사랑을 의미하기 때문에 아주 좋아요. 그녀는 저를 놓아주려 하지 않았어요. 그래서 제가 이 상처들을 가지게 된 거예요."
1933-18::Thank you for deciding to send your child to Gibbons Summer Camp. We have found over the past few years that text messages are the most reliable form of communication, so we are asking for your permission to contact your child. By completing the form, you will be giving us permission to contact your child via text over the summer. We understand if you do not wish to grant this permission. But we ask that you complete this form indicating your preference and have your child return it no later than May 10, 2019.::Gibbons Summer Camp에 귀하의 자녀를 보내기로 결정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저희는 지난 몇 년간 문자 메시지가 가장 신뢰할 만한 소통 방식임을 알게 되었고, 그래서 귀하의 자녀에게 연락할 수 있도록 허락을 구합니다. 이 양식을 작성함으로써, 귀하는 저희가 여름 동안 자녀에게 문자 메시지를 통해 연락하는 것을 허락하게 될 것입니다. 귀하가 이런 허가를 해 주기를 원하지 않더라도 이해합니다. 하지만 귀하의 선택을 표시하여 이 양식을 완성해서 늦어도 2019년 5월 10일까지 자녀를 통해 회신해 주기를 요청합니다.
1933-19::Jill is driving her two young sons to the movies. After the third time that the kids have quarreled, she pulls over the car, turns around, and screams at them at the top of her lungs:. "ENOUGH! One more word and nobody goes to the movies!" After seeing the frightened looks on the children's faces and feeling the aftermath of the hurricane that just overtook her, she drives to the movies in a state of shock and disbelief. The kids were just being kids, she thinks. How could I have lost it and scared them so badly? Jill finds herself feeling overwhelmed, exhausted, and pretty guilty for the rest of the trip.::Jill은 자신의 어린 두 아들을 영화관에 데려가려고 차를 운전하는 중이다. 아이들이 세 번째 다툰 후에, 그녀는 차를 길 한쪽에 대고 몸을 돌려 아이들에게 있는 힘껏 소리 지른다. "그만 좀 해! 한마디만 더하면 '아무도' 영화 보러 못 갈 줄 알아!" 아이들의 얼굴에서 겁먹은 표정을 보고 방금 그녀를 덮친 폭풍의 여파를 느끼고 나서, 충격을 받고 믿기지 않는 상태로 그녀는 영화관으로 차를 운전한다. '아이들은 그저 아이들처럼 행동했을 뿐인데'라고 그녀는 생각한다. '어떻게 내가 참지 못하고 그리 심하게 아이들을 겁줄 수 있었을까?' Jill은 남은 길을 가는 동안 스스로 어찌할 바를 모르고, 기진맥진하며, 상당히 죄책감을 느끼고 있음을 알게 된다.
1933-20::Don't get me wrong about liberal arts. A liberal arts education can be valuable for many careers. It teaches you how to think about the problems and issues you will face in the real world. It gives you perspective, analytical and problem-solving skills, and creative strengths ― which are all important in just about any career you can contemplate. Nevertheless, if you are a student, be smart. Seek out internships and take electives like statistics, programming, or business to give your liberal arts education some "teeth." Students and young professionals alike should seek out skills and certifications that will provide more practical credentials in marketing yourself in the career world.::인문학에 대한 내 말을 오해하지 말라. 인문학 교육은 많은 직업에 유용할 수 있다. 그것은 여러분이 현실 세계에서 직면할 문제와 사안에 대해 생각하는 방법을 가르쳐 준다. 그것은 여러분에게 통찰력, 분석 및 문제 해결 기술, 그리고 창의력을 주는데, 이는 모두 여러분이 고려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직장에서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약 여러분이 학생이라면, 영리해져라. 여러분의 인문학 교육을 다소 '탄탄하게' 해주기 위해서 인턴직을 찾아보고 통계학, 프로그래밍, 혹은 경영학과 같은 선택 과목을 수강하라. 학생들과 젊은 전문직 종사자들은 똑같이, 직업 세계에서 여러분 자신을 홍보할 때 더 쓸모 있는 자격을 제공해 줄 기술과 자격증을 찾아야 한다.
1933-21::At school, our kids are trained to study diligently and individually so they can do better than others on exams. If they seek help on projects from other students, they are criticized for cheating. They are given multiple hours of homework a night, forcing them to trade time with others for more time working in isolation. Over and over they are reminded that their future success in the workplace depends on individual performance, including their grades and standardized test scores. Statistically it doesn't, but this approach to learning does do one thing:. It dramatically raises their stress levels while robbing them of social connection, sleep, attention, happiness, and health. Yet, instead of questioning the system, we judge those who can't keep up with this fierce competition for individual achievement. By the time students finish school they are exhausted, fragile, and lonely, only to find that the success and happiness they had been promised did not lie at the end of that rainbow.::학교에서, 우리 아이들은 시험에서 다른 아이들보다 더 잘할 수 있게 열심히 그리고 개별적으로 공부하도록 훈련을 받는다. 만약 그들이 다른 학생들로부터 과제에 관한 도움을 구한다면, 그들은 부정행위를 한다고 비판받는다. 그들에게 하룻밤에 몇 시간이 걸리는 숙제가 주어지는데, 그로 인해 그들은 다른 사람들과 함께하는 시간을 홀로 공부하는 더 많은 시간과 맞바꿀 수밖에 없게 된다. 그들은 직장에서 미래의 성공이 자신의 성적과 표준화된 시험 점수를 포함한 개인의 성과에 달려 있다는 것을 반복해서 상기하게 된다. 통계적으로 그렇지 않지만, 학습에 대한 이러한 접근법이 한 가지는 분명히 한다. 즉, 그것은 사회적 관계, 수면, 집중력, 행복 그리고 건강을 아이들로부터 빼앗아가면서 극적으로 스트레스 수준을 높인다. 그러나 그 체제에 의구심을 갖기보다, 우리는 개인의 성취를 위한 이 극심한 경쟁을 따라가지 못하는 사람들을 비난한다. 학생이 학업을 마칠 무렵에 그들은 기진맥진하고 연약하고 외로우며, 결국 그들에게 약속되었던 성공과 행복이 저 무지개의 끝에 놓여 있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될 뿐이다.
1933-22::Although photocopiers are made for easy use by anyone, their complicated features and interfaces can make them frustrating. They need periodic maintenance ― tasks that require specialized knowledge (such as how to install a toner cartridge or extract jammed paper) that tends to be unevenly distributed among users. These characteristics are wonderful stimuli for informal interactions, because they give people natural reasons to launch into conversation. We've observed employees turning to one another for help, watching one another to learn more about the machine, and commenting on its poor operation. These casual conversations can naturally lead to other subjects, some of them work related. And what is being copied can be as important as the fact that it is being copied. People gathered around might discover, in the documents coming off the machine, the write-up of a colleague's project that's relevant to their own work, or a new company policy that might affect them. Rich discussions often follow.::복사기는 누구나 쉽게 사용하도록 만들어져 있지만, 그것의 복잡한 기능과 인터페이스는 사람들에게 좌절감을 줄 수 있다. 복사기는 주기적인 유지 관리가 필요한데, 그것은 사용자들 사이에 고르게 분포되지 않는 경향이 있는 (토너 카트리지를 설치하거나 걸린 종이를 빼내는 방법과 같은) 전문적인 지식을 필요로 하는 일이다. 이런 특징들은 대화를 시작할 자연스러운 이유를 사람들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비공식적인 상호 작용에 아주 좋은 자극이다. 우리는 직원들이 도움을 얻기 위해 서로에게 의지하고, 복사기에 관해 더 많이 배우려고 서로를 관찰하며, 복사기의 형편없는 작동에 대해 한마디 하는 것을 지켜보았다. 이런 격식을 차리지 않는 대화는 자연스럽게 다른 주제로 이어질 수 있는데, 그 주제 중 일부는 업무와 관련된 것이다. 그리고 복사되고 있는 내용은 그것이 복사되고 있다는 사실만큼 중요할 수 있다. 주위에 모이게 된 사람들은 복사기에서 나오고 있는 문서에서 자기 자신의 업무와 관련된 동료의 프로젝트에 관한 보고나 자신에게 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 새로운 회사 정책을 발견할지도 모른다. 풍성한 토론이 자주 뒤따른다.
1933-23::In the "good old days," you earned positive feedback slowly through good deeds or other accomplishments. With the advent of social media, our children become impatient for an immediate answer or "Like" within minutes of sending that urgent piece of information out, as a text to one person, a group, the hundreds of "friends" they've amassed, or the entire world. "I just have to check again to see if anyone has responded, yet." Every positive response gives a small drop of dopamine right into the brain's reward center. Even more powerfully, neuroimaging studies reveal that the anticipation of a reward is more stimulating than its actual receipt. Plus, the reward from each response is not enough to be totally satisfying, leaving you still hungry for more ― another feature of addictive behavior. Thus, the dopamine reward of the instant feedback contributes to the time spent on social media.::'좋았던 옛 시절'에 여러분은 선행이나 다른 성취를 통해 천천히 긍정적 반응을 받았다. 소셜 미디어의 도래와 더불어, 우리 아이들은 그렇게 다급한 정보를 한 사람, 한 집단, 자신들이 모은 수백 명의 '친구들,' 또는 전 세계에 글을 보낸지 몇 분 내로 즉각적인 응답이나 '좋아요'를 초조하게 기다리게 된다. "나는 누군가 벌써 응답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시 확인해야만 해." 모든 긍정적 응답은 두뇌의 보상 센터 바로 그 안으로 소량의 도파민을 준다. 훨씬 더 강력하게, 두뇌 영상 연구는 보상에 대한 '기대'가 보상을 실제로 받는 것보다 더 자극적임을 보여 준다. 게다가, 각 응답으로부터의 보상은 완전히 만족하기에는 충분하지 못하여, 여전히 여러분이 더 많은 것을 갈망하게 하는데, 그것은 중독 행동의 또 다른 특징이다. 이처럼, 즉각적인 반응에 대한 도파민 보상은 소셜 미디어에서 시간을 보내게 하는 원인이 된다.
1933-24::The table above shows the countries of origin for the cosmetics brands mostly purchased by Chinese in 2015 and the factors of their purchase decision. The number of respondents mostly buying Korean cosmetics brands was greater than that of respondents mostly buying Chinese brands. "Good word of mouth" was the biggest factor of decision for those who mostly purchased Korean brands. As for respondents who mostly purchased Chinese brands, "Good value for money" was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For European brand consumers, "Special formula" was the second most responded consideration, with the percentage less than three times that of "Packaging and design."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considered "Trendy makeup style" in their choice of cosmetics brands was the highest for Korean brands, followed by European and Japanese brands.::위의 표는 2015년에 중국인이 주로 구매한 화장품 브랜드의 원산지 국가와 그들의 구매 결정 요인을 보여 준다. 한국 화장품 브랜드를 주로 구매한 응답자의 수는 중국 브랜드를 주로 구매한 응답자의 수보다 더 많았다. '좋은 입소문'은 한국 브랜드를 주로 구매한 사람들에게 가장 큰 결정 요인이었다. 중국 브랜드를 주로 구매한 응답자에 관해 말하자면, '가격 대비 좋은 가치'가 가장 중요한 고려 사항이었다. 유럽 브랜드 소비자에게 '특별한 제조법'은 두 번째로 많이 응답한 고려 사항이었는데, 그 비율은 '포장과 디자인' 비율의 세 배보다 적었다. 화장품 브랜드의 선택에서 '최신 유행의 화장 방식'을 고려한 응답자의 비율은 한국 브랜드에서 가장 높았고, 유럽과 일본 브랜드가 그 뒤를 이었다.
1933-25::Merrill Joseph Fernando was born in 1930 in the west of Sri Lanka. He attended Maris Stella College in Negombo and his first job was with a US petroleum company, as an inspector. Fernando applied to be a tea-taster in 1952 and was in the first group of trainees to be sent to London. Fernando briefly worked for a tea business in London, and returned to Sri Lanka, joining A F Jones & Co, a British-owned tea business. Within four years he had been appointed as a director, and when the British owners decided it was time to return to the UK, Fernando and a partner purchased their shares. He helped supply the first consignment of Ceylon tea to the Soviet Union at the end of the 1950s. After selling up his shares in A F Jones & Co, in 1962 he founded his own firm, Merrill J Fernando & Co, with the aid of a US $100 loan from his father.::Merrill Joseph Fernando는 1930년에 스리랑카 서쪽 지방에서 태어났다. 그는 Negombo에 있는 Maris Stella 대학에 다녔으며, 첫 일자리는 미국 석유 회사의 검사원이었다. Fernando는 1952년에 차 감별사가 되기 위해 지원하였고 첫 번째 훈련생 집단으로 런던에 보내졌다. Fernando는 런던에 있는 차 업체에서 잠시 일했고, 스리랑카로 돌아와 영국인 소유의 차 업체인 A F Jones & Co에 합류했다. 4년도 지나지 않아 그는 관리자로 임명되었고, 영국인 사업주들이 이제 영국으로 돌아가야 할 때라고 결정했을 때 Fernando와 한 동업자는 그들의 주식을 매입했다. 1950년대 말, 그는 소비에트 연방으로의 첫 실론티 위탁 판매 공급을 도왔다. A F Jones & Co의 지분을 매각한 후, 1962년에 그는 아버지에게서 빌린 돈 미화 100달러의 도움으로 자신의 회사인 Merrill J Fernando & Co를 설립했다.
1933-26::Hillcrest Park Blossom Train During the spring season, Hillcrest Park sparkles with millions of blossoms and lights. Dates Offered: April 6 - May 5 (weekends only) Train Ride • price: $6 for daytime train and $12 for night train • reservation: online or by phone • duration: 20-minute-long experience where you can look around ten differently themed gardens Popular dates sell out early, so advance reservations are recommended. Dogs of any size are not permitted on the train. For more information, contact us at 555-257-8531 or visit www.hcpark.com.::Hillcrest 공원 꽃 기차 봄 시즌 동안, Hillcrest 공원은 수많은 꽃과 불빛으로 반짝입니다. 운행일: 4월 6일 ~ 5월 5일(주말에만) 기차 탑승 • 가격: 주간 기차 6달러, 야간 기차 12달러 • 예약: 온라인으로 또는 전화로 • 소요 시간: 10개의 다른 테마 정원을 둘러볼 수 있는 20분의 경험 인기 있는 날짜에는 일찍 매진되니, 사전 예약이 권장됩니다. 어떤 크기의 반려견도 기차 탑승이 허용되지 않습니다.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시면, 555‐257‐8531로 연락하거나 www.hcpark.com을 방문하세요.
1933-27::Hide & Seek Sayley Interactive Doll How to Play with Sayley 1. Hide Sayley anywhere you want making sure she is in an upright sitting position. 2. The seeker (child) will get messages from Sayley through the Detector. 3. When the seeker presses the green button on the Detector, Sayley will start to respond as the seeker looks for her. 4. The LED indicators on the front of the Detector will indicate if the seeker is far away from Sayley or not: • Blue – The seeker is at a far distance. • Yellow – The seeker is getting close but is at a medium distance. • Red – The seeker is very close. IMPORTANT NOTES: 1. The doll itself does not talk. Sayley's voice comes out of the Detector only. 2. Do not hide Sayley inside any metallic containers, as it will affect the signals transmitted from Sayley.::Hide & Seek Sayley 상호 작용 인형 Sayley와 노는 방법 1. 반드시 Sayley가 똑바로 앉아 있는 자세로 있도록 하면서, 여러분이 원하는 어디든지 Sayley를 숨기세요. 2. 찾는 사람(어린이)은 탐지기를 통해 Sayley에게서 메시지를 받을 것입니다. 3. 찾는 사람이 탐지기의 녹색 버튼을 누르면, 찾는 사람이 Sayley를 찾을 때 Sayley가 반응을 시작할 것입니다. 4. 탐지기의 앞면에 있는 LED 표시기는 찾는 사람이 Sayley로부터 멀리 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 줄 것입니다. • 파란불 - 찾는 사람이 먼 거리에 있습니다. • 노란불 - 찾는 사람이 가까워지고 있으나 중간 거리에 있습니다. • 빨간불 - 찾는 사람이 매우 가까이 있습니다. 중요 사항: 1. 인형 자체는 말을 하지 못합니다. Sayley의 목소리는 탐지기에서만 나옵니다. 2. Sayley에게서 발신되는 신호에 영향을 주므로, 어떠한 금속 용기든 그 안에 Sayley를 숨기지 마세요.
1933-28::Baylor University researchers investigated whether different types of writing could ease people into sleep. To find out, they had 57 young adults spend five minutes before bed writing either a to-do list for the days ahead or a list of tasks they'd finished over the past few days. The results confirm that not all pre-sleep writing is created equally. Those who made to-do lists before bed were able to fall asleep nine minutes faster than those who wrote about past events. The quality of the lists mattered, too; the more tasks and the more specific the to-do lists were, the faster the writers fell asleep. The study authors figure that writing down future tasks unloads the thoughts so you can stop turning them over in your mind. You're telling your brain that the task will get done ―just not right now.::Baylor 대학의 연구자들은 다양한 종류의 글쓰기가 사람들을 편하게 하여 잠들도록 해 줄 수 있는지 아닌지를 조사하였다. (그것을) 알아보려고, 그들은 57명의 젊은 성인들에게 잠자리에 들기 전 5분간 앞으로 며칠 동안 해야 할 일의 목록과 지난 며칠 동안 끝낸 일들의 목록 중 하나를 쓰도록 했다. 그 결과는 잠들기 전 글쓰기가 모두 똑같이 만들어지지는 않는다는 것을 확인해 준다. 해야 할 일의 목록을 잠자리에 들기 전에 만드는 사람들은 지나간 일에 관해 쓰는 사람들보다 9분 더 빨리 잠들 수 있었다. 목록의 질 또한 중요했는데, 과업이 더 많을수록 그리고 해야 할 일의 목록이 더 구체적일수록, 글을 쓴 사람들은 더 빨리 잠들었다. 그 연구의 저자들은 미래의 과업을 적으면 생각을 내려놓게 되므로 여러분은 그것을 곰곰이 생각하는 것을 멈출 수 있다고 결론짓는다. 여러분은 자신의 뇌에게 그 과업이 처리될 것인데 단지 지금 당장은 아니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1933-29::Most people are confident that creativity is an individual possession, not a collective phenomenon. Despite some notable ①collaborations in the arts and sciences, the most impressive acts of creative thought ―from Archimedes to Jane Austen ―appear to have been the products of individuals (and often isolated and eccentric individuals who reject commonly held beliefs). I think that this perception is something of an illusion, however. It cannot be denied that the primary source of novelty lies in the recombination of information within the individual brain. But I suspect that as individuals, we would and could accomplish little in the way of creative thinking outside the context of the super-brain, the integration of individual brains. The heads of Archimedes, Jane Austen, and all the other original thinkers who stretch back into the Middle Stone Age in Africa were filled with the thoughts of others from early childhood onward, including the ideas of those long dead or unknown. How could they have created without the collective constructions of mathematics, language, and art?::창의성은 개인이 소유하는 것이지, 집단 현상이 아니라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확신한다. 몇몇 주목할 만한 합작품들이 예술과 과학에 있지만, Archimedes부터 Jane Austen까지 창의적 사고의 가장 인상적인 활동들은 개인들(그리고 보통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생각을 거부하는, 고립되고 기이한 개인들)의 산물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나는 이러한 인식이 상당한 착각이라고 생각한다. 참신함의 주요한 원천이 개인의 뇌 속에 있는 정보를 재조합하는 데에 있다는 것을 부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개인으로서 우리는 개인 지능의 집대성인 슈퍼 브레인의 맥락을 벗어나서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방식으로는 거의 성취하지도 성취할 수도 없을 것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Archimedes, Jane Austen, 그리고 중기 석기 시대 아프리카로 거슬러 올라가는 모든 다른 독창적인 사상가들의 머리는 아주 어린 시절부터 계속해서, 오래전에 죽었거나 알려지지 않은 사람들의 생각을 포함한 다른 이들의 생각으로 꽉 차 있었다. 수학, 언어, 예술의 집단적 구성체가 없었다면 그들이 어떻게 창조할 수 있었겠는가?
1933-30::Even though the first successful appendectomy was said to have been performed by a British army surgeon in 1735, it wasn't until the 1880s that the procedure was described in medical journals and taught in medical schools. It was a welcome solution to an age-old disease and, by the turn of the century, was becoming so popular that many surgeons in Europe and America made a reasonable amount of money. Shortly before he died in 1902, the German physician-turned-politician Rudolf Virchow was asked, "Is it true that a human being can survive without an appendix?" Even though he had not practiced medicine for many years, Virchow stayed in touch with developments in the field. Aware of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the procedure, he wittily remarked:. Human beings, yes, but not surgeons.::최초의 성공적인 충수 절제술이 1735년 영국 군의관에 의해 시행되었다고 하지만, 1880년대가 되어서야 그 수술이 의학 학술지에 기술되고 의과 대학에서 교육되었다. 그것은 아주 오래된 질병에 대해 반가운 해결책이었고 세기의 전환기 무렵에는 매우 흔해져서 유럽과 미국의 많은 외과 의사들이 꽤 괜찮은 액수의 돈을 벌었다. 의사였다 정치인이 된 독일인 Rudolf Virchow는 1902년 그가 죽기 바로 전에 "사람이 충수없이 살 수 있다는 게 사실인가요?"라는 질문을 받았다. 비록 그가 여러 해 동안 의사로 일하지는 않았지만, Virchow는 그 분야의 발전에 관한 최신 정보를 알고 있었다. 점점 높아지는 그 수술의 인기를 알고 있었기 때문에, 그는 재치 있게 발언했다. "사람은 그렇습니다만, 외과 의사는 아닙니다(외과 의사들은 생계를 위해 충수 절제술에 의지합니다)."
1933-31::In the 20th century, average life expectancy in the United States rose by nearly 30 years. The vast majority of that increase is credited to advances in public health, rather than advances in medical care, and legal interventions played a critical role in these advances. For example, requirements that children be vaccinated before they attend school played a central role in reducing occurrence of vaccine-preventable diseases. Smallpox and polio, which were once feared and deadly diseases, were eliminated from the Western Hemisphere (with smallpox eliminated worldwide), while the number of new measles cases dropped from more than 300,000 in 1950 to fewer than 100 in 2000. Likewise,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extensive vehicle and roadway safety laws starting in the mid-1960s, the number of highway deaths decreased from roughly 51,000 in 1966 to 42,000 in 2000, even as the number of miles driven per year increased nearly 300%.::20세기 미국에서 평균 수명은 거의 30년이 늘어났다. 그러한 증가는 대부분 의료의 발전 때문이라기보다는 공중 보건의 발전 때문이며, 법적 개입이 이러한 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예를 들어, 어린이들이 학교에 입학하기 전 예방 접종을 받아야 한다는 (법적인) 요구 사항은 예방 접종으로 막을 수 있는 질병의 발생을 줄이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 천연두와 소아마비는, 한때 두려움의 대상이었고 치명적인 질병이었지만, 서반구에서 퇴치되었고(천연두는 전 세계적으로 퇴치되었다), 새로 홍역에 걸린 환자 수는 1950년 30만 명 이상에서 2000년 100명 이하로 떨어졌다. 또한, 1960년대 중반에 시작된 차량 및 도로에 관한 안전 법규를 폭넓게 도입함에 따라, 연간 주행 마일 수가 거의 300%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고속도로 사망자 수는 1966년 대략 51,000명에서 2000년 42,000명으로 감소하였다.
1933-32::One of the key contributions of critical theorists concerns the production of knowledge. Given that the transmission of knowledge is an integral activity in schools, critical scholars in the field of education have been especially concerned with how knowledge is produced. The scholars argue that a key element of social injustice involves the claim that particular knowledge is objective, neutral, and universal. An approach based on critical theory calls into question the idea that objectivity is desirable or even possible. The term used to describe this way of thinking about knowledge is that knowledge is socially constructed. When we refer to knowledge as socially constructed we mean that knowledge is reflective of the values and interests of those who produce it. This concept captures the understanding that all knowledge and all means of knowing are connected to a social context.::비판적 이론가들의 핵심적 공헌 중 하나는 지식의 생산과 관련이 있다. 지식의 전수가 학교의 필수적인 활동이라고 할 때, 교육 분야의 비판적 학자들은 지식이 어떻게 생산되는가에 특히 관심을 두어 왔다. 그 학자들은 사회적 불의의 핵심 요소는 특정 지식이 객관적이고, 중립적이며, 보편적이라는 주장과 관계가 있다고 주장한다. 비판적 이론에 근거한 접근법에서는 객관성이 바람직하다거나 심지어 '가능하다'는 생각에 의문을 제기한다. 지식에 대한 이러한 사고방식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되는 말은 지식이 사회적으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우리가 지식을 사회적으로 구성하는 것이라고 언급할 때, 우리는 지식이 그것을 만들어내는 사람들의 가치와 이해를 반영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념은 모든 지식과 모든 앎의 수단이 사회적 맥락과 연관되어 있다는 해석을 담고 있다.
1933-33::Students of ethics have been perplexed whether to classify their subject as a science, an art, or otherwise. The objection to including ethics among the sciences is that, whereas science deals with what is, ethics, it is said, is concerned with what ought to be. This, at the first glimpse, appears to be a valid and useful distinction; but mature reflection reveals that it is superficial and not wholly true. Much of the confusion and disorientation in contemporary ethics may be traced to just this refusal to recognize that ethics, no less than physics, is concerned with actually existent situations and with energies that cause clearly demonstrable effects. In the first place, our opinion of what ought to be lacks authority if it ignores what already exists. Any one of our most fanciful dreams might with equal force command our present efforts, unless we insist that our notions of what ought to be are somehow related to present realities. Even from this point of view, ethics must be more than the consideration of imaginary states that might satisfy our highest moral aspirations.::윤리학 연구자들은 자신들의 과목을 과학으로, 예술로, 혹은 다른 것으로 분류할지 혼란스러워 해왔다. 윤리학을 과학에 포함시키는 데 대한 반대 이유는 과학에서는 현재 존재하는 것을 다루는 반면, 윤리학은, 일컬어지기를, 마땅히 되어야 하는 것(당위)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처음 언뜻 보기에는, 이것이 타당하고 유용한 구분인 것처럼 보이지만, 신중히 생각해 보면 그것이 피상적이고, 온전히 진실은 아니라는 것이 드러난다. 현대 윤리학에서 혼란과 방향 상실의 많은 부분은 윤리학이 물리학만큼이나, 실제로 존재하는 상황과 그리고 분명히 증명 가능한 결과를 야기하는 에너지와 관련이 있음을 인정하기를 바로 이런 식으로 거부하는 것이 그 원인일지도 모른다. 애초에, 이미 존재하는 것을 무시하면 당위에 관한 우리의 의견은 권위가 없다. 당위에 관한 우리의 개념이 존재하는 현실과 어떻게든 관련되어 있다고 주장하지 않으면, 우리의 아주 비현실적인 공상들 중 어떤 것이라도 똑같은 힘으로 우리의 현재 노력을 마음대로 휘두를지도 모른다. 이 관점에서도 윤리학은 우리의 가장 고귀한 도덕적 열망을 충족시킬 수도 있는 가상의 상태에 대한 고려 그 이상이어야 한다.
1933-34::At the heart of individualism lies the belief that each individual person constitutes the center of one's universe. At first glance, this seems to be a view that most people would not openly embrace. We are, after all, frequently told to look out for and care about others. Moreover, no one really likes a person who is obviously self-centered. However, we all have to admit that the tug toward a self-centered life is strong, and this tempts us to hide selfish intentions by using the language of unselfishness. If we are honest, we will admit that many things we claim to do sacrificially or just because they are right are exactly the same actions that bring us personal benefit. With a bit of unbiased examination of our motives, it is hard to deny that we have a strong bias toward our individual interests. Thus, despite what we may say to the contrary, it is not hard to make the case that we are more self-centered than we are willing to admit.::개인주의의 중심에는 각 개인이 자기 우주의 중심을 구성한다는 믿음이 있다. 언뜻 처음 보면, 이것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드러내 놓고 받아들이려 하지 않는 견해인 듯하다. 우리는 어쨌든 다른 사람들을 보살피고 관심을 가지라는 말을 자주 듣는다. 게다가, 어느 누구도 명백히 자기중심적인 사람을 실제로 좋아하지 않는다. 하지만 우리는 모두 자기중심적인 삶으로의 이끌림이 강하며, 이것이 이기적이지 않은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이기적인 의도를 숨기도록 우리를 유혹한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만약 우리가 정직하다면, 희생적으로 또는 단지 옳은 일이기 때문에 한다고 주장하는 많은 것들이 우리에게 개인적인 이익을 가져다주는 것과 정확히 동일한 행동이라는 것을 우리는 인정할 것이다. 우리의 동기를 편견 없이 약간만 살펴보면, 우리에게 개인적인 이익을 향한 편향이 강하다는 것을 부인하기 힘들다. 그러므로 우리가 반대로 말할 수도 있지만, 우리가 인정하려고 하는 것보다 더 자기중심적이라는 주장을 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1933-35::New technologies encounter challenges based on both how many of our existing habits they promise to alter and the strength of these habits. Lasting behavioral change must occur through existing habits rather than attempts to alter them. People are likely to adopt innovations only if they improve rather than destroy their existing habits, in the same way that electronic calculators made mathematical computations faster. Thus, public policy should encourage behavioral change by targeting the least fixed habits. For example, developing countries could encourage increased protein consumption by offering new high-protein beverages rather than new types of high-protein foods.::신기술은 그것이 우리의 기존 습관을 얼마나 많이 바꾸겠다고 약속하는지와 이러한 습관의 강도 둘 다에 기초한 도전에 직면한다. 지속적인 행동 변화는 기존 습관을 바꾸려는 시도보다는 기존 습관을 통해 일어나야 한다. 전자계산기가 수학적인 계산을 더 빠르게 만든 것과 마찬가지로, 사람들은 기존 습관을 없애기보다 개선할 경우에만 혁신을 받아들일 것이다. 따라서 공공 정책은 가장 덜 고착화된 습관을 목표로 함으로써 행동 변화를 장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개발 도상국은 새로운 형태의 고단백 식품보다는 새로운 고단백 음료를 제공함으로써 단백질 섭취 증가를 촉진할 수 있었다.
1933-36::People treat children in a variety of ways: care for them, punish them, love them, neglect them, teach them. If parents, relatives, and other agents of socialization perceive a child as smart, they will act toward him or her that way. Thus, the child eventually comes to believe he or she is a smart person. One of the earliest symbolic interactionists, Charles Horton Cooley, argued that we use the reaction of others toward us as mirrors in which we see ourselves and determine our self-worth. Through this process, we imagine how we might look to other people, we interpret their responses to us, and we form a self-concept. If we think people perceive us favorably, we're likely to develop a positive self-concept. Conversely, if we detect unfavorable reactions, our self-concept will likely be negative. Hence, self-evaluative feelings such as pride or shame are always the product of the reflected appraisals of others.::사람들은 돌보고, 벌주고, 사랑하고, 방치하고, 가르치는 등 아이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대한다. 만약 부모, 친지, 그리고 사회화의 다른 행위자들이 아이를 똑똑하다고 여기면, 그들은 아이에게 그렇게 행동할 것이다. 따라서 그 아이는 결국 자신이 똑똑한 사람이라고 믿게 된다. 초기의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자 중 한 명인 Charles Horton Cooley는 우리가 자신을 바라보고 자아 존중감을 결정하는 거울로 자신을 향한 다른 사람들의 반응을 이용한다고 주장했다. 이 과정을 통해, 우리는 다른 사람들에게 우리가 어떻게 보일 수 있는지를 상상하고, 우리에 대한 그들의 반응을 해석하고, 자아 개념을 형성한다. 만약 사람들이 우리를 호의적으로 여긴다고 생각하면, 우리는 긍정적인 자아 개념을 발달시킬 가능성이 있다. 반대로, 만약 우리가 호의적이지 않은 반응을 탐지하면, 우리의 자아 개념은 부정적일 가능성이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자부심이나 수치심과 같이 자기를 평가하는 감정은 항상 다른 사람들의 평가가 반영된 산물이다.
1933-37::Where does one start when writing the history of water management? People, Homo sapiens and our past ancestors and relatives, must always have been managing water in some manner as far back as six million years, the date at which we shared a common ancestor with the chimpanzee. Chimpanzees are known to crumple up leaves to use as sponges for transporting water from hollow tree trunks to their mouths; we must assume that our ancestors were not only doing the same but carrying water short distances, whether cupped in their hands, within folded leaves or in skin containers. While we lack any direct archaeological evidence for such water carrying, it is implied by the remains of camping or activity sites found in locations distant from water sources. Such evidence is itself problematic, however, because sufficiently detailed environmental reconstructions to pinpoint the specific location of a river course or the nearest pool of standing water are difficult for the earliest periods of prehistory.::물 관리의 역사에 대해 글을 쓸 때 어디에서부터 시작하는가? 인간, 즉 호모 사피엔스 그리고 우리의 과거 조상들과 동족들은, 우리가 침팬지와 공통 조상을 공유했던 시절인 6백만 년만큼이나 오래 전에도 항상 어떤 방식으로 물을 관리하고 있었음이 틀림없다. 침팬지는 나뭇잎을 구겨서 뭉쳐 속이 빈 나무줄기에서 자신의 입으로 물을 옮기는 스펀지로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우리는 조상들이 그와 똑같이 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두 손에 모아 감싼 채로든, 접힌 나뭇잎 안에 넣어서든, 아니면 가죽 용기에 넣어서든 근거리로 물을 나르고 있었다고 생각해야 한다. 그러한 물 운반에 대한 직접적인 고고학의 증거가 부족하기는 하지만, 그것은 물이 있는 곳과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 발견되는 야영지나 활동지의 유물에 의해 시사된다. 하지만 그러한 증거는 그 자체로 문제가 있는데, 왜냐하면 강줄기나 고인 물이 있는 가장 가까운 웅덩이의 구체적인 위치를 정확히 보여줄 수 있는 충분히 상세한 환경 복원이 선사 시대 초기에 대해서는 어렵기 때문이다.
1933-38::The ancient Greek historian Aeneas the Tactician suggested conveying a secret message by pricking tiny holes under particular letters in an apparently ordinary page of text. Those letters would spell out a secret message, easily read by the intended receiver. However, any other person who stared at the page would probably be unaware of pinpricks and thus the secret message. Two thousand years later, British letter writers used exactly the same method, not to achieve secrecy but to avoid paying excessive postage costs.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postage system in the mid-1800s, sending a letter cost about a shilling for every hundred miles, beyond the means of most people. However, newspapers could be posted free of charge, and this provided a loophole for thrifty Victorians. Instead of writing and sending letters, people began to use pinpricks to spell out a message on the front page of a newspaper. They could then send the newspaper through the post without having to pay a penny.::고대 그리스 역사가인 책략가 Aeneas는 문서의 언뜻 보기에 평범한 페이지에 있는 특정한 글자 밑에 작은 구멍을 내서 비밀 메시지를 전달할 것을 제안했다. 그러한 글자는 철자를 표시해 비밀 메시지를 나타내고, 의도된 수신자는 그것을 쉽게 읽을 것이다. 그러나 그 페이지를 유심히 쳐다보는 어떤 다른 사람도 아마 핀으로 찌른 작은 구멍들을 눈치채지 못할 것이고, 그 결과 비밀 메시지를 눈치채지 못할 것이다. 2천 년 후에 영국에서 편지 쓰는 사람들은 비밀 유지를 달성하기 위해 정확히 같은 방법을 사용했다. 1800년대 중반 우편 요금 체계가 확립되기 이전에는 편지를 부치는 데 100마일당 약 1실링의 비용이 들었는데, 이는 대부분 사람들의 재력을 넘어서는 것이었다. 그러나 신문은 무료로 우송될 수 있어서 이것은 검소한 빅토리아 시대 사람들에게 빠져나갈 구멍을 제공했다. 편지를 써서 부치는 대신, 사람들은 핀으로 찌른 작은 구멍들을 사용하여 신문의 제1면에 철자를 표시해 메시지를 나타내기 시작했다. 그런 다음에 그들은 한 푼도 지불할 필요 없이 우편으로 신문을 보낼 수 있었다.
1933-39::Many behaviors alter or change the environment through physical actions intended to achieve a desired result. For example, a hungry child might walk toward the refrigerator and open it to obtain an apple. The child's behavior directly changes the environment in order to achieve the ultimate consequence (obtaining an apple). What if, instead of walking over and opening the refrigerator, the child simply says, "I want an apple," and his mother hands him an apple? In this case, the first effect made is on the behavior of another person. The child has acted indirectly upon the environment, from which the ultimate consequence of his behavior (the apple) emerges. This child engaged in a behavior of producing a certain pattern of sounds that resulted in his mother bringing him an apple. The apple reached the child as a result of a complex series of events that included the behavior of both the speaker and the listener.::바라는 결과를 얻으려고 의도된 신체적 움직임을 통해, 많은 행동들이 환경에 변화를 주거나 환경을 바꾼다. 예를 들어, 배고픈 아이는 사과를 손에 넣기 위해 냉장고를 향해 걸어가서 그것을 열지도 모른다. 그 아이의 행동은 궁극적인 결과(사과를 손에 넣는 것)를 얻기 위해 환경을 직접적으로 바꾼다. 만약 냉장고로 걸어가서 그것을 여는 대신에, 그 아이가 그저 "전 사과를 원해요"라고 말하고 그의 어머니가 그에게 사과를 건넨다면 어떨까? 이 경우, 이루어진 첫 번째 결과는 다른 사람의 행동에 대한 것이다. 그 아이는 환경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고, 그것으로부터 그의 행동의 궁극적인 결과(사과)가 나온다. 이 아이는 어머니가 자신에게 사과를 갖다주는 결과를 낳는 특정한 양식의 소리를 내는 행동을 했다. 화자와 청자 모두의 행동을 포함한 일련의 복잡한 사건의 결과로 사과가 그 아이에게 도달하였다.
1933-40::Although Roman wine glasses were the height of technical and cultural sophistication in their time, compared to modern glasses they were crude. Their main problem was that they were full of bubbles. It seriously weakened the glass. Whenever a material experiences mechanical stress, which might be caused by anything from being clinked against another glass to being dropped accidentally on the floor, it absorbs the force by dispersing it from atom to atom, reducing the total force that each individual atom has to absorb. Any atom that can't withstand the force being inflicted on it will be ripped from its position in the material, causing a crack. Wherever there is a bubble or crack, the atoms have fewer neighboring atoms to hold them in place and with which to share the force, and so these atoms are more prone to being ripped from position.::로마의 포도주 잔은 그 당시 기술적 그리고 문화적인 정교함의 절정이었으나, 현대의 유리잔과 비교하면 투박했다. 주된 문제는 포도주 잔에 기포가 가득했다는 것이었다. 이것이 유리잔을 매우 약하게 만들었다. 다른 유리잔과 부딪혀 쨍 소리를 내는 것부터 실수로 바닥에 떨어뜨리는 것까지 어느 것 때문이든 물리적인 힘을 받을 때마다 물질은 원자에서 원자로 힘을 분산시켜 흡수하여, 각각의 개별 원자가 흡수해야 하는 힘의 총량을 줄인다. 가해지고 있는 힘을 견디지 못하는 원자는 어느 것이든, 물질 내 원래 위치에서 떨어져 나가 균열이 생기게 할 것이다. 기포나 균열이 있는 곳마다 원자를 제자리에 잡아 두고 그것과 힘을 나누어 가질 이웃 원자가 더 적고, 결국 이런 원자는 원래 자리에서 떨어져 나가는 경향이 더 크다.
1933-4142::"No thanks," you say when a waitress comes around with a basket of warm, freshly baked bread, even though you're starving, because you're out to dinner with your new boss. When we want to impress someone or make them think a certain way about us, we tend to eat less in their presence than we would if we were alone. Modest consumption is often viewed favorably ― regardless of one's gender ― as it implies self-control, discipline, and that you are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person you are with than to your food. In addition to wanting to make a good impression, simply being watched makes us self-conscious. This along with the anxiety about what critical observations the new boss may be making, can further restrain food intake. In Deborah Roth's experiment in which participants were given fake information about prior volunteers, the enhancing effects of imaginary greedy eaters totally disappeared when the experimenter was in the room watching. Regardless of how much the imaginary predecessors had previously eaten, when the real participant knew she was being observed she ate very little. This kind of effect can even occur when the observer isn't a person at all. In an experiment conducted at the University of Missouri, participants finished their meals more quickly and sometimes got up and left without finishing when they were being stared at by a life-sized bust of a human head.::새로운 상사와 저녁 식사를 하러 나왔기 때문에, 종업원이 갓 구운 따뜻한 빵이 든 바구니를 가지고 올 때 여러분은 몹시 배가 고파도 "고맙습니다만 괜찮아요"라고 말한다. 우리는 누군가에게 좋은 인상을 남기고 싶거나 우리에 대해 어떤 특정한 방식으로 생각하게 하고 싶을 때, 우리가 혼자 있다면 먹을 것보다 그들의 면전에서 덜 먹는 경향이 있다. 그 사람의 성별과 관계없이 적당하게 먹는 것은 자제력, 절제력, 그리고 여러분이 음식보다 함께 있는 사람에게 더 집중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하기 때문에 흔히 좋게 여겨진다. 좋은 인상을 주고 싶어 하는 것에 더하여, 그저 (다른 사람이) 지켜보고 있는 것은 우리가 남의 이목을 의식하게 만든다. 새로운 상사가 어떤 비판적인 평을 하고 있을지에 대한 불안감과 함께 이것은 음식 섭취를 더 억제할 수 있다. Deborah Roth의 실험에서, 실험 참가자들에게 이전 지원자에 대한 가짜 정보가 주어졌는데, 음식을 많이 먹는 가상의 사람들에게서 온 증진 효과는 실험자가 그 방에서 지켜보고 있을 때 완전히 사라졌다. 가상의 이전 실험 참가자가 전에 얼마나 많이 먹었든 간에, 진짜 실험 참가자는 (누군가가) 자신을 지켜보고 있다는 것을 알았을 때 아주 적게 먹었다. 이런 종류의 효과는 관찰자가 사람이 아닐 때조차도 발생할 수 있다. Missouri 대학교에서 실시한 실험에서, 사람 머리가 있는 실물 크기의 흉상이 자신을 응시하고 있을 때 실험 참가자는 더 빨리 식사를 마쳤고, 때로는 식사를 마치지 않고 일어나 자리를 떠났다.
1933-4345::Susan met Phillip, the son of her close friend, at a local coffee shop. Phillip had recently graduated from a small-town college and landed his first job in Los Angeles, where she lived. He was single and wanted to make new friends. He had lived his entire life in small towns but suddenly found himself in a big city, where making friends seemed like a challenge. Susan advised him to routinely frequent a local café near his apartment and to sit alone at a table. Phillip told her that he was an antique marble collector. Susan instructed him to bring a magnifying glass and a bag of marbles with him each time he visited the café. She further instructed him to set the marbles on the table and thoughtfully examine each one with the magnifying glass. In addition to such advice, Susan told Phillip to build a good rapport with the café owner because he would become Phillip's ambassador to the members in the community. Because the owner had direct contact with Phillip, other customers would naturally ask him who the new person was. When they did, he would say nice things about Phillip, which in turn would form a filter through which the other customers would view Phillip. Phillip chose to take her advice. The first time he visited the café he ordered a drink, laid out the marbles, and examined them one by one with the magnifying glass. A few minutes after the owner served Phillip his drink, he asked him about his unusual activity. Phillip told him briefly about his marble collection and noted the differences in size, color, and texture of each marble. After several visits to the café, Phillip and the owner became better acquainted. The owner liked Phillip and introduced him to several people who were obviously interested in his hobby.::Susan은 그녀의 가까운 친구 아들인 Phillip을 동네 커피숍에서 만났다. Phillip은 최근 소도시에 있는 대학을 졸업하고 그녀가 살고 있는 Los Angeles에서 첫 직장을 얻었다. 그는 독신이었고 새로운 친구를 사귀고 싶어했다. 그는 평생 소도시에서 살아오다 갑자기 대도시에 살게 되었는데, 그곳에서 친구를 사귀는 것은 어려운 일인 것 같았다. Susan은 그에게 그의 아파트 근처에 있는 동네 카페에 일상적으로 자주 방문하여 탁자에 혼자 앉아 있으라고 조언했다. Phillip은 자신이 오래된 구슬을 수집한다고 그녀에게 말했다. Susan은 그가 카페를 방문할 때마다 확대경과 구슬 한 봉지를 가져가라고 그에게 알려 주었다. 그녀는 더 나아가 탁자 위에 구슬을 놓아두고 확대경으로 하나하나를 진지하게 살펴보라고 알려 주었다. 그런 조언에 덧붙여, Susan은 그 카페 주인이 그 지역 사회 구성원들에게 Phillip의 대사 역할을 하게 될 것이기 때문에 그와 좋은 관계를 맺으라고 Phillip에게 말했다. 그 주인이 Phillip과 직접 교류하기 때문에, 다른 고객들은 자연스럽게 그(주인)에게 그 새로운 사람이 누구인지 물어볼 것이다. 그들이 그렇게 할 때, 그는 Phillip에 대한 좋은 점들을 말할 것이고, 그것은 결국 다른 고객들이 Phillip을 바라볼 때 사용할 필터를 만들 것이다. Phillip은 그녀의 조언을 따르기로 했다. Phillip은 처음 카페를 방문했을 때 음료수를 시켰고, 구슬을 펼쳐 놓은 다음, 확대경으로 그것들을 하나하나 살펴보았다. 주인이 Phillip에게 음료를 가져다주고 나서 몇 분 후에, 주인은 그에게 그의 색다른 활동에 관해 물어보았다. Phillip은 그에게 자신의 구슬 수집에 관해 간단히 말해 주었고 각 구슬의 크기, 색, 그리고 질감의 차이를 언급했다. 몇 번의 카페 방문 이후에, Phillip과 카페 주인은 더 잘 아는 사이가 되었다. 카페 주인은 Phillip을 좋아했고, 그의 취미에 두드러지게 관심이 있는 몇몇 사람들에게 그를 소개해 주었다.
1932-18::I will have lived in this apartment for ten years as of this coming April. I have enjoyed living here and hope to continue doing so. When I first moved into the Greenfield Apartments, I was told that the apartment had been recently painted. Since that time, I have never touched the walls or the ceiling. Looking around over the past month has made me realize how old and dull the paint has become. I would like to update the apartment with a new coat of paint. I understand that this would be at my own expense, and that I must get permission to do so as per the lease agreement. Please advise at your earliest convenience.::저는 오는 4월이면 이 아파트에 10년 동안 살게 됩니다. 저는 이곳에서 즐겁게 살아 왔으며 계속해서 살기를 희망합니다. 제가 처음 Greenfield 아파트에 이사를 왔을 때, 최근에 아파트 도색 작업을 했다고 들었습니다. 그때 이후로 저는 단 한 번도 벽이나 천장에 손을 댄 적이 없습니다. 지난 한 달 동안 둘러보면서 저는 페인트가 얼마나 오래되고 흐려졌는지를 깨닫게 되었습니다. 저는 새 페인트칠로 아파트를 새롭게 하고 싶습니다. 저는 이 작업이 자비 부담이라는 것과 임대차 계약에 따라 허락을 받아야만 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형편이 되는 대로 빨리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1932-19::Something inside told me that by now someone had discovered my escape. It chilled me greatly to think that they would capture me and take me back to that awful place. So, I decided to walk only at night until I was far from the town. After three nights' walking, I felt sure that they had stopped chasing me. I found a deserted cottage and walked into it. Tired, I lay down on the floor and fell asleep. I awoke to the sound of a far away church clock, softly ringing seven times and noticed that the sun was slowly rising. As I stepped outside, my heart began to pound with anticipation and longing. The thought that I could meet Evelyn soon lightened my walk.::지금쯤 누군가가 나의 탈출을 발견했을 거라는 생각이 내 마음속에 떠올랐다. 그들이 나를 붙잡아서 다시 그 끔찍한 장소에 데려갈 것이라는 생각이 나를 매우 소름끼치게 했다. 그래서 나는 마을에서 멀리 떨어질 때까지 오로지 밤에만 걷기로 했다. 사흘 밤을 걸은 후에, 나는 그들이 나를 추적하는 것을 중단했다는 확신이 들었다. 나는 버려진 오두막을 발견했고 그 안으로 걸어 들어갔다. 지쳐서 나는 바닥에 누워 잠이 들었다. 나는 멀리 떨어진 교회에서 부드럽게 일곱 번 울려 퍼지는 시계 소리에 잠이 깼고 해가 서서히 떠오르고 있는 것을 알아차렸다. 내가 밖으로 나왔을 때, 나의 심장이 기대와 열망으로 두근거리기 시작했다. Evelyn을 곧 만날 수 있다는 생각이 나의 발걸음을 가볍게 해 주었다.
1932-20::I am sure you have heard something like, "You can do anything you want, if you just persist long and hard enough." Perhaps you have even made a similar assertion to motivate someone to try harder. Of course, words like these sound good, but surely they cannot be true. Few of us can become the professional athlete, entertainer, or movie star we would like to be. Environment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limit our potential and narrow the range of things we can do with our lives. "Trying harder" cannot substitute for talent, equipment, and method, but this should not lead to despair. Rather, we should attempt to become the best we can be within our limitations. We try to find our niche. By the time we reach employment age, there is a finite range of jobs we can perform effectively.::나는 여러분이 "만약 충분히 오랫동안 열심히 노력하기만 한다면, 여러분이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할 수 있다"와 같은 말을 들어본 적이 있을 거라고 확신한다. 아마도 여러분은 심지어 누군가를 더 노력하게 자극하려고 비슷한 주장을 했을지도 모른다. 물론, 이러한 말들은 훌륭하게 들리지만, 확실히 그것들은 사실일 리가 없다. 우리 중 우리가 되고 싶어 하는 프로운동선수, 예능인, 또는 영화배우가 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 환경적, 신체적, 심리적인 요인들이 우리의 잠재력을 제한하고 우리가 살아가면서 할 수 있는 것들의 범위를 제한한다. '더 열심히 노력하는 것'이 재능, 장비, 방법을 대체할 수는 없지만, 이것이 절망의 결과를 초래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우리는 우리의 한계 내에서 우리가 될 수 있는 최고가 되려고 해야 한다. 우리는 우리의 적소(適所)를 찾으려고 노력한다. 우리가 취업 연령에 도달할 때쯤이면, 우리가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한정된 범위의 직업이 있다.
1932-21::Think of a buffet table at a party, or perhaps at a hotel you've visited. You see platter after platter of different foods. You don't eat many of these foods at home, and you want to try them all. But trying them all might mean eating more than your usual meal size. The availability of different types of food is one factor in gaining weight. Scientists have seen this behavior in studies with rats: Rats that normally maintain a steady body weight when eating one type of food eat huge amounts and become obese when they are presented with a variety of high-calorie foods, such as chocolate bars, crackers, and potato chips. The same is true of humans. We eat much more when a variety of good-tasting foods are available than when only one or two types of food are available.::파티나, 아마도 여러분이 방문해 보았던 호텔의 뷔페 테이블을 생각해 보라. 여러분은 다양한 음식이 담긴 여러 접시들을 본다. 여러분은 이러한 음식 중 많은 것을 집에서는 먹지 않기에 그것들을 모두 먹어 보기를 원한다. 그러나 그것들을 모두 먹어 보는 것은 여러분의 평상시 식사량보다 많이 먹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맛볼 수 있다는 것은 체중이 느는 한 가지 요인이다. 과학자들은 쥐를 통한 연구에서 이러한 행동을 봐 왔는데, 보통 한 종류의 음식을 먹을 때 한결같은 체중을 유지하는 쥐들이 초콜릿 바, 크래커, 감자 칩과 같은 다양한 열량이 높은 음식이 주어졌을 때 대단히 많은 양을 먹고 뚱뚱해진다. 인간도 마찬가지이다. 우리는 단지 한 가지 또는 두 가지 음식을 먹을 수 있을 때보다 다양한 맛있는 음식을 먹을 수 있을 때 훨씬 더 많이 먹는다.
1932-22::The practice of medicine has meant the average age to which people in all nations may expect to live is higher than it has been in recorded history, and there is a better opportunity than ever for an individual to survive serious disorders such as cancers, brain tumors and heart diseases. However, longer life spans mean more people, worsening food and housing supply difficulties. In addition, medical services are still not well distributed, and accessibility remains a problem in many parts of the world. Improvements in medical technology shift the balance of population (to the young at first, and then to the old). They also tie up money and resources in facilities and trained people, costing more money, and affecting what can be spent on other things.::의료 행위는 모든 나라에서 사람들이 살 것이라고 기대하는 평균 연령이 역사에 기록되었던 것보다 더 높아지고, 한 개인이 암, 뇌종양, 심장병과 같은 심각한 질병에서 살아남을 가능성이 더 높아지는 결과를 낳았다. 그러나 더 길어진 수명은 더 많은 사람을 의미하고, 이는 식량과 주택 공급의 어려움을 악화시킨다. 게다가 의료 서비스는 여전히 공정하게 분배되지 않고, 의료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은 세계의 여러 지역에서 문제로 남아 있다. 의학 기술의 향상은 인구 집단의 균형점을 이동시킨다(초기에는 어린아이들에게로 그리고 다음에는 노인들에게로). 그것은 또한 돈과 자원을 시설과 숙련된 사람들을 위해 쓰도록 묶어 두어, 더 많은 비용이 들게 하고, 다른 것들에 쓰일 수 있는 것에 영향을 미친다.
1932-23::In the 1930s the work of Sigmund Freud, the 'father of psychoanalysis', began to be widely known and appreciated. Less well known at the time was the fact that Freud had found out, almost by accident, how helpful his pet dog Jofi was to his patients. He had only become a dog-lover in later life when Jofi was given to him by his daughter Anna. The dog sat in on the doctor's therapy sessions and Freud discovered that his patients felt much more comfortable talking about their problems if the dog was there. Some of them even preferred to talk to Jofi, rather than the doctor! Freud noted that if the dog sat near the patient, the patient found it easier to relax, but if Jofi sat on the other side of the room, the patient seemed more tense and distressed. He was surprised to realize that Jofi seemed to sense this too. The dog's presence was an especially calming influence on child and teenage patients.::1930년대에 '정신분석학의 아버지'인 Sigmund Freud의 업적이 널리 알려지고 인정받기 시작했다. Freud가 자신의 애완견 Jofi가 그의 환자들에게 매우 도움이 되었다는 것을 거의 우연하게 발견했다는 사실은 당시에 덜 알려졌다. Freud는 그의 딸 Anna가 그에게 Jofi를 주었던 말년이 되어서야 개를 사랑하는 사람이 되었다. 그 개는 그 의사(Freud)의 치료 시간에 앉아 있었는데, Freud는 자신의 환자들이 그 개가 거기에 있으면 환자 자신들의 문제에 대해 말하는 데 더 편안하게 느낀다는 것을 발견했다. 환자들 중 몇몇은 심지어 그 의사(Freud)보다 Jofi에게 말하는 것을 더 좋아했다! Freud는 그 개가 환자 옆에 앉아 있을 때에는 환자가 더 쉽게 편안해 하였으나, Jofi가 방의 다른 쪽에 앉아 있을 때에는 환자가 더 긴장하고 괴로워하는 것 같아 보인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그는 Jofi도 이것을 감지하는 것 같아 보인다는 것을 깨닫고 놀랐다. 그 개의 존재는 특히 아이 환자와 십 대 환자를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1932-24::The two pie charts above show the number of natural disasters and the amount of damage by region in 2014. The number of natural disasters in Asia was the largest of all five regions and accounted for 36 percent, which was more than twice the percentage of Europe. Americas had the second largest number of natural disasters, taking up 23 percent. The number of natural disasters in Oceania was the smallest and less than a third of that in Africa. The amount of damage in Asia was the largest and less than the combined amount of Americas and Europe. Africa had the least amount of damage even though it ranked third in the number of natural disasters.::위 두 원그래프는 2014년의 지역별 자연재해 횟수와 피해액을 보여 준다. 다섯 지역 중 아시아의 자연 재해 횟수가 가장 많았으며, 유럽의 비율의 2배가 넘는 36%를 차지했다. 아메리카가 23%를 차지하면서 자연재해 횟수가 두 번째로 많았다. 오세아니아의 자연재해 횟수가 가장 적었으며 아프리카의 자연재해 횟수의 3분의 1도 안 되었다. 아시아의 피해액이 가장 많았으며 아메리카와 유럽이 합쳐진 액수보다 더 적었다. 아프리카가 비록 자연재해 횟수에서는 3위를 차지했지만 피해액은 가장 적었다.
1932-25::Alexander Young Jackson (everyone called him A Y) was born to a poor family in Montreal in 1882. His father abandoned them when he was young, and A Y had to go to work at age twelve to help support his brothers and sisters. Working in a print shop, he became interested in art, and he began to paint landscapes in a fresh new style. Traveling by train across northern Ontario, A Y and several other artists painted everything they saw. The "Group of Seven," as they called themselves, put the results of the tour together to create an art show in Toronto in 1920. That was the show where their paintings were severely criticized as "art gone mad." But he kept painting, traveling, and exhibiting, and by the time he died in 1974 at the age of eighty-two, A Y Jackson was acknowledged as a painting genius and a pioneer of modern landscape art.::Alexander Young Jackson(모든 사람들이 그를 A Y라고 불렀다)은 1882년에 Montreal의 한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가 어렸을 때 그의 아버지는 그들을 저버렸고, A Y는 12살 때 그의 형제와 자매를 부양하는 것을 돕기 위해 일을 해야만 했다. 인쇄소에서 일을 하면서 그는 미술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신선하고 새로운 방식으로 풍경을 그리기 시작했다. 기차로 Ontario 북부를 횡단하는 여행을 하면서, A Y와 몇 명의 다른 화가들은 그들이 보는 모든 것을 그렸다. 자칭 'Group of Seven'은 여행의 결과물들을 한데 모아 1920년에 Toronto에서 미술 전시회를 열었다. 그 전시회에서 그들의 그림은 '미쳐버린 예술'이라고 호되게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그는 계속 그림을 그리고, 여행을 하고, 전시회를 열었고, 1974년 82세의 나이로 사망할 무렵에 A Y Jackson은 천재 화가이자 현대 풍경화의 개척자로 인정받았다.
1932-28::If there's one thing koalas are good at, it's sleeping. For a long time many scientists suspected that koalas were so lethargic because the compounds in eucalyptus leaves kept the cute little animals in a drugged-out state. But more recent research has shown that the leaves are simply so low in nutrients that koalas have almost no energy. Therefore they tend to move as little as possible —. And when they move, they often look as though they're in slow motion. They rest sixteen to eighteen hours a day and spend most of that unconscious. In fact, koalas spend little time thinking; their brains actually appear to have shrunk over the last few centuries. The koala is the only known animal whose brain only fills half of its skull.::코알라가 잘하는 것이 한 가지 있다면, 그것은 자는 것이다. 오랫동안 많은 과학자들은 유칼립투스 잎 속의 화합물이 그 작고 귀여운 동물들을 몽롱한 상태로 만들어서 코알라들이 그렇게도 무기력한 상태에 있는 것이라고 의심했다. 그러나 더 최근의 연구는 그 잎들이 단순히 영양분이 너무나도 적기 때문에 코알라가 거의 에너지가 없는 것임을 보여 주었다. 그래서 코알라들은 가능한 한 적게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그것들이 실제로 움직일 때에는, 흔히 그것들은 마치 슬로 모션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그것들은 하루에 16시간에서 18시간 동안 휴식을 취하는데, 의식이 없는 상태로 그 시간의 대부분을 보낸다. 사실 코알라는 생각을 하는 데에 시간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데, 그것들의 뇌는 실제로 지난 몇 세기 동안 크기가 줄어든 것처럼 보인다. 코알라는 뇌가 겨우 두개골의 절반을 채운다고 알려진 유일한 동물이다.
1932-29::Painters have in principle an infinite range of colours at their disposal, especially in modern times with the chromatic explosion of synthetic chemistry. And yet painters don't use all the colours at once, and indeed many have used a remarkably restrictive selection. Mondrian limited himself mostly to the three primaries red, yellow and blue to fill his black-ruled grids, and Kasimir Malevich worked with similar self-imposed restrictions. For Yves Klein, one colour was enough; Franz Kline's art was typically black on white. There was nothing new in this: the Greeks and Romans tended to use just red, yellow, black and white. Why? It's impossible to generalize, but both in antiquity and modernity it seems likely that the limited palette aided clarity and comprehensibility, and helped to focus attention on the components that mattered: shape and form.::이론상으로 화가들은 무한한 범위의 색을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는데, 합성 화학을 통한 유채색의 폭발적 증가를 이룬 현대에 특히 그렇다. 그러나 화가들이 모든 색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은 아닌데, 사실 많은 화가들은 눈에 띄게 제한적으로 색을 선택하여 사용해 왔다. Mondrian은 자신의 검정색 선이 그려진 격자무늬를 채우기 위해 대개 빨강, 노랑, 그리고 파랑의 3원색으로 스스로를 제한했고, Kasimir Malevich는 비슷하게 스스로 부과한 제한에 따라 작업했다. Yves Klein에게는 한 가지 색이면 충분했고, Franz Klein의 예술(작품)은 보통 흰색 바탕 위에 검정색이었다. 이것에는 새로울 것이 없었는데, 그리스와 로마 사람들은 단지 빨간색, 노란색, 검정색 그리고 흰색만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다. 왜 그랬을까? 일반화할 수는 없지만, 고대와 현대에 모두 (범위가) 제한된 팔레트가[색이] 명확성과 이해 가능성에 도움을 주고 중요한 구성요소인 모양과 형태에 주의를 집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을 것 같다.
1932-30::The body tends to accumulate problems, often beginning with one small, seemingly minor imbalance. This problem causes another subtle imbalance, which triggers another, then several more. In the end, you get a symptom. It's like lining up a series of dominoes. All you need to do is knock down the first one and many others will fall too. What caused the last one to fall? Obviously it wasn't the one before it, or the one before that, but the first one. The body works the same way. The initial problem is often unnoticed. It's not until some of the later "dominoes" fall that more obvious clues and symptoms appear. In the end, you get a headache, fatigue or depression — or even disease. When you try to treat the last domino — treat just the end-result symptom — the cause of the problem isn't addressed. The first domino is the cause, or primary problem.::신체는 문제를 축적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것은 흔히 하나의 작고 사소해 보이는 불균형에서 시작한다. 이 문제는 또 다른 미묘한 불균형을 유발하고, 그것이 또 다른 불균형을, 그리고 그 다음에 몇 개의 더 많은 불균형을 유발한다. 결국 여러분은 어떤 증상을 갖게 된다. 그것은 마치 일련의 도미노를 한 줄로 세워 놓는 것과 같다. 여러분은 첫 번째 도미노를 쓰러뜨리기만 하면 되는데, 그러면 많은 다른 것들도 또한 쓰러질 것이다. 마지막 도미노를 쓰러뜨린 것은 무엇인가? 분명히, 그것은 그것의 바로 앞에 있던 것이나, 그것 앞의 앞에 있던 것이 아니라, 첫 번째 도미노이다. 신체도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 최초의 문제는 흔히 눈에 띄지 않는다. 뒤쪽의 '도미노' 중 몇 개가 쓰러지고 나서야 비로소 좀 더 분명한 단서와 증상이 나타난다. 결국 여러분은 두통, 피로, 또는 우울증, 심지어 질병까지도 얻게 된다. 여러분이 마지막 도미노, 즉 최종 결과인 증상만을 치료하려 한다면, 그 문제의 원인은 해결되지 않는다. 최초의 도미노가 원인, 즉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1932-31::Would you expect the physical expression of pride to be biologically based or culturally specific? The psychologist Jessica Tracy has found that young children can recognize when a person feels pride. Moreover, she found that isolated populations with minimal Western contact also accurately identify the physical signs. These signs include a smiling face, raised arms, an expanded chest, and a pushed-out torso. Tracy and David Matsumoto examined pride responses among people competing in judo matches in the 2004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Sighted and blind athletes from 37 nations competed. After victory, the behaviors displayed by sighted and blind athletes were very simila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ide responses are innate.::여러분은 자부심을 드러내는 신체적 표현이 생물학적 기반을 두고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가, 아니면 문화적으로 특정할 것으로 기대하는가? 심리학자 Jessica Tracy는 어린아이들이 누군가가 자부심을 느끼는 때를 알아볼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더욱이, 그녀는 서구와의 접촉이 아주 적은 고립된 인구 집단 또한 정확하게 그 신체 신호를 알아본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신호에는 웃고 있는 얼굴, 들어 올린 두 팔, 펼친 가슴, 그리고 밖으로 내민 상체가 포함된다. Tracy와 David Matsumoto는 2004년 올림픽 대회와 장애인 올림픽 대회의 유도 경기에서 시합을 치르는 선수들에게서 자부심을 드러내는 반응들을 조사했다. 37개 국가 출신의 볼 수 있는 선수들과 시각 장애가 있는 선수들이 시합을 치렀다. 승리 후에, 볼 수 있는 선수들과 시각 장애가 있는 선수들이 보여준 행동은 매우 비슷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자부심을 드러내는 반응이 선천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1932-32::Sometimes a person is acclaimed as "the greatest" because there is little basis for comparison. For example, violinist Jan Kubelik was acclaimed as "the greatest" during his first tour of the United States, but when impresario Sol Hurok brought him back to the United States in 1923, several people thought that he had slipped a little. However, Sol Elman, the father of violinist Mischa Elman, thought differently. He said, "My dear friends, Kubelik played the Paganini concerto tonight as splendidly as ever he did. Today you have a different standard. You have Elman, Heifetz, and the rest. All of you have developed and grown in artistry, technique, and, above all, in knowledge and appreciation. The point is: you know more; not that Kubelik plays less well."::때때로 누군가는 비교할 만한 근거가 거의 없기 때문에 '가장 위대하다'고 칭송받는다. 예를 들어, 바이올리니스트 Jan Kubelik는 그의 첫 번째 미국 순회공연 기간 동안 '가장 위대하다'고 칭송받았지만, 1923년에 기획자 Sol Hurok이 그를 미국으로 다시 데려왔을 때, 몇몇 사람들은 그가 실력이 약간 떨어졌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바이올리니스트 Mischa Elman의 아버지인 Sol Elman은 다르게 생각했다. "친애하는 친구들이여, Kubelik는 그가 늘 했던 것만큼 훌륭하게 오늘 밤 Paganini 협주곡을 연주했습니다. 오늘 여러분은 다른 기준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에게는 Elman, Heifetz, 그리고 그 밖의 연주자가 있습니다. 여러분 모두 예술성, 기법, 그리고 무엇보다 지식과 감식력에서 발전하고 성장했습니다. 요점은 여러분이 더 많이 알고 있는 것이지, Kubelik가 연주 실력이 더 떨어진 것이 아닙니다"라고 그는 말했다.
1932-33::Theseus was a great hero to the people of Athens. When he returned home after a war, the ship that had carried him and his men was so treasured that the townspeople preserved it for years and years, replacing its old, rotten planks with new pieces of wood. The question Plutarch asks philosophers is this:. Is the repaired ship still the same ship that Theseus had sailed? Removing one plank and replacing it might not make a difference, but can that still be true once all the planks have been replaced? Some philosophers argue that the ship must be the sum of all its parts. But if this is true, then as the ship got pushed around during its journey and lost small pieces, it would already have stopped being the ship of Theseus.::Theseus는 아테네 사람들에게 위대한 영웅이었다. 그가 전쟁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왔을 때, 그와 그의 병사들을 태우고 다녔던 배는 매우 소중히 여겨져, 시민들은 그 배의 낡고 썩은 널빤지를 새로운 나무 조각으로 교체하면서, 그 배를 여러 해 동안 계속 보존했다. Plutarch가 철학자들에게 하는 질문은 이것이다. 수리된 배는 여전히 Theseus가 타고 항해했던 바로 그 배인가? 널빤지 하나를 제거하여 교체하는 것은 차이가 없을 수도 있지만, 모든 널빤지가 교체되었을 때도 여전히 그러할 수 있을까? 일부 철학자들은 그 배는 모든 부분의 총합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만일 이것이 사실이라면, 그 배가 항해하는 동안 이리 저리 밀쳐져 작은 조각들을 잃었을 때, 그것은 이미 Theseus의 배가 아니게 되었을 것이다.
1932-34::Credit arrangements of one kind or another have existed in all known human cultures. The problem in previous eras was not that no one had the idea or knew how to use it. It was that people seldom wanted to extend much credit because they didn't trust that the future would be better than the present. They generally believed that times past had been better than their own times and that the future would be worse. To put that in economic terms, they believed that the total amount of wealth was limited. People therefore considered it a bad bet to assume that they would be producing more wealth ten years down the line. Business looked like a zero-sum game. Of course, the profits of one particular bakery might rise, but only at the expense of the bakery next door. The king of England might enrich himself, but only by robbing the king of France. You could cut the pie in many different ways, but it never got any bigger.::이런저런 종류의 신용 거래는 모든 알려진 인류 문화에 존재해 왔다. 이전 시대의 문제는 아무도 그 생각을 못했거나, 그것을 사용하는 방법을 몰랐던 것이 아니었다. 미래가 현재보다 더 나을 것으로 믿지 않았기 때문에 사람들이 많은 신용 거래를 원하는 경우가 좀처럼 없었던 것이 문제였다. 그들은 대체로 지나간 시간이 자신들의 시간(현재)보다 더 나았으며, 미래는 더 나쁠 것이라고 믿었다. 그것을 경제 용어로 바꾸어 말하면, 그들은 부의 총량이 제한되어 있다고 믿었다. 그러므로 사람들은 십 년이 지난 후 자신들이 더 많은 부를 만들어 낼 것으로 추정하는 것은 나쁜 선택이라고 생각했다. 사업은 제로섬 게임과 같아 보였다. 물론, 한 특정 빵집의 수익이 오를 수 있었지만, 이웃 빵집의 희생을 통해서만 가능했다. 영국의 왕이 부자가 될 수 있었지만, 프랑스 왕을 약탈함으로써만 가능했다. 많은 다양한 방법으로 파이를 자를 수 있었지만, 그것은 절대 조금도 더 커지지 않았다.
1932-35::When we were infants, we were tuned in to the signals from our body that told us when to eat and when to stop. We had an instinctive awareness of what foods and how much food our body needed. As we grew older this inner wisdom became lost in a bewildering host of outer voices that told us how we should eat. We received conflicting messages from our parents, from our peers, and from scientific research. These messages created a confusion of desires, impulses, and aversions that have made us unable to just eat and to eat just enough. If we are to return to a healthy and balanced relationship with food, it is essential that we learn to turn our awareness inward and to hear again what our body is always telling us.::유아였을 때 우리는 언제 먹고 언제 그만 먹어야 할 지를 우리에게 알려 주는 우리 몸의 신호에 맞춰져 있었다. 우리는 우리 몸이 어떤 음식을 얼마나 많이 필요로 하는지를 본능적으로 알았다. 나이가 들면서 우리가 어떻게 먹어야 하는지를 알려 주는, 갈피를 못 잡게 하는 많은 외부의 목소리 속에서 이 내부의 지혜는 길을 잃었다. 우리는 부모, 동료, 그리고 과학적 연구 결과로부터 상충하는 메시지를 받았다. 이러한 메시지는 우리가 그저 먹고, 충분한 만큼 먹는 것을 할 수 없게 만드는, 욕망, 충동, 그리고 반감의 혼란을 야기했다. 건강하고 균형 잡힌 음식과의 관계로 되돌아가고자 한다면, 우리는 내부로 인식을 돌려 우리의 몸이 우리에게 늘 말하고 있는 것을 다시 듣는 법을 배우는 것이 꼭 필요하다.
1932-36::One of the first things I did in each classroom in South Milwaukee was to draw a diagram of the students' desks, labelled with their names, as an aid to recognizing them. At lunch in the first grade classroom the first day I was present, a group of students came over, saw the diagram, and began finding their names on my picture. One said, "Where's your name?" and was not satisfied until I included a sketch of the chair by the bookcase where I was sitting, labelled with my name. It had not occurred to me that I needed to be included: after all, I knew where I was sitting, and knew my name. But to her, my presence in the classroom was the newest, most noteworthy thing that had occurred that day, and it was logical to include me. Her point of view was different from mine, and resulted in a different diagram of the classroom.::내가 South Milwaukee의 각 교실에서 한 첫 번째 일 중 하나는 학생들을 알아보기 위한 보조물로 그들의 이름을 적은, 학생들의 좌석표를 그리는 것이었다. 내가 들어간 첫째 날 1학년 교실에서 점심시간에 한 무리의 학생들이 다가와 좌석표를 보고는 내가 그린 그림에서 자신의 이름을 찾기 시작했다. 한 학생이 "선생님 이름은 어디 있어요"라고 말하더니, 내 이름을 적은, 책장 옆 내가 앉아 있던 의자 그림을 내가 포함하고 나서야 비로소 흡족해했다. 나는 내가 포함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을 하지 못했었다. 어쨌든 나는 내가 어디 앉아 있는지 알고 있었고, 내 이름을 알고 있었다. 하지만 그녀에게는 교실에서의 나의 존재가 그날 일어난 가장 새롭고 가장 주목할 만한 일이었으며, 나를 포함시키는 것이 타당했다. 그녀의 관점은 내 관점과 달랐고, 그 결과 교실의 좌석표가 달라졌다.
1932-37::A little boy sees and hears birds with delight. Then the "good father" comes along and feels he should "share" the experience and help his son "develop." He says: "That's a jay, and this is a sparrow." The moment the little boy is concerned with which is a jay and which is a sparrow, he can no longer see the birds or hear them sing. He has to see and hear them the way the father wants him to. Father has good reasons on his side, since few people can go through life listening to the birds sing, and the sooner the boy starts his "education" the better. Maybe he will be an ornithologist when he grows up. A few people, however, can still see and hear in the old way. But most of the members of the human race have lost the capacity to be painters, poets, or musicians, and are not left the option of seeing and hearing directly even if they can afford to;. They must get it secondhand.::한 어린 소년이 즐겁게 새들을 보고 새 소리를 듣는다. 그때 '좋은 아버지'가 와서, 자신이 그 경험을 '공유하고' 아들이 '발전하도록' 도와야겠다고 느낀다. 그는 "저건 어치야, 그리고 이건 참새야"라고 말한다. 그 어린 소년이 어느 것이 어치이고, 어느 것이 참새인지에 대해 관심을 두는 순간, 그는 더 이상 새들을 보거나 새들이 노래하는 것을 들을 수 없다. 그는 아버지가 원하는 방식으로 새들을 보고 들어야 한다. 아버지의 입장에서는 합당한 이유가 있는데, 새들이 노래하는 것에 귀를 기울이며 인생을 살아갈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고, 그 소년이 자신의 '교육'을 빨리 시작하면 할수록 더 좋기 때문이다. 어쩌면 그는 자라서 조류학자가 될지도 모른다. 그러나 몇몇 사람들은 여전히 옛날 방식으로 보고 들을 수 있다. 그러나 인류의 구성원 대다수는 화가, 시인 또는 음악가가 될 수 있는 능력을 잃었고,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에게는 직접 보고 들을 수 있는 선택권이 남겨져 있지 않다. 그들은 그것을 간접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1932-38::It can be helpful to read your own essay aloud to hear how it sounds, and it can sometimes be even more beneficial to hear someone else read it. Either reading will help you to hear things that you otherwise might not notice when editing silently. If you feel uncomfortable having someone read to you, however, or if you simply don't have someone you can ask to do it, you can have your computer read your essay to you. Granted, it's not quite the same thing, and the computer is not going to tell you when something doesn't "sound right." The computer also won't stumble over things that are awkward — it will just plow right on through. But hearing the computer read your writing is a very different experience from reading it yourself. If you have never tried it, you might find that you notice areas for revision, editing, and proofreading that you didn't notice before.::어떻게 들리는지 들어 보기 위해서 여러분 자신의 에세이를 큰 소리로 읽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고, 때때로 다른 누군가가 그것을 읽는 것을 듣는 것이 훨씬 더 이로울 수 있다. 어느 쪽의 읽기든 그렇게 하지 않을 경우에 당신이 조용히 편집할 때 알아채지 못할지도 모르는 것들을 듣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하지만 누군가가 당신에게 읽어 주도록 하는 것이 불편하거나, 그것을 요청할 수 있는 누군가가 없다면, 컴퓨터가 여러분의 에세이를 여러분에게 읽어 주도록 할 수 있다. 물론, 그것은 완전히 똑같은 것은 아니고, 컴퓨터는 여러분에게 어떤 것이 '맞는 것처럼 들리지' 않을 때 이를 말해 주지 않을 것이다. 컴퓨터는 또한 어색한 것들에 대해서 더듬거리지도 않을 것이며, 그저 끝까지 계속해 나갈 것이다. 하지만 컴퓨터가 여러분의 글을 읽는 것을 듣는 것은 여러분이 그것을 직접 읽는 것과는 매우 다른 경험이다. 여러분이 그것을 시도해 본 적이 없다면, 이전에 알아채지 못했던 수정, 편집 및 교정이 필요한 부분들을 알아차리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1932-39::Hubert Cecil Booth is often credited with inventing the first powered mobile vacuum cleaner. In fact, he only claimed to be the first to coin the term "vacuum cleaner" for devices of this nature, which may explain why he is so credited. As we all know, the term "vacuum" is an inappropriate name, because there exists no vacuum in a vacuum cleaner. Rather, it is the air moving through a small hole into a closed container, as a result of air being blown out of the container by a fan on the inside. But I suppose a "rapid air movement in a closed container to create suction" cleaner would not sound as scientific or be as handy a name. Anyway, we are stuck with it historically, and it is hard to find any references to "vacuum" prior to Booth. Interestingly, Booth himself did not use the term "vacuum" when he filed a provisional specification describing in general terms his intended invention.::Herbert Cecil Booth는 최초의 이동식 전동 진공청소기를 발명한 것으로 공로를 자주 인정받는다. 사실 그는 단지 이런 속성을 가진 장치들에 대해 '진공청소기'라는 용어를 만든 최초의 사람이라고 주장했었고, 이 점이 그가 그렇게 공로를 인정받는 이유를 설명해 줄 수도 있다. 우리 모두가 알고 있듯이, '진공'이라는 용어는 부적절한 이름인데, 왜냐하면 진공청소기에는 진공이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그것은 내부에 있는 송풍기를 통해서 공기가 (폐쇄된) 용기에서 밖으로 배출되는 결과로, 작은 구멍을 통해 폐쇄된 용기 안으로 유입되는 공기이다. 그러나 나는 '흡입을 만들기 위한, 폐쇄된 용기 안에서의 빠른 공기의 흐름' 청소기라는 말이 과학적이거나 편리한 이름으로 들리지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 어쨌든 우리는 역사적으로 그것을 어쩔 수 없이 사용하고 있으며, Booth 이전에 '진공'에 대한 어떠한 언급도 찾기가 어렵다. 흥미롭게도 Booth 자신은 그의 의도된 발명품을 일반적인 용어로 설명하는 임시 제품 설명서를 제출할 때 '진공'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다.
1932-40::When a child experiences painful, disappointing, or scary moments, it can be overwhelming, with intense emotions and bodily sensations flooding the right brain. When this happens, we as parents can help bring the left hemisphere into the picture so that the child can begin to understand what's happening. One of the best ways to promote this type of integration is to help retell the story of the frightening or painful experience. Bella, for instance, was nine years old when the toilet overflowed when she flushed, and the experience of watching the water rise and pour onto the floor left her unwilling to flush the toilet afterward. When Bella's father, Doug, learned about the "name it to tame it" technique, he sat down with his daughter and retold the story of the time the toilet overflowed. He allowed her to tell as much of the story as she could and helped to fill in the details. After retelling the story several times, Bella's fears lessened and eventually went away.::아이가 고통스럽거나, 실망스럽거나, 무서운 순간을 경험할 때, 격렬한 감정과 신체적인 느낌이 우뇌에 들이닥쳐, 그것은 감당하기 힘들 수 있다. 이런 일이 일어날 때, 우리는 부모로서 아이가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이해하기 시작할 수 있게 그 상황에 좌뇌를 불러들이도록 도와줄 수 있다. 이런 종류의 통합을 증진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는 무섭거나 고통스러운 경험의 이야기를 되풀이하도록 돕는 것이다. 예를 들어, Bella가 아홉 살 때 변기의 물을 내리자 변기가 넘쳤는데, 물이 불어나서 바닥으로 쏟아지는 것을 본 경험은, 이후로 그녀가 변기의 물을 내리고 싶지 않게 했다. Bella의 아버지 Doug이 '말해서 길들이기' 기법에 대해 배웠을 때, 그는 딸과 함께 앉아서 변기가 넘쳐흘렀을 때의 이야기를 되풀이했다. 그는 그녀가 할 수 있는 한 그 이야기를 최대한 많이 말하게 해 주었고, 세부적인 내용을 채우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 이야기를 여러 차례 되풀이하고 난 후 Bella의 두려움은 줄어들었고 결국 사라졌다.
1932-4142::Unlike coins and dice, humans have memories and do care about wins and losses. Still, the probability of a hit in baseball does not increase just because a player has not had one lately. Four outs in a row may have been bad luck, line drives hit straight into fielders' gloves. This bad luck does not ensure good luck the next time at bat. If it is not bad luck, then a physical problem may be causing the player to do poorly. Either way, a baseball player who had four outs in a row is not due for a hit, nor is a player who made four hits in a row due for an out. If anything, a player with four hits in a row is probably a better batter than the player who made four outs in a row. Likewise, missed field goals need not be balanced by successes. A poor performance may simply suggest that the kicker is not very good. Being rejected for jobs does not make a job offer more likely. If anything, the evidence is mounting that this person is not qualified or interviews poorly. Not having a fire does not increase the chances of a fire — it may just be the mark of a prudent homeowner who does not put paper or cloth near a stove, put metal in the microwave, leave home with the stove on, or fall asleep smoking cigarettes. Every safe airplane trip does not increase the chances that the next trip will be a crash.::동전과 주사위와는 달리, 인간은 기억이 있고, 승패에 정말로 관심을 갖는다. 하지만 야구에서 타율은 단지 선수가 최근에 안타를 못 쳤다고 높아지는 것은 아니다. 연이은 네 번의 아웃은 수비수의 글러브로 곧장 들어간 직선타인 불운이었을 수도 있다. 이 불운은 다음 타석에서 행운을 보장하지 않는다. 그것이 불운이 아니라면, 신체적 문제가 선수로 하여금 형편없이 경기하게 만들고 있을 수도 있다. 어느 쪽이든, 연달아 네 번 아웃된 야구 선수가 안타를 치도록 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연달아 네 번 안타를 친 선수가 아웃이 되도록 되어 있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연달아 네 번 안타를 친 선수는 아마도 연달아 네 번 아웃된 선수보다 더 뛰어난 타자일 것이다. 마찬가지로, 놓친 필드골은 성공(득점)에 의해서 균형이 맞춰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형편없는 수행(경기력)은 단지 공을 찬 사람이 그다지 잘 하지 못한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일 수 있다. 일자리에서 퇴짜를 맞은 것이 일자리 제안을 더욱 가능성 있는 것으로 만들지는 않는다. 오히려 이 사람이 자격이 안 되거나 면접을 잘 못 본다는 증거가 쌓이고 있다. 불이 안 난 것이 불이 날 가능성을 높여 주는 것이 아니라, 단지 종이나 천을 난로 근처에 두지 않거나, 금속을 전자레인지에 넣지 않거나, 난로를 켠 채로 집을 나가지 않거나, 담배를 피우다가 잠들지 않는 신중한 집주인이라는 표시일 수도 있다. 모든 안전한 비행기 여행이 그 다음 비행에서 추락 사고가 있을 거라는 가능성을 높여 주지는 않는다.
1932-4345::Once upon a time there was a king of Armenia, who, being of a curious turn of mind and in need of some change, sent his men throughout the land to make the following proclamation: "Hear this! Whatever man among you can prove himself the most outrageous liar in Armenia shall receive an apple made of pure gold from the hands of His Majesty the King!" People began to swarm to the palace from every town and village in the country, people of all ranks and conditions, princes, merchants, farmers, priests, rich and poor, tall and short, fat and thin. There was no lack of liars in the land, and each one told his tale to the king. None of those lies, however, convinced the king that he had listened to the best one. The king was beginning to grow tired of his new sport and was thinking of calling the whole contest off without declaring a winner. Then there appeared before him a poor, ragged man, carrying a large sack over his shoulder. "What can I do for you?" asked His Majesty. "Sire!" said the poor man, slightly bewildered. "Surely you remember? You owe me a pot of gold, and I have come to collect it." "You are a perfect liar, sir!" exclaimed the king. "I owe you no money!" "A perfect liar am I?" said the poor man. "Then give me the golden apple!" The king, realizing that the man was trying to trick him, said, "No, no! You are not a liar!" "Then give me the pot of gold you owe me, sire," said the man. The king saw the dilemma. He handed over the golden apple.::옛날에 아르메니아의 한 왕이 있었는데, 그는 호기심이 강하고 약간의 변화가 필요해서 자신의 신하들을 전국 방방곡곡으로 보내어 다음과 같은 포고를 하게 했다: "이것을 들으시오! 여러분 중 어떤 사람이라도 자신이 아르메니아에서 가장 터무니없는 거짓말쟁이라는 것을 증명하면 국왕 폐하로부터 직접 순금으로 만든 사과를 받을 것이오!" 그 나라의 모든 고을과 마을에서 온갖 부류의 사람들, 왕자, 상인, 농부, 사제, 부유한 사람과 가난한 사람, 키 큰 사람과 키 작은 사람, 뚱뚱한 사람과 마른 사람이 궁궐로 떼지어 모여들기 시작했다. 그 나라에는 거짓말쟁이가 많았으며, 각자가 자신의 거짓말을 그 왕에게 들려 주었다. 그러나 그 거짓말 중 어느 것도 그 왕에게 그가 최고의 거짓말을 들었다는 확신을 주지 못했다. 그 왕은 자신의 새로운 장난에 싫증이 나기 시작했고 승자를 공표하지 않은 채 전체 대회를 중단할 것을 생각하고 있었다. 그때, 그 앞에 누더기를 걸친 가난한 남자가 자신의 어깨에 커다란 자루를 메고 나타났다. "무슨 일이냐"라고 왕이 물었다. "폐하! 분명히 기억하십니까? 폐하는 제게 황금 한 항아리를 빚지셨고, 저는 그것을 받으러 왔습니다"라고 그 가난한 남자가 약간 당황하면서 말했다. "여보게, 자네는 완벽한 거짓말쟁이야! 나는 자네에게 한 푼도 빚지지 않았어!"라고 왕이 외쳤다. "제가 완벽한 거짓말쟁이라고요? 그럼 제게 그 황금 사과를 주십시오!"라고 그 가난한 남자가 말했다. 그 남자가 자기를 속이려 하고 있다는 것을 깨달은 왕은 "아니, 아니! 자네는 거짓말쟁이가 아니야!"라고 말했다. "그럼, 제게 빚진 황금 한 항아리를 주십시오, 폐하"라고 그 남자는 말했다. 그 왕은 궁지에 몰린 것을 깨달았다. 그는 황금 사과를 건네주었다.
'본문 한줄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43 (0) | 2019.04.28 |
---|---|
1933 (0) | 2019.04.28 |
1931 (0) | 2019.04.28 |
2019-2020 수능특강 영어 전체문장 리스트 (0) | 2019.02.03 |
2018년 3월 고3 모의고사 한줄해석 (0) | 2018.12.24 |
1931-18::As you know, it is our company's policy that all new employees must gain experience in all departments. As you have completed your three months in the Sales Department, it's time to move on to your next department. From next week, you will be working in the Marketing Department. We are looking forward to seeing excellent work from you in your new department. I hope that when your training is finished we will be able to settle you into the department of your choice.::귀하가 아시다시피, 모든 신입 사원이 모든 부서에서 경험을 얻어야 하는 것이 우리 회사의 정책입니다. 귀하는 판매부에서 3개월을 채웠으므로, 다음 부서로 옮겨야 할 때입니다. 다음 주부터 귀하는 마케팅부에서 일하게 될 것입니다. 귀하가 새 부서에서 훌륭하게 일하는 것을 보기를 기대합니다. 귀하의 수습(기간)이 끝나면 귀하가 선택한 부서로 귀하를 배치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1931-19::It was my first day of school at St Roma High School. The uniforms were a lot fancier than in middle school. As a St Roma student, I had to wear a green sweater with the school label on the shoulder, khaki skirt or khaki pants, a white blouse, and a green StRoma tie. "There's my St Roma student," said Mom. "You're ready for your first day?" she asked. "Yes!" I told her. When we got into the car and headed to school, my mind started to imagine how my first day of school would turn out. Maybe I'll have new friends. Maybe I'll be the best in the class. I could not wait to start my first day at a new school.::St Roma 고등학교에서의 학기 첫날이었다. 교복은 중학교 때보다 훨씬 더 멋졌다. St Roma 고등학교 학생으로서, 나는 어깨에 학교 표시가 있는 녹색 스웨터, 카키색 치마나 바지, 흰색 블라우스, 그리고 녹색 St Roma 고등학교 타이를 착용해야 했다. 엄마는 "여기 우리 St Roma 고등학교 학생이 있네"라고 말했다. 엄마는 "첫날 등교할 준비는 되었니"라고 물었다. 나는 "예!"라고 엄마에게 대답했다. 우리가 차를 타고 학교로 향했을 때, 나의 마음은 학기 첫날이 어떻게 펼쳐질지 상상하기 시작했다. '아마도 나는 새로운 친구를 사귀게 될 거야. 아마도 나는 반에서 최고가 될 거야.' 나는 새로운 학교에서 첫날을 얼른 시작하고 싶었다.
1931-20::While some sand is formed in oceans from things like shells and rocks, most sand is made up of tiny bits of rock that came all the way from the mountains! But that trip can take thousands of years. Glaciers, wind, and flowing water help move the rocky bits along, with the tiny travelers getting smaller and smaller as they go. If they're lucky, a river may give them a lift all the way to the coast. There, they can spend the rest of their years on the beach as sand.::어떤 모래는 조개껍질이나 암초와 같은 것들로부터 바다에서 만들어지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모래는 멀리 산맥에서 온 암석의 작은 조각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그 여정은 수천 년이 걸릴 수 있다. 빙하, 바람 그리고 흐르는 물은 이 암석 조각들을 운반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작은 여행자들(암석 조각들)은 이동하면서 점점 더 작아진다. 만약 운이 좋다면, 강물이 그것들을 해안까지 내내 실어다 줄지도 모른다. 거기서, 그것들은 해변에서 모래가 되어 여생을 보낼 수 있다.
1931-21::It can be tough to settle down to study when there are so many distractions. Most young people like to combine a bit of homework with quite a lot of instant messaging, chatting on the phone, updating profiles on social-networking sites, and checking emails. While it may be true that you can multi-task and can focus on all these things at once, try to be honest with yourself. It is most likely that you will be able to work best if you concentrate on your studies but allow yourself regular breaks — every 30 minutes or so — to catch up on those other pastimes.::마음을 산만하게 하는 것들이 너무 많이 있을 때, 공부에 전념하는 것은 힘들 수 있다. 많은 젊은이들이 숙제를 찔끔하는 것과 즉각적으로 메시지 주고받기, 전화로 잡담하기, SNS에 신상 정보 업데이트하기, 그리고 이메일 확인하기를 잔뜩 하는 것을 함께 하고 싶어 한다. 여러분이 동시에 여러 가지 일을 처리할 수 있고 이러한 모든 일들에 집중할 수 있다는 것이 사실 일지도 모르지만, 자신에게 솔직해지려고 노력해라. 여러분이 공부에 집중하되 (앞서 못했던) 그런 다른 소일거리를 하기 위해 규칙적인 휴식을 — 30분 정도마다 — 허락한다면 여러분은 아마도 가장 잘 공부할 수 있을 것이다.
1931-22::According to professor Jacqueline Olds, there is one sure way for lonely patients to make a friend - to join a group that has a shared purpose. This may be difficult for people who are lonely, but research shows that it can help. Studies reveal that people who are engaged in service to others, such as volunteering, tend to be happier. Volunteers report a sense of satisfaction at enriching their social network in the service of others. Volunteering helps to reduce loneliness in two ways. First, someone who is lonely might benefit from helping others. Also, they might benefit from being involved in a voluntary program where they receive support and help to build their own social network.::Jacqueline Olds 교수에 따르면, 외로운 환자들이 친구를 사귈 수 있는 한 가지 확실한 방법이 있는데, 공동의 목적을 가진 집단에 가입하는 것이다. 이것은 외로운 사람들에게는 어려운 일일지도 모르지만, 연구에 따르면 그것은 도움이 될 수 있다. 여러 연구는 자원 봉사와 같이 다른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일을 하는 사람이 더 행복한 경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자원 봉사자들은 다른 사람들을 도와주면서 자신들의 사회적 관계망을 풍부하게 하는 데서 만족감을 (얻는다고) 말한다. 자원봉사는 두 가지 방식으로 외로움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우선, 외로운 사람은 다른 사람을 도와주는 일로부터 혜택을 받을지도 모른다. 또 한 그들은 자신들의 사회적 관계망을 형성하는 데 지지와 도움을 얻게 되는 자원봉사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으로부터 혜택을 받을지도 모른다.
1931-23::Simply providing students with complex texts is not enough for learning to happen. Assigning students to independently read, think about, and then write about a complex text is not enough, either. Quality questions are one way that teachers can check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text. Questions can also promote students' search for evidence and their need to return to the text to deepen their understanding. Teachers take an active role in developing and deepening students' comprehension by asking questions that cause them to read the text again, resulting in multiple readings of the same text. In other words, these text-based questions provide students with a purpose for rereading, which is critical for understanding complex texts.::그저 학생에게 어려운 텍스트를 제공하는 것으로는 학습이 일어나기에 충분하지 않다. 학생에게 어려운 텍스트를 혼자 읽고 그것에 관해 생각해 보고 그것에 관한 글을 쓰게 과제를 주는 것 또한 충분하지 않다. 양질의 질문은 교사가 학생의 텍스트에 대한 이해를 확인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이다. 질문은 또한 학생들의 이해를 심화시키기 위해 그들의 증거 탐색과 텍스트로 되돌아가야 할 필요를 촉진할 수 있다. 학생이 텍스트를 다시 읽게 하는 질문을 던져서 결국 동일한 텍스트를 여러 번 읽게 함으로써 학생의 이해를 진전시키고 심화시키는 데 있어 교사는 적극적인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텍스트에 근거한 질문은 학생에게 다시 읽어야 하는 목적을 제공해 주고, 이것은 어려운 텍스트를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하다.
1931-24::The above graph shows how people in five countries consume news videos: on news sites versus via social networks. Consuming news videos on news sites is more popular than via social networks in four countries. As for people who mostly watch news videos on news sites, Finland shows the highest percentage among the five countries. The percentage of people who mostly watch news videos on news sites in France is the same as in Germany. As for people who mostly watch news videos via social networks, Japan shows the lowest percentage among the five countries. Brazil shows the highest percentage of people who mostly watch news videos via social networks among the five countries.::위 그래프는 다섯 개 국가에서 사람들이 뉴스 영상을 소비하는 방식을 보여 주는데, 뉴스 사이트에서의 뉴스 영상 소비 대 소셜 네트워크를 통한 뉴스 영상 소비이다. 뉴스 영상 사이트에서의 뉴스 영상 소비는 네 개 국가에서 소셜 네트워크를 통한 것보다 더 인기 가 있다. 주로 뉴스 사이트에서 뉴스 영상을 시청하는 사람들에 있어서는 핀란드가 다섯 개 국가 중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여 준다. 프랑스에서 주로 뉴스 사이트를 통해 뉴스 영상을 시청하는 사람들의 비율은 독일에서의 비율과 같다. 주로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뉴스 영상을 시청하는 사람들에 있어서는 다섯 개 국가 중에서 일본이 가장 낮은 비율을 보여 준다. 브라질은 다섯 개 국가 중에서 주로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뉴스 영상을 시청하는 사람들의 가장 높은 비율을 보여 준다.
1931-25::Shirley Chisholm was born in Brooklyn, New York in 1924. Chisholm spent part of her childhood in Barbados with her grandmother. Shirley attended Brooklyn College and majored in sociology. After graduating from Brooklyn College in 1946, she began her career as a teacher and went on to earn a master's degree in elementary education from Columbia University. In 1968, Shirley Chisholm became the United States' first African-American congresswoman. She spoke out for civil rights, women's rights, and poor people. Shirley Chisholm was against the American involvement in the Vietnam War and the expansion of weapon developments.::Shirley Chisholm은 1924년 New York의 Brooklyn에서 태어났다. Chisholm은 Barbados에서 어린 시절의 일부를 할머니와 함께 지냈다. Shirley는 Brooklyn 대학에 다니면서 사회학을 전공했다. 1946년에 Brooklyn 대학을 졸업한 후 그녀는 교사로서의 경력을 시작했고, 더 나아가 Columbia 대학에서 초등 교육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1968년에 Shirley Chisholm은 미국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 하원 의원이 되었다. 그녀는 시민권, 여성의 권리 그리고 빈민들을 지지하는 목소리를 냈다. Shirley Chisholm은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과 무기 개발의 확대에 반대했다.
1931-28::Clothing doesn't have to be expensive to provide comfort during exercise. Select clothing appropriate for the temperature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which you will be doing exercise. Clothing that is appropriate for exercise and the season can improve your exercise experience. In warm environments, clothes that have a wicking capacity are helpful in dissipating heat from the body. In contrast, it is best to face cold environments with layers so you can adjust your body temperature to avoid sweating and remain comfortable.::운동하는 동안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해 의류가 비쌀 필요는 없다. 기온과 운동하고 있을 환경 조건에 적절한 의류를 선택하라. 운동과 계절에 적절한 의류는 운동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뜻한 환경에서는 수분을 흡수하거나 배출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옷이 몸에서 열을 발산하는 데 도움이 된다. 반면, 땀을 흘리는 것을 피하고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체온을 조절하려면 겹겹이 입어서 추운 환경에 대처하는 것이 최선이다.
1931-29::How does a leader make people feel important? First, by listening to them. Let them know you respect their thinking, and let them voice their opinions. As an added bonus, you might learn something! A friend of mine once told me about the CEO of a large company who told one of his managers, "There's nothing you could possibly tell me that I haven't already thought about before. Don't ever tell me what you think unless I ask you. Is that understood?" Imagine the loss of self-esteem that manager must have felt. It must have discouraged him and negatively affected his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when you make a person feel a great sense of importance, he or she will feel on top of the world — and the level of energy will increase rapidly.::지도자는 어떻게 사람들이 (자기가) 중요하다고 느끼게 하는가? 첫 번째로, 그들의 말을 듣는 것을 통해서이다. 여러분이 그들의 생각을 존중한다는 것을 알게 하고, 그들이 자신의 의견을 말하게 하라. 덤으로 여러분도 뭔가를 배울지도 모른다! 내 친구 중 한 명이 나에게 대기업의 최고 경영자에 대해 말해 준 적이 있는데, 그는 자신이 거느리고 있는 관리자 중 한 명에게, "당신이 나에게 말할 수 있는 것 중에 내가 전에 이미 생각해 본 적이 없는 것은 없어요. 내가 당신에게 묻지 않으면 당신이 생각하는 것을 나에게 절대로 말하지 마세요. 내 말 알아듣겠어요"라고 말했다고 한다. 그 관리자가 틀림없이 느꼈을 자존감의 상실을 상상해 보라. 그 일은 그를 낙담시켜서 그의 업무 수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에 틀림없다. 반면 여러분이 누군가에게 (그 자신이) 아주 중요한 사람이라는 의식을 느끼게 하면, 그 사람은 의기양양해질 것이고 활력의 수준이 빠르게 증가할 것이다.
1931-30::Technology has doubtful advantages. We must balance too much information versus using only the right information and keeping the decision-making process simple. The Internet has made so much free information available on any issue that we think we have to consider all of it in order to make a decision. So we keep searching for answers on the Internet. This makes us information blinded, like deer in headlights, when trying to make personal, business, or other decisions. To be successful in anything today, we have to keep in mind that in the land of the blind, a one-eyed person can accomplish the seemingly impossible. The one-eyed person understands the power of keeping any analysis simple and will be the decision maker when he uses his one eye of intuition.::기술은 의문의 여지가 있는 이점을 지니고 있다. 우리는 정확한 정보만 사용해서 의사 결정 과정을 간소 하게 하는 것에 맞추어 너무 많은 정보는 조절해야 한다. 인터넷은 어떤 문제에 대해서도 너무 많은 무료 정보를 이용 가능하게 만들어서 우리는 어떤 결정을 하기 위해서 그 모든 정보를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우리는 계속 인터넷에서 답을 검색한다. 이것이 우리가 개인적, 사업적, 혹은 다른 결정을 하려고 애쓸 때, 전조등 불빛에 노출된 사슴처럼, 우리를 정보에 눈멀게 만든다. 오늘날 어떤 일에 있어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우리는 눈먼 사람들의 세계에서는 한 눈으로 보는 사람이 불가능해 보이는 일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한 눈으로 보는 사람은 어떤 분석이든 단순하게 하는 것의 힘을 이해하고, 직관이라는 한 눈을 사용할 때 의사 결정자가 될 것이다
1931-31::Most of us are suspicious of rapid cognition. We believe that the quality of the decision is directly related to the time and effort that went into making it. That's what we tell our children: "Haste makes waste." "Look before you leap." "Stop and think." "Don't judge a book by its cover." We believe that we are always better off gathering as much information as possible and spending as much time as possible in careful consideration. But there are moments, particularly in time-driven, critical situations, when haste does not make waste, when our snap judgments and first impressions can offer better means of making sense of the world. Survivors have somehow learned this lesson and have developed and sharpened their skill of rapid cognition.::우리 대부분은 신속하게 하는 인식을 의심한다. 우리는 결정의 질은 결정을 내리는 데 들어간 시간과 노력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게 우리가 자녀들에게 말하는 것인데, "서두르면 일을 망친다." "돌다리도 두드려 보고 건너라." "멈춰서 생각하라." "겉만 보고 판단하지 마라."이다. 우리는 최대한 많은 정보를 모아서 최대한 많은 시간을 주의 깊게 숙고하는 데 시간을 보내면 우리가 늘 더 나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특히 시간에 쫓기는 중대한 상황 속에서는 서두르는데도 일을 망치지 않는, 즉 우리의 순식간에 내리는 판단과 첫인상이 세상을 파악하는 더 나은 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순간이 있다. 생존자들은 어쨌든 이 교훈을 배웠고, 신속하게 인식하는 능력을 발전시켜서 연마했다.
1931-32::All mammals need to leave their parents and set up on their own at some point. But human adults generally provide a comfortable existence ― enough food arrives on the table, money is given at regular intervals, the bills get paid and the electricity for the TV doesn't usually run out. If teenagers didn't build up a fairly major disrespect for and conflict with their parents or carers, they'd never want to leave. In fact, falling out of love with the adults who look after you is probably a necessary part of growing up. Later, when you live independently, away from them, you can start to love them again because you won't need to be fighting to get away from them. And you can come back sometimes for a home-cooked meal.::모든 포유동물은 어느 시점에서는 부모를 떠나서 스스로 자립해야 한다. 하지만 성인 인간은 대개 안락한 생활을 제공하는데, 충분한 음식이 식탁 위에 차려지고, 일정한 기간마다 돈이 지급되며, 청구서가 지불되고, TV 전기가 대개 끊기지 않는다. 십 대 아이가 부모나 보호자에 대한 매우 심각한 불손과 갈등을 키우지 않는다면, 그들은 결코 떠나고 싶어하지 않을 것이다. 사실, 보살펴 주는 어른과의 정을 떼는 것은 아마도 성장의 필수적인 부분일 것이다. 나중에, 여러분이 그들과 떨어져서 독립적으로 생활하게 되면, 그들에게서 벗어나기 위해서 싸울 필요가 없을 것이기 때문에 그들을 다시 사랑하기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여러분은 가끔 집 밥을 먹기 위해 돌아올 수 있다.
1931-33::A lovely technique for helping children take the first steps towards creating their own, unique story, is to ask them to help you complete a story before you tell it. One story I have done this with frequently is a tale I call Benno and the Beasts. It is based on a story called St Benno and the Frog, found in an old book by Helen Waddell. In the original, the saint meets a frog in a marsh and tells it to be quiet in case it disturbs his prayers. Later, he regrets this, in case God was enjoying listening to the sound of the frog. I invite children to think of different animals for the saint to meet and different places for him to meet them. I then tell them the story including their own ideas. It is a most effective way of involving children in the art of creating stories and they love hearing their ideas used.::아이들로 하여금 자신만의 독특한 이야기를 창작하도록 첫 걸음을 내딛게 하는 데 도움이 되는 멋진 기법은 그들에게 여러분이 이야기를 들려주기 전에 그것을 완성하는 것을 도와 달라고 요청하는 것이다. 내가 흔히 이 기법을 사용해 본 이야기는 내가 Benno and the Beasts라고 부르는 이야기이다. 그것은 Helen Waddell이 쓴 오래된 책에 들어 있는 St Benno and the Frog이라는 이야기를 기반으로 한다. 원작에서는 그 성자가 늪에 사는 개구리 한 마리를 만나서 자신의 기도를 방해할 수 있으니 개구리에게 조용히 하라고 말한다. 나중에 그는 신이 그 개구리의 소리를 듣는 것을 즐기고 있었을 수도 있었으니 이렇게 말한 것을 후회한다. 나는 아이들로 하여금 그 성자가 만날 여러 다른 동물과 그가 그 동물들을 만날 여러 다른 장소를 생각해 보라고 권한다. 그러고 나서 나는 그들에게 그들 자신의 생각을 포함하고 있는 그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것은 아이들을 이야기를 창작하는 기술에 참여시키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고, 그들은 자신의 생각이 사용된 것을 듣는 것을 아주 좋아한다.
1931-34::It is difficult to know how to determine whether one culture is better than another. What is the cultural rank order of rock, jazz, and classical music? When it comes to public opinion polls about whether cultural changes are for the better or the worse, looking forward would lead to one answer and looking backward would lead to a very different answer. Our children would be horrified if they were told they had to go back to the culture of their grandparents. Our parents would be horrified if they were told they had to participate in the culture of their grandchildren. Humans tend to like what they have grown up in and gotten used to. After a certain age, anxieties arise when sudden cultural changes are coming. Our culture is part of who we are and where we stand, and we don't like to think that who we are and where we stand are short-lived.::한 문화가 다른 문화보다 나은지를 결정하는 방법을 알기는 어렵다. 록, 재즈, 고전 음악의 문화적인 순위는 어떻게 될까? 문화적 변화가 더 나아지는 것인지 더 나빠지는 것인지에 관한 여론 조사에 관한 한, 앞을 내다보는 것과 뒤돌아보는 것은 아주 다른 대답으로 이어진다. 우리 아이들은 조부모의 문화로 되돌아가야 한다는 말을 들으면 겁이 날 것이다. 우리 부모님은 손주의 문화에 참여해야 한다고 들으면 겁이 날 것이다. 인간은 자신이 자라고 익숙해진 것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다. 특정한 나이 이후에는 갑작스러운 문화적 변화가 다가오고 있을 때 불안감이 생긴다. 우리 문화는 우리의 정체성과 우리의 입지의 일부이고, 우리는 우리의 정체성과 우리의 입지가 오래가지 못한다고 생각하고 싶어 하지 않는다.
1931-35::Public speaking is audience centered because speakers "listen" to their audiences during speeches. They monitor audience feedback, the verbal and nonverbal signals an audience gives a speaker. Audience feedback often indicates whether listeners understand, have interest in, and are ready to accept the speaker's ideas. This feedback assists the speaker in many ways. It helps the speaker know when to slow down, explain something more carefully, or even tell the audience that she or he will return to an issue in a question-and-answer session at the close of the speech. Audience feedback assists the speaker in creating a respectful connection with the audience.::연사들은 연설하는 동안 청중에게 '귀 기울이기' 때문에 대중 연설은 청중 중심이다. 그들은 청중의 피드백, 즉 청중이 연사에게 주는 언어적, 비언어적 신호를 주시한다. 청중의 피드백은 흔히 청중들이 연사의 생각을 이해하고, 관심을 갖고, 받아들일 준비가 되었는지를 보여 준다. 이 피드백은 연사를 여러모로 도와준다. 그것은 연사가 언제 속도를 늦출지, 언제 무언가를 더 주의해서 설명할지, 혹은 언제 연설의 끝에 있는 질의응답 시간에 어떤 주제로 되돌아 갈 것이라고 청중에게 말할지까지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청중의 피드백은 연사가 청중과 존중하는 관계를 만드는 것을 도와준다.
1931-36::The basic difference between an AI robot and a normal robot is the ability of the robot and its software to make decisions, and learn and adapt to its environment based on data from its sensors. To be a bit more specific, the normal robot shows deterministic behaviors. That is, for a set of inputs, the robot will always produce the same output. For instance, if faced with the same situation, such as running into an obstacle, then the robot will always do the same thing, such as go around the obstacle to the left. An AI robot, however, can do two things the normal robot cannot: make decisions and learn from experience. It will adapt to circumstances, and may do something different each time a situation is faced. The AI robot may try to push the obstacle out of the way, or make up a new route, or change goals.::AI 로봇과 보통 로봇의 기본적 차이는 센서로부터 얻는 데이터에 기반하여 결정을 내리고, 학습하여 환경에 적응하는 로봇과 그것의 소프트웨어의 능력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해서 보통 로봇은 결정론적인 (이미 정해진) 행동을 보인다. 다시 말해, 일련의 입력에 대해 그 로봇은 항상 똑같은 결과를 만들 것이다. 예를 들어, 장애물을 우연히 마주치는 것과 같이 동일한 상황에 직면한다면 그 로봇은 그 장애물을 왼쪽으로 돌아서 가는 것과 같이 항상 똑같은 행동을 할 것이다. 하지만 AI 로봇은 보통 로봇이 할 수 없는 두 가지, 즉, 결정을 내리고 경험으로부터 학습하는 것을 할 수 있다. 그것은 환경에 적응할 것이고, 어떤 상황에 직면할 때마다 다른 행동을 할 수 있다. AI 로봇은 경로에서 장애물을 밀어내거나 새로운 경로를 만들거나 목표를 바꾸려고 할 수도 있다.
1931-37::Collaboration is the basis for most of the foundational arts and sciences. It is often believed that Shakespeare, like most playwrights of his period, did not always write alone, and many of his plays are considered collaborative or were rewritten after their original composition. Leonardo Da Vinci made his sketches individually, but he collaborated with other people to add the finer details. For example, his sketches of human anatomy were a collaboration with Marcantonio della Torre, an anatomist from the University of Pavia. Their collaboration is important because it marries the artist with the scientist. Similarly, Marie Curie's husband stopped his original research and joined Marie in hers. They went on to collaboratively discover radium, which overturned old ideas in physics and chemistry.::협업은 대부분의 기초 예술과 과학의 기반이다. 셰익스피어는, 당대 대부분의 극작가처럼, 늘 혼자 작품을 썼던 것은 아니라고 흔히 믿어지고, 그의 희곡 중 다수가 협업을 한 것으로 여겨지거나 최초의 창작 후에 개작되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혼자서 스케치를 그렸지만, 더 세밀한 세부 묘사를 더 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과 협업했다. 예를 들어, 인체의 해부학적 구조를 그린 그의 스케치는 Pavia 대학의 해부학자인 Marcantonio della Torre와 협업한 것이었다. 그들의 협업은 예술가와 과학자가 결합한 것이어서 중요하다. 마찬가지로, Marie Curie의 남편은 원래 자신이 하던 연구를 중단하고 Marie의 연구를 함께 했다. 그들은 더 나아가 협업으로 라듐을 발견했고, 그것은 물리학과 화학에서의 기존 개념들을 뒤집었다.
1931-38::Most of us have hired many people based on human resources criteria along with some technical and personal information that the boss thought was important. I have found that most people like to hire people just like themselves. This may have worked in the past, but today, with interconnected team processes, we don't want all people who are the same. In a team, some need to be leaders, some need to be doers, some need to provide creative strengths, some need to be inspirers, some need to provide imagination, and so on. In other words, we are looking for a diversified team where members complement one another. When putting together a new team or hiring team members, we need to look at each individual and how he or she fits into the whole of our team objective. The bigger the team, the more possibilities exist for diversity.::우리 대부분은 사장이 생각하기에 중요한 어떤 전문적인 정보 및 개인 정보와 더불어 인적 자원 기준에 근거하여 많은 사람을 고용해 왔다. 나는 대부분의 사람이 자신과 똑닮은 사람을 고용하고 싶어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것이 과거에는 효과가 있었을지도 모르지만, 오늘날에는 상호 연결된 팀의 업무 과정으로 인해 우리는 전원이 똑같은 사람이기를 원치 않는다. 팀 내에서 어떤 사람은 지도자일 필요가 있고, 어떤 사람은 실행가일 필요가 있으며, 어떤 사람은 창의적인 역량을 제공할 필요가 있고, 어떤 사람은 사기를 불어넣는 사람일 필요가 있으며, 어떤 사람은 상상력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것 등이다. 달리 말하자면, 우리는 구성원들이 서로를 보완해 주는 다양화된 팀을 찾고 있다. 새로운 팀을 짜거나 팀 구성원을 고용할 때 우리는 각 개인을 보고 그 사람이 어떻게 우리의 팀 목적 전반에 어울리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팀이 크면 클수록 다양해질 가능성이 더욱 더 많이 존재한다.
1931-39::Imagine in your mind one of your favorite paintings, drawings, cartoon characters or something equally complex. Now, with that picture in your mind, try to draw what your mind sees. Unless you are unusually gifted, your drawing will look completely different from what you are seeing with your mind's eye. However, if you tried to copy the original rather than your imaginary drawing, you might find your drawing now was a little better. Furthermore, if you copied the picture many times, you would find that each time your drawing would get a little better, a little more accurate. Practice makes perfect. This is because you are developing the skills of coordinating what your mind perceives with the movement of your body parts.::좋아하는 회화, 소묘, 만화의 등장인물이나 그 정도로 복잡한 어떤 것 중 하나를 마음속으로 그려 보라. 이제 그 그림을 염두에 두고 마음이 본 것을 그리려고 애써 보라. 특별하게 재능이 있는 게 아니라면 여러분이 그린 그림은 여러분이 마음의 눈으로 보고 있는 것과 완전히 다르게 보일 것이다. 하지만 마음속에 존재하는 그림보다 원본을 베끼려고 애쓴다면 여러분의 그림은 이제 조금 더 나아졌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게다가 그 그림을 여러 번 베낀다면 매번 여러분의 그림이 조금 더 나아지고 조금 더 정확해질 거라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연습하면 완전해진다. 이것은 마음이 인식한 것과 신체 부위의 움직임을 조화시키는 능력이 발달되고 있기 때문이다.
1931-40::In one experiment, subjects observed a person solve 30 multiple-choice problems. In all cases, 15 of the problems were solved correctly. One group of subjects saw the person solve more problems correctly in the first half and another group saw the person solve more problems correctly in the second half. The group that saw the person perform better on the initial examples rated the person as more intelligent and recalled that he had solved more problems correctly. The explanation for the difference is that one group formed the opinion that the person was intelligent on the initial set of data, while the other group formed the opposite opinion. Once this opinion is formed, when opposing evidence is presented it can be discounted by attributing later performance to some other cause such as chance or problem difficulty.::한 실험에서, 실험 대상자들은 한 사람이 30개의 선 다형 문제를 푸는 것을 관찰했다. 모든 경우에, 15개의 문제가 정확하게 해결되었다. 한 실험 대상자 집단은 그 사람이 전반부에 더 많은 문제를 정확하게 푸는 것을 보았고, 다른 실험 대상자 집단은 그 사람이 후반부에 더 많은 문제를 정확하게 푸는 것을 보았다. 그 사람이 초반의 예제에서 더 잘하는 것을 본 집단은 그 사람을 더 똑똑하다고 여겼고 그가 더 많은 문제들을 올바르게 풀었다고 기억했다. 그 차이에 대해 설명하자면, 한 집단은 초기 정보에서 그 사람이 똑똑하다는 의견을 형성한 반면, 다른 집단은 그 반대의 의견을 형성했다는 것이다. 일단 이러한 의견이 형성되면, 반대되는 증거가 제시될 때, 그것은 나중의 과제 수행을 우연이나 문제 난이도와 같은 다른 어떤 원인의 탓으로 돌림으로써 무시될 수 있다.
1931-4142::Researchers brought two groups of 11yearold boys to a summer camp at Robbers Cave State Park in Oklahoma. The boys were strangers to one another and upon arrival at the camp, were randomly separated into two groups. The groups were kept apart for about a week. They swam, camped, and hiked. Each group chose a name for itself, and the boys printed their group's name on their caps and T-shirts. Then the two groups met. A series of athletic competitions were set up between them. Soon, each group considered the other an enemy. Each group came to look down on the other. The boys started food fights and stole various items from members of the other group. Thus, under competitive conditions, the boys quickly drew sharp group boundaries. The researchers next stopped the athletic competitions and created several apparent emergencies whose solution require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groups. One such emergency involved a leak in the pipe supplying water to the camp. The researchers assigned the boys to teams made up of members of both groups. Their job was to look into the pipe and fix the leak. After engaging in several such cooperative activities, the boys started playing together without fighting. Once cooperation replaced competition and the groups stopped to look down on each other, group boundaries melted away as quickly as they had formed.::연구자들은 두 그룹의 11세 소년들을 Oklahoma에 있는 Robbers Cave 주립 공원의 여름 캠프에 데려왔다. 그 소년들은 서로 몰랐고 캠프에 도착하자마자 무 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뉘었다. 그 그룹들은 약 1주일 동안 서로 떨어져 있었다. 그들은 수영하고, 야영하고, 하이킹을 했다. 각 그룹은 자기 그룹의 이름을 지었고, 소년들은 자신의 그룹 이름을 모자와 티셔츠에 새겼다. 그 후 두 그룹이 만났다. 그들 사이에 일련의 운동 시합이 마련되었다. 곧, 각 그룹은 서로를 적으로 여겼다. 각 그룹은 서로를 얕잡아 보게 되었다. 소년들은 먹을 것을 가지고 싸우기 시작하고 상대 그룹의 구성 원으로부터 여러 물건을 훔쳤다. 그래서 경쟁적인 환 경에서 소년들은 재빨리 뚜렷한 그룹 경계를 그었다. 그런 다음, 연구자들은 운동 시합을 멈추고, 해결에 는 두 그룹 사이의 협력이 필요한 몇 가지 비상사태로 보이는 상황을 만들었다. 그러한 비상사태 중 하나는 캠프에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가 새는 경우를 포함했다. 연구자들은 소년들을 두 그룹의 일원들로 구성된 팀에 배정했다. 그들의 임무는 파이프를 조사하고 새 는 곳을 고치는 것이었다. 그러한 협력적인 활동을 몇 차례 한 후에, 소년들은 싸우지 않고 함께 놀기 시작 했다. 일단 협력이 경쟁을 대체하고 그룹들이 서로를 얕잡아 보기를 중단하자
1931-4345::Feeling a tap on his shoulder while giving away food and supplies to people, eighteen-year-old Toby Long turned around to find an Ethiopian boy standing behind him. The young boy looked first at his own worn shirt, then at Toby's clothes. Next, he asked if he could have Toby's shirt. Toby had traveled to Africa to volunteer for two-and-a-half weeks with an international charity. Toby didn't know what to say to the little boy other than, "I need it, too." When Toby returned to camp that evening he couldn't stop thinking about the little boy with the big sad eyes. Hunger wasn't the only problem in this area where poverty was everywhere. Most people had only one or two ragged pieces of clothing. Thinking of the boy and his own refusal to give him his shirt, Toby cried about the decision he'd made. But not for long, Toby vowed not to forget the boy he had refused to give his shirt to. When Toby returned home to Michigan, he tried to keep his promise to make a difference in the lives of the people he had seen: He organized a T-shirt drive in his community! Called "Give the Shirt Off Your Back," Toby's campaign soon collected over ten thousand T-shirts. His next challenge was as great or even greater than the T-shirts. It was to find an organization to pay the shipping costs for getting all those shirts to Ethiopia. It was as difficult as the first challenge, too. He found SOS (Supporters of Sub-Saharan Africa). The organization agreed to transport the T-shirts on their next trip to Africa. "I think we can all make a difference," said Toby. "I wonder if that little boy I met will get one of the ten thousand shirts, and I don't know the answer. But I can pray that he does or that someone who receives one will give it to him."::사람들에게 음식과 필수품을 나누어 주는 동안에 자신의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는 것을 느끼고 열여덟 살의 Toby Long은 몸을 돌려서 자신의 뒤에 서 있는 에티오피아 소년을 발견했다. 그 어린 소년은 자신의 낡은 셔츠를 먼저 본 다음 Toby의 옷을 보았다. 그 다음에 그는 자신이 Toby의 셔츠를 가질 수 있는지 물었다. Toby는 국제 자선 단체와 함께 2주 반 동안 자원봉사를 하러 아프리카에 갔었다. Toby는 그 어린 소년에게 "나도 그것이 필요해"라는 말 외에 다른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몰랐다. 그 날 저녁 Toby가 캠프로 돌아왔을 때 그는 커다란 슬픈 눈을 가진 그 어린 소년에 대한 생각을 멈출 수 없었다. 가난이 도처에 있는 이 지역에서 배 고픔이 유일한 문제는 아니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한두 벌의 낡고 찢어진 옷을 가지고 있을 뿐이었다. 그 소년과, 그에게 자신의 셔츠를 주는 것을 거부했던 일에 대해 생각하면서 Toby는 자신이 한 결정에 대해 눈물을 흘리며 울었다. 하지만 이내 Toby는 자신이 셔츠를 주기를 거부했던 그 소년에 대해 잊지 않겠다 고 맹세했다. Toby가 Michigan에 있는 집으로 돌아왔을 때 그는 자신이 보았던 사람들의 삶에 변화를 가져다 주기로 한 자신의 약속을 지키려고 노력했는데, 그는 자신 의 지역 사회에서 티셔츠 기부 운동을 조직했다! "Give the Shirt Off Your Back"이라고 불리었던 Toby의 캠페인은 곧 만 장이 넘는 티셔츠를 모았다. 그의 다음 도전 과제는 티셔츠를 모으는 일만큼 크거나 훨씬 더 큰 것이었다. 그것은 그 모든 셔츠를 에티오피아로 보내는 데 드는 수송비를 지불해 줄 단체를 찾는 것이었다. 그것도 역시 첫 번째 도전 과제만큼이나 어려웠다. 그는 SOS(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 지역을 후원하는 사람들)를 찾아냈다. 그 단체는 자신들의 다음 번 아프리카 방문 때 그 티셔츠들을 수송하겠다고 동의했다. "우리 모두는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해요. 제가 만났던 그 어린 소년이 만 장의 셔츠 중 하나를 받을지 궁금한데 그에 대한 답을 모르겠어요. 하지만 저는 그가 티셔츠를 받거나 혹은 티셔츠를 받은 누군가가 그것을 그에게 주기를 기도할 수 있어요."
'본문 한줄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33 (0) | 2019.04.28 |
---|---|
1932 (0) | 2019.04.28 |
2019-2020 수능특강 영어 전체문장 리스트 (0) | 2019.02.03 |
2018년 3월 고3 모의고사 한줄해석 (0) | 2018.12.24 |
2018년 6월 고3 모의고사 한줄해석 (0) | 2018.12.24 |